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 bordercolor=#ce0e2d> | 관련 문서 송영진 Song Young-jin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아마추어 경력 | |
| 아마추어 시절 | ||
| 프로 경력 | ||
| | SSG 랜더스 SSG Landers | |
| 2023년 · 2024년 · 2025년 | ||
| 국가대표 경력 | ||
| | 대한민국 야구 국가대표팀 Korea Republic National Baseball Team | |
| 2022년 (U-18) | ||
| 평가 | ||
| 플레이 스타일 | 수상 경력 | |
| 기타 | ||
| 별명 · 여담 · 분류 · 사진 · 선수 경력 틀 | ||
| 송영진의 연도별 시즌 일람 | ||||
| 2024년 | → | 2025년 | → | 2026년 |
| |
1. 개요
SSG 랜더스 소속 우완 투수 송영진의 2025 시즌 활약을 정리한 문서.2. 시즌 전
2024년 11월 30일, 희망더하기 자선야구대회에 양신팀으로 선발되었다.[1]2.1. 시범경기
2.1.1. 3월
10일 문학 한화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3이닝 5피안타 4사사구 2삼진 3실점을 기록했다. 4회초에 마운드에서 내려왔고, 팀은 3:1로 패배했다.20일 문승원, 한유섬, 하재훈, 오태곤, 안상현, 조형우, 고명준, 김건우와 함께 2군에 등록되었고, 퓨처스 강화 LG전 연습경기에서 4:0으로 지고 있는 4회초에 올라와 3⅔이닝 5피안타(2피홈런) 4사사구 3K 4실점을 기록했다.
2.1.2. 시범경기 총평
3. 페넌트 레이스
3.1. 전반기
3.1.1. 3월
| 3월 월간 기록 | |||||||||
| <rowcolor=#000> 경기 | 이닝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탈삼진 | ERA | WHIP |
| 1 | 6⅓ | 1 | 0 | 0 | 0 | 6 | 6 | 1.42 | 1.11 |
26일 문학 롯데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6⅓이닝 6피안타 1사사구 6삼진 1실점을 기록했다. 데뷔 이후 제일 긴 이닝[2]을 소화하였고 팀은 3:1로 승리하며 시즌 첫 승을 거뒀다.
3.1.2. 4월
| 4월 월간 기록 | |||||||||
| <rowcolor=#000> 경기 | 이닝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탈삼진 | ERA | WHIP |
| 4 | 14.2 | 0 | 2 | 0 | 0 | 19 | 13 | 7.36 | 1.70 |
8일 대구 삼성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5이닝 6피안타(1피홈런) 1사사구 7삼진 3실점을 기록했다. 팀은 7:3으로 패배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13일 광주 KIA전에서 4:2로 지고 있는 6회말에 올라와 2이닝 6피안타 1피홈런 2사사구 5실점을 기록했다.
19일 문학 LG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3⅓이닝 6피안타 3사사구 1K 4실점을 기록했다.
25일 문학 키움전에서 3:1로 지고 있는 4회초에 올라와 4⅓이닝 1피안타 5K 무실점을 기록하며 롱 릴리프의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3.1.3. 5월
| 5월 월간 기록 | |||||||||
| <rowcolor=#000> 경기 | 이닝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탈삼진 | ERA | WHIP |
| 3 | 10.0 | 1 | 2 | 0 | 0 | 16 | 6 | 8.10 | 2.60 |
1일 문학 삼성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5이닝 3피안타 5사사구 5K 1실점을 기록했다. 팀은 4:1로 승리하며 시즌 2승을 거뒀다.
7일 사직 롯데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2⅓이닝 6피안타(1피홈런) 2사사구 1K 5실점(5자책)을 기록하고 3회말에 강판되었다. 팀은 6:2로 패배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14일 문학 NC전에서 선발 등판하여 2⅔이닝 7피안타 3사사구 5실점(3자책)을 기록하고 3회초에 강판되었다. 팀은 6:3으로 패배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
15일 1군 엔트리에서 말소되었다. #
25일 1군 엔트리에 콜업되었으나, 경기 전 캐치볼 중 오른손 중지에 통증을 느껴 엔트리 등록이 취소되었다.
3.1.4. 6월
18일, 손가락 문제로 20일짜리 치료·재활명단에 올랐다. 김태우 기자에 따르면 8월 복귀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3.1.5. 전반기 총평
3.1.6. 7월
23일 퓨처스 이천 두산전에서 4:3으로 지고 있는 5회말에 올라와 2이닝 1K 무실점을 기록했다.26일 퓨처스 강화 LG전에 선발 등판하여 2이닝 4피안타 1사사구 2K 4실점(4자책)을 기록했다.
30일 퓨처스 고척 고양전에서 5:3으로 이기고 있는 3회말에 올라와 3⅓이닝 3피안타 2사사구 3K 1실점(1자책)을 기록했다.
3.1.7. 8월
| 8월 월간 기록 | |||||||||
| <rowcolor=#000> 경기 | 이닝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탈삼진 | ERA | WHIP |
3일 1군에 복귀했다. 잠실 두산전에서 1:0으로 지고 있는 4회말에 올라와 2이닝 2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5일 문학 삼성전에서 4:2로 지고 있는 8회초에 올라와 1이닝 2피안타(1피홈런) 2실점을 기록했다.
7일 문학 삼성전에서 6:0으로 지고 있는 4회초 2사 주자 1,3루 상황에 올라와 4⅔이닝 1피안타 4K 무실점을 기록했다.
15일 문학 LG전에서 5:3으로 지고 있는 9회초에 올라와 1이닝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다만 지명타자 소멸로 타석에 들어선 투수 유영찬에게 풀카운트 승부 끝에 볼넷을 내주며 자팀 팬들을 포함한 모든 야구 팬들에게 대차게 까였다.[3]
17일 문학 LG전에서 4:0으로 지고 있는 5회초에 올라와 4이닝 4피안타(2피홈런) 2사사구 3K 2실점(2자책)을 기록했다.
24일 대전 한화전에 선발 등판하여 4⅓이닝 3피안타 3사사구 1K 1실점(1자책)을 기록했다. 1사 주자 1루가 되면서 전영준으로 교체되었으나, 전영준이 이원석에게 2루타를 맞고 승계주자 1명을 불러들이며 1실점을 기록하게 되었다.
29일 문학 NC전에서 8:0으로 이기고 있는 9회초에 올라와 1이닝 1K 무실점을 기록했다.
30일 문학 NC전에서 5:1로 지고 있는 5회초에 올라와 3⅔이닝 6피안타(1피홈런) 5사사구 5실점(5자책)을 기록했다.
3.1.8. 9월
| 9월 월간 기록 | |||||||||
| <rowcolor=#000> 경기 | 이닝 | 승리 | 패배 | 세이브 | 홀드 | 피안타 | 탈삼진 | ERA | WHIP |
13일 사직 롯데전에서 8:7로 지고 있는 5회말 1사 주자 1,3루 상황에 올라와 2⅔이닝 4피안타 3사사구 1K 2실점(2자책)을 기록했다.
20일 문학 두산전에서 12:2로 이기고 있는 8회초에 올라와 1⅓이닝 2피안타 무실점을 기록했다.
22일 문학 두산전에서 4:0으로 지고 있는 6회초 1사 주자 1,2루 상황에 올라와 0⅔이닝 4피안타 1사사구 3실점(3자책)을 기록했다.
25일 문학 kt전에서 9:0으로 지고 있는 6회초에 올라와 1이닝 1피안타(1피홈런) 1사사구 1실점(1자책)을 기록했다.
3.1.9. 10월
2일 광주 KIA전에 선발 등판하여 5이닝 7피안타(2피홈런) 1사사구 4K 5실점(3자책)을 기록했다. 팀은 7:2로 패배하며 패전 투수가 되었다.3.1.10. 후반기 총평
4. 시즌 총평
| 2025 시즌 최종 성적 | ||||||||
| <rowcolor=#000> 경기 | 이닝 | 승 | 패 | 세 | 홀 | 승률 | ERA | WHIP |
| <rowcolor=#000> 피안타 | 피홈런 | 볼넷 | 사구 | 탈삼진 | 실점 | 자책점 | WAR | WPA |
3년차 시즌인 올해도 부진한 성적을 거두었다. 자신의 입단 동기인 이로운이 올해 포텐을 터뜨리며 리그 최고의 불펜 투수로 자리잡은 것과는 완전히 대조된 모습을 보였다. 데뷔 시즌 이후 2년 연속 하향세를 보이며 팬들에게 아시움을 선사하고 있다. 시즌 전 오원석이 트레이드로 떠났고, 김광현, 문승원과 선발진의 한 자리를 맡아주길 바랬으나 여전히 답답한 모습만 보였고, 결국 전영준과 김건우에게 선발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김광현과 문승원이 에이징 커브에 직격했고 박종훈은 사실상 재기불능이 된 상황에서 김건우와 함께 SSG의 선발진을 맡아주길 바라고 있으나, 3년 동안 성정은 커녕 퇴보하는 모습을 띄고 있기에 내년에도 구단에서 선발 기회를 줄 지는 의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