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종목 세계 선수권 대회 목록 | ||
<colbgcolor=#006494><colcolor=#FFF> 하계 올림픽 | <colbgcolor=#448CCB><colcolor=#ffffff> 개인 | 가라데 · 근대 5종 (유스) · 기계체조 · 레슬링 · 리듬체조 · 배드민턴 · 복싱 · 브레이킹 · 사격 (샷건) · 사이클 · 서핑 · 수영 (주니어) · 스포츠 클라이밍 · 승마 · 양궁· 역도 · 요트 · 유도 · 육상 (실내) · 조정 · 철인3종 · 카누 · 탁구 · 태권도 (품새) · 펜싱 |
단체 | 라크로스 · 배구 · 비치발리볼 · 소프트볼 · 핸드볼 (남·여) | |
동계 올림픽 | 개인 | 노르딕 스키 · 루지 · 바이애슬론 · 봅슬레이 & 스켈레톤 · 쇼트트랙 · 스노보드 · 스피드 스케이팅 · 알파인 스키 · 프리스타일 스키 · 피겨 스케이팅 |
단체 | 아이스하키 (남·여) · 컬링 (남·여·믹스더블) | |
* 대회명에 세계 선수권 대회(World Championships)가 포함된 경우 기재. |
1. 개요
세계 수영 선수권 대회는 세계수영연맹(World Aquatics)[1]에서 개최하는 수영 종목의 세계 선수권 대회이다. 경영, 다이빙, 아티스틱 스위밍, 마라톤 수영, 수구를 모두 포함한다.경영의 경우, 50m 롱 코스 외에 25m 쇼트 코스 세계 선수권이 따로 있으며, 보통 세계수영선수권대회는 롱 코스 대회를 얘기하므로 이 문서에서도 롱 코스 대회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쇼트 코스 대회의 경우 따로 '쇼트 코스 세계 선수권 대회'라고 일컫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성인 동호인들을 위한 '세계 마스터즈 수영 선수권 대회'도 개최하고 있으며, 이전엔 따로 개최했다가 2015 카잔 대회부터 공동 개최하고 있다.[2]
2년마다 열리는 대회지만, 코로나19로 대회 일정이 꼬이게 되면서 2022년부터 2025년까지는 매년 열리게 되었다. #[3]
2. 역대 대회
<rowcolor=#ffffff> 회차 | 연도 | 개최지 | 1위 | 2위 | 3위 |
1 | 1973 | ||||
2 | 1975 | ||||
3 | 1978 | ||||
4 | 1982 | ||||
5 | 1986 | ||||
6 | 1991 | ||||
7 | 1994 | ||||
8 | 1998 | ||||
9 | 2001 | ||||
10 | 2003 | ||||
11 | 2005 | ||||
12 | 2007 | ||||
13 | 2009 | ||||
14 | 2011 | ||||
15 | 2013 | ||||
16 | 2015 | ||||
17 | 2017 | ||||
18 | 2019 | ||||
19 | 2022 | ||||
20 | 2023 | ||||
21 | 2024 | ||||
22 | 2025 | ||||
23 | 2027 | ||||
24 | 2029 |
3. 역대 메달
역대 메달 순위 2024년 도하 대회 종료기준 | |||||
순위 | 나라 | 금 | 은 | 동 | 합 |
1 | 302 | 246 | 190 | 738 | |
2 | 207 | 124 | 96 | 427 | |
3 | 117 | 127 | 90 | 334 | |
4 | 105 | 73 | 62 | 240 | |
5 | 51 | 62 | 75 | 188 | |
6 | 51 | 44 | 27 | 122 | |
7 | 43 | 34 | 33 | 110 | |
8 | 42 | 64 | 73 | 179 | |
9 | 36 | 37 | 65 | 138 | |
10 | 33 | 37 | 34 | 104 | |
11 | 30 | 56 | 71 | 157 | |
12 | 24 | 42 | 34 | 100 | |
13 | 21 | 21 | 18 | 60 | |
14 | 19 | 49 | 79 | 147 | |
15 | 17 | 15 | 19 | 51 | |
16 | 16 | 28 | 28 | 72 | |
17 | 14 | 42 | 35 | 91 | |
18 | 13 | 19 | 30 | 62 | |
19 | 13 | 7 | 17 | 37 | |
20 | 8 | 7 | 12 | 27 | |
21 | 6 | 11 | 12 | 29 | |
22 | 5 | 7 | 9 | 21 | |
23 | 5 | 3 | 3 | 11 | |
24 | 5 | 2 | 8 | 15 | |
25 | 4 | 9 | 8 | 21 | |
26 | 4 | 5 | 0 | 9 | |
27 | 4 | 3 | 4 | 11 | |
28 | 4 | 2 | 5 | 11 | |
29 | 4 | 2 | 1 | 7 | |
30 | 3 | 3 | 4 | 10 | |
31 | 3 | 2 | 2 | 7 | |
32 | 2 | 14 | 19 | 35 | |
33 | 2 | 6 | 8 | 16 | |
34 | 2 | 1 | 3 | 6 | |
2 | 1 | 3 | 6 | ||
36 | 2 | 1 | 1 | 4 | |
37 | 2 | 0 | 0 | 2 | |
38 | 1 | 6 | 6 | 13 | |
39 | 1 | 6 | 2 | 9 | |
40 | 1 | 3 | 2 | 6 | |
41 | 1 | 2 | 1 | 4 | |
1 | 2 | 1 | 4 | ||
43 | 1 | 1 | 6 | 8 | |
44 | 1 | 1 | 4 | 6 | |
45 | 1 | 1 | 2 | 4 | |
1 | 1 | 2 | 4 | ||
1 | 1 | 2 | 4 | ||
1 | 1 | 2 | 4 | ||
49 | 1 | 0 | 1 | 2 | |
50 | 1 | 0 | 0 | 1 | |
51 | 0 | 3 | 2 | 5 | |
52 | 0 | 3 | 0 | 3 | |
53 | 0 | 1 | 1 | 2 | |
0 | 1 | 1 | 2 | ||
0 | 1 | 1 | 2 | ||
0 | 1 | 1 | 2 | ||
57 | 0 | 1 | 0 | 1 | |
0 | 1 | 0 | 1 | ||
0 | 1 | 0 | 1 | ||
60 | 0 | 0 | 5 | 5 | |
61 | 0 | 0 | 2 | 2 | |
0 | 0 | 2 | 2 | ||
0 | 0 | 2 | 2 | ||
64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
0 | 0 | 1 | 1 |
4. 주요 선수
4.1. 주요 다관왕
<rowcolor=#ffffff> 순위 | 선수 | 성별 | 종목 | 출전기간 | <colbgcolor=gold><colcolor=black> 금 | <colbgcolor=silver><colcolor=black> 은 | <colbgcolor=#D2691E><colcolor=white> 동 | <colbgcolor=#0054a6><colcolor=white> 합 |
1 | 남 | 경영 | 2001 ~ 2011 | 26 | 6 | 1 | 33 | |
2 | 여 | 아티스틱 스위밍 | 2005 ~ 2019 | 21 | 0 | 0 | 21 | |
여 | 경영 | 2013 ~ 2023 | 21 | 5 | 0 | 26 | ||
4 | 여 | 아티스틱 스위밍 | 2005 ~ 2015 | 19 | 2 | 0 | 21 | |
5 | 남 | 경영 | 2005 ~ 2015 | 18 | 5 | 4 | 27 | |
6 | 여 | 아티스틱 스위밍 | 2011 ~ 2019 | 16 | 0 | 0 | 16 | |
7 | 남 | 경영 | 2017 ~ 2022 | 15 | 2 | 0 | 17 |
4.2. 주요 한국 선수
- 최초 결선 진출: 남자 접영 200m 한규철 (1998)
- 여성 최초 결선 진출: 여자 배영 50m 이남은 (2005)
- 3회 연속 결선 진출
- 4위 기록
4.2.1. 대한민국 선수단 메달
<rowcolor=#ffffff> 연도 | 개최지 | 종목 | 선수 | 성적 |
2007 | 남자 자유형 400m | 박태환 | 금메달 | |
남자 자유형 200m | 박태환 | 동메달 | ||
2011 | 남자 자유형 400m | 박태환 | 금메달 | |
2019 | 여자 1m 스프링보드 | 김수지 | 동메달 | |
2022 | 남자 자유형 200m | 황선우 | 은메달 | |
2023 | 남자 자유형 200m | 황선우 | 동메달 | |
2024 | 여자 3m 스프링보드 | 김수지 | 동메달 | |
혼성 싱크로 3m 스프링보드 | 이재경/김수지 | 동메달 | ||
남자 자유형 400m | 김우민 | 금메달 | ||
남자 자유형 200m | 황선우 | 금메달 | ||
남자 계영 4×200m | 대표팀[10] | 은메달 |
[1] 2022년 12월, FINA(Fédération Internationale de Natation)에서 World Aquatics로 변경되었다.[2] 다만 2023년 대회는 후쿠오카가 아닌 규슈에서 따로 열렸다.[3] 심지어 2024 도하 대회는 2월에 개최되어서 2023 후쿠오카 대회가 개최된지 불과 7개월 만에 열리게 되었다.[4] 코로나19로 인해 미뤄지다가 2022년 당해에 부다페스트에서 한번 더 개최하는 것으로 결정[5] 원래 2021년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2년 연기[6]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인해 개최지 변경[7] 2022년 대회 후 5년 만에 개최[8] 유고슬라비아 연방공화국(신 유고 연방) 시절 포함. 1992~2006년.[9]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해 제재에 따라 2024년 도하 대회에 참가한 벨라루스 선수들.[10] 김우민, 양재훈, 이유연, 이호준, 황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