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 | 국제 이공학 기구 및 학회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국제 | |||
전기전자공학자협회 | 국제수학연맹 | 계산기협회 | 국제순수및응용화학연맹 | |
국제솔베이협회 | 국제천문연맹 | 국제원자력기구 | 국제우주공학연맹 | |
지역 | ||||
영연방 | ||||
왕립학회 | 런던수학회 | 왕립화학회 | ||
미국 | ||||
미국물리학회 | 미국화학회 | 미국수학회 | 미국광학회 | |
미국생화학및분자생물학회 | }}}}}}}}} |
국제 솔베이 협회 International Solvay Institutes(ISI) | |
<colbgcolor=#9b5c33> 설립 | 1911년 |
분야 | 물리학/화학 |
유형 | 국제기구/학회 |
본부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브뤼셀 자유 대학교 |
설립자 | 에르네스트 솔베이 |
홈페이지 | http://www.solvayinstitutes.be |
[clearfix]
1. 개요
솔베이 회의(Congrès Solvay; Solvay Conference)는 국제 솔베이 협회가 개최하는 세계적인 물리학 및 화학 학회이다. 1911년 벨기에의 기업가이자 솔베이 사의 창업자인 에르네스트 솔베이(1838~1922)가 설립하였다.이 학회는 3년마다 열리는데 3년을 주기로 첫 해에는 물리학 학회가 열리고 두번째 해는 건너뛰고 세번째 해에는 화학 학회가 열린다. 가장 최근에 열린 물리학 학회는 2017년 제27차 회의이고 2017년 10월 19일부터 21일까지 브뤼셀에서 개최되었다. 당초 2020년에 열릴 예정이었던 제28차 솔베이 물리학 회의는 코로나 19의 여파로 인해 연기되었다. #
2. 주요 회의
2.1. 제5차 솔베이 회의
가장 유명한 회의는 1927년 10월 개최된 제5차 솔베이 회의다. 이 5차 대회의 참석자 기념사진은 <인류 역사상 다시는 없을 정모>, 또는 <지상 최강의 정모>라는 짤방으로 인터넷을 돌아다닌다. 사진의 인물 전원이 과학사에 굵직한 업적들을 남겼으며 절반 이상인 17명이 노벨상 수상자로, 홍일점인 마리 퀴리는 심지어 복수 분야 수상이라는 위업을 달성한지라 수상 메달 개수는 18개다.[1][2] 심지어 이 솔베이 회의에서 설전을 벌인 두 과학자인 닐스 보어와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둘 다 노벨상 수상자이기까지 했다.약간 과장을 보태면, 오늘날 전세계 물리학도들이 공부해야 할 내용들의 대부분이 이들 제5차 회의 참가자로부터 나온 셈이다. 확실히 과학사에서 이 시절만큼 천재적인 인물들이 많았던 시기는 드물다. 자신이 물리학도라면 보고 있을 때 경외감이 절로 드는 사진.
관련지어서 인문계는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 중에서도 최고의 학자들을 모은 아테네 학당이 있다. 물론 그 그림은 상상화지만 충분히 인문계 최종보스들로 불리기도 한다. 다음 사진은 제 5차 솔베이 회의 때의 사진. 위는 원본, 아래는 컬러보정된 사진이다.
이름 | 주요 업적 |
(윗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 |
오귀스트 피카르(Auguste Piccard) | 피카르의 심해점과 성층권 기구[3] |
에밀 앙리오트(Emile Henriot) | 광학 분야로 전자현미경 연구의 시초이며 복굴절 및 분자 진동에 관해 연구 |
파울 에렌페스트(Paul Ehrenfest) | 에렌페스트의 정리 |
에두아르 헤르젠(Edouard Herzen) | 집적회로 기반 |
테오필 드 동데르(Theophile de Donder) | 드 동데르의 열역학 |
에르빈 슈뢰딩거(Erwin Schrödinger) | 1933년 노벨물리학상, 슈뢰딩거 방정식 |
줄스-에밀 버샤펠트(Jules-Emile Verschaffelt) | 포화증기의 등온선 및 비중에 관한 연구, 양자물리학 연구 |
볼프강 에른스트 파울리(Wolfgang Pauli) | 1945년 노벨물리학상. 파울리 배타 원리 |
베르너 하이젠베르크(Werner Heisenberg) | 1932년 노벨물리학상.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 원리 |
랄프 하워드 파울러(Ralph Howard Fowler) | 다윈, 파울러 방법 |
레옹 브릴루앵(Leon Brillouin) | 브릴루앙 영역 |
(가운데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 |
피터 디바이(Peter Debye) | 1936년 노벨화학상. 디바이의 단위 |
마르틴 크누센(Martin Knudsen) | 크누센의 흐름 |
윌리엄 헨리 브래그(Sir William Henry Bragg)[4] | 1915년 노벨물리학상. 브래그의 반사 |
헨드릭 안토니 크라머르스(Hendrik Anthony Kramers) | 크라머르스-크로니히의 관계 |
폴 디랙(Paul Adrien Maurice Dirac) | 1933년 노벨물리학상. 디랙 방정식 |
아서 콤프턴(Arthur Compton) | 1927년 노벨물리학상. 콤프턴 계수, 콤프턴 산란 |
루이 드 브로이(Louis de Broglie) | 1929년 노벨물리학상. 드 브로이의 파동 |
막스 보른(Max Born) | 1954년 노벨물리학상. 보른의 관계식 |
닐스 보어(Niels Bohr) | 1922년 노벨물리학상. 보어의 양자가설 |
(아랫줄 왼쪽부터 오른쪽으로) | |
어빙 랭뮤어(Irving Langmuir) | 1932년 노벨화학상. 랭뮤어, 표면화학 |
막스 플랑크(Max Planck) | 1918년 노벨물리학상. 플랑크 상수 |
마리 퀴리(Marie Curie) | 1903년 노벨물리학상, 1911년 노벨화학상. 자연방사능 연구와 폴로늄 및 라듐의 발견 |
헨드릭 A. 로런츠(Hendric Antoon Lorentz) | 1902년 노벨물리학상. 로런츠 힘 |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 1921년 노벨물리학상. 이론 물리학의 공헌과 광전효과의 발견. |
폴 랑주뱅(Paul Langevin) | 랑주뱅 방정식 |
샤를 외젠 게이(Charle-Eugene Guye) | 전자의 질량과 속도를 실험을 통해 증명. |
찰스 톰슨 리스 윌슨(Charles Thomson Rees Wilson) | 1927년 노벨물리학상. 안개상자 |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Owen Willans Richardson) | 1928년 노벨물리학상. 리처드슨 방정식 |
인물 설명 출처
최고령은 만 74세로 의장이기도 한 헨드릭 A. 로런츠, 최연소는 만 25세 폴 디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