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특별자치도경찰청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초대 정진규 | 제2대 이종범 | 제3대 문원태 | 제4대 이현태 | 제5대 이필우 | |
제6대 김종호 | 제7대 정동수 | 제8대 이수일 | 제9대 조석봉 | 제10대 이민웅 | |
제11대 이병곤 | 제12대 이광웅 | 제13대 조창래 | 제14대 전용찬 | 제15대 허준영 | |
제16대 김정찬 | 제17대 이희경 | 제18대 정광섭 | 제19대 이명규 | 제20대 이길범 | |
제21대 남형수 | 제22대 송강호 | 제23대 박학근 | 제24대 옥도근 | 제25대 조길형 | |
제26대 신용선 | 제27대 윤철규 | 제28대 김호윤 | 제29대 정해룡 | 제30대 이중구 | |
제31대 최종헌 | 제32대 원경환 | 제33대 김원준 | 제34대 김재규 | 제35대 김규현 | |
제36대 최승렬 | 제37대 최종문 | 제38대 김도형 | 제39대 김준영 | 제40대 엄성규 | }}}}}}}}} |
역임한 직위 | ||||||||||||||||||||||||||||||||||||||||||||||||||||||||||||||||||||||||||||||||||||||||||||||||||||||||||||||||||||||||||||||||||||||||||||||||||||||||||||||||||||||||||||||||||||||||||||||||||||||||||||||||||||||||||||||||||||||||||||||||||||||||||||||||||||||||||||||
|
| |
이름 | 송강호 (宋岡鎬) |
본관 | 은진 송씨 (恩津 宋氏) |
출생 | 1956년 2월 6일 ([age(1956-02-06)]세) |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계전리[1] | |
학력 | 경북고등학교 (졸업)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 / 학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2] / 석사[3]) |
현직 | 꿈과 희망 법률사무소 대표 한국블록체인협회 준법정보센터장 |
경력 | 제26회 사법시험 합격 제16기 사법연수원 수료 경북상주경찰서장 서울지방경찰청 수사과장 서울용산경찰서장 경찰청 방범기획과장 경찰대학 학생지도부장 경찰청 기획정보심의관 경찰청 경찰혁신기획단장 중앙경찰학교장 경북지방경찰청장 경찰청 수사국장 강원지방경찰청장 |
1. 개요
대한민국의 법조인, 전 경찰공무원으로 지방경찰청장을 지냈다.2. 생애
1956년 2월 6일 경상북도 경산시 와촌면 계전리에서 태어났다. 1974년 경북고등학교, 1980년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를 졸업하고 1998년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사법공안 전공으로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서울대학교 졸업 이후 제26회 사법시험에 합격하였다. 사법연수원 기수는 16기. 이후 1987년 경정 특채로 경찰에 입직하였다.
경찰 입직 이후 총경 시절은 성주경찰서장, 서울지방경찰청 수사과장, 용산경찰서장, 경찰청 방범기획과장을 지냈고 경무관 시절에는 경찰대학 학생지도부장, 경찰청 기획정보심의관/경찰혁신기획단장을 지냈다.
2006년 경찰정기인사에서 치안감으로 승진하였고 중앙경찰학교장, 경북지방경찰청장, 경찰청 수사국장, 강원지방경찰청장을 지냈다.
강원청장을 끝으로 경찰에서 떠나 법무법인 정률에서 변호사로 활동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