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4 20:43:11

승과

1. 개요2. 교종시3. 선종시

1. 개요

僧科

고려 초기부터 시작해 조선 전기[1]까지 실시한 승려들의 과거 시험.

2. 교종시

교종시인 예비 고시인 성복선과 최종 고시인 대선으로 구분했다.

교종시는 주로 왕륜사에서 실시되었는데, 고시관은 고승이 선발되었지만 근신이 뽑히는 경우도 있었다. 시험 과목은 『화엄경』이 주가 되었고, 공개 토론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승려가 구족계를 받은 뒤 몇 년 동안의 수학기를 지나면 성복선에 응시하게 되었고, 성복선 합격자는 대선에 응시할 수 있는 자격이 부여되었다. 대선에 합격하면 승계를 주었는데 교종의 승계는 대덕 - 대사 - 중대사 - 삼중대사 - 수좌 - 승통의 순서로 되어 있었다. 승과에 급제한 대덕에게는 50결의 별사전이 지급되었다. 고려 후기에는 승과의 쇠퇴와 더불어 교종과도 침체되었다.

고려에서 승과를 실시한 최후의 기록으로는 1370년 광명사에서 혜근이 주관했던 공부선이 보인다. 모든 종파를 망라하여 불교계의 통합을 꾀한 것이었지만 제대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조선 전기의 승과도 고려 시대의 제도를 계승하였다. 경국대전에 의하면, 3년마다 선시를 실시하고, 『화엄경』『십지경』으로 시험하여 30명을 뽑는 것으로 되어 있다. 교종시에 합격하면 중덕 - 대덕 - 대사 - 도대사의 순서로 승진하였으며, 대선에 합격한 자만이 주지가 될 수 있었다. 1504년 승과 제도가 폐지된 뒤 1552년에 부활되었다가 1563년에 다시 폐지되었다.

3. 선종시

선종시의 예비 고시는 총석·총림·담선 법회 등으로 최종 고시는 대선·선선·조계종선·구산선 등으로 불리었다.

일반 과거의 중시에 비견되는 태선·변사과 등도 시행되었던 예가 있다. 수계한 승려는 몇 년 동안 수학하고 예비 시험인 총림에 응시 이에 선발되면 대선에 나아갈 자격이 있었다.

고시관은 대개 선종의 고승이 담당하였다. 원응국사 학일이 1123년 대선을 주관하였던 예와 1370년 나옹이 공부선을 주관하였던 예가 있다.

무신 집권 이후에는 근신 중에서 문에 능한 자가 고시관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1171년 내시 정중호가 선종대선의 고시관을 맡았고, 고종 초에는 한광연 유승단 등이 조계종선의 고시관에 임명되기도 하였다.

시험 방법은 대개 공개 토론 형식의 담선이었다. 학일이 대선을 주관할 때 당시의 고승들이 이종자기에 대해 성담하였던 예나 승형이 광명사 대선에 임하여 문제에 답할 때 시냇물이 쏟아지는 것과 같았다고 한 예 나옹이 공부선을 주관할 때 입문삼구·공부삼절·삼관등에 대해 물었다는 예 등이 있다.

선종시에 합격하면 대덕·대사·중대사·삼중대사·선사·대선사 등의 법계로 승진할 수 있었고, 대덕에게는 별사전 50결이 지급되었다.

수행이 높은 고승의 경우, 왕사 및 국사에 봉해질 수 있었다. 몽고 간섭 시기 이후부터 승과는 침체되었다. 승려에 대한 인사 행정인 승비가 변칙적으로 운영되는 등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다

조선 시대에도 초기에는 선종시가 시행되었다. 경국대전의 규정에 의하면, 승과는 3년마다 실시하되, ≪경덕전등록≫ 및 ≪선문염송≫으로 시험하고, 30명을 뽑도록 되어 있었다. 이 제도는 1504년 폐지 후 1552년에 부활되었지만, 1566년 다시 폐지되었다.




[1] 조선 명종 당시에 문정왕후의 영향으로 잠시 부활한 적은 있다. 이 때 당시 뽑혔던 휴정대사유정대사와 같은 승려들이 왕명으로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을 이끄는 역할을 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