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명이 이상룡인 대한민국의 MC에 대한 내용은 허참 문서
, 동명의 1911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상룡(1911) 문서
, 동명의 1934년생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이상룡(1934)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90033, #330066 20%, #330066 80%, #190033); 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fff> 국무총리 | |||||
초대 | ||||||
이승만 | ||||||
<rowcolor=#ffffff> 임시대통령 | ||||||
초대 | 제2대 | |||||
이승만 | 박은식 | |||||
<rowcolor=#ffffff> 국무령 | 국무회의 주석 | |||||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1-2대 | |||
이상룡 | 홍진 | 김구 | 이동녕 | |||
<rowcolor=#ffffff> 국무회의 주석 | 국무위원회 주석 | |||||
제3대 | 제4대 | 제5-7대 | 제8-11대 | |||
송병조 | 양기탁 | 이동녕 | 김구 | }}} }}}}}}}}} |
<colcolor=#fff><colbgcolor=#330066> | |||
출생 | 1858년 11월 24일 | ||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부내면 용상리 법흥골 (現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1] 임청각) | |||
사망 | 1932년 6월 15일[2] (향년 73세) | ||
만주국 길림성 서란현(舒蘭縣) 소과전자(燒鍋甸子)[3] | |||
묘소 | 국립서울현충원 임시정부요인 묘역-2호 | ||
재임기간 | 초대 임시정부 국무령 | ||
1925년 7월 7일 ~ 1926년 2월 18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330066><colcolor=#ffffff> 본관 | 고성 이씨[4] | |
초명 | 이상희(李象羲) → 이계원(李啓元) | ||
부모 | 아버지 이승목, 어머니 안동 권씨[5] | ||
형제자매 | 남동생 이용희, 이봉희 | ||
배우자 | 김우락 | ||
자손 | 아들 이준형 딸 강호석(姜好錫)의 처 외손자 박찬대 | ||
학력 | 해당사항 없음 | ||
종교 | 유교 (성리학) | ||
자 | 만초(萬初) | ||
호 | 석주(石洲) |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1962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
1858년 11월 24일 경상도 안동대도호부 부내면 용상리 법흥골(현 경상북도 안동시 법흥동) 임청각(臨淸閣)에서 아버지 추암(秋巖) 이승목(李承穆, 1837 ~ 1873. 4. 27)[6]과 어머니 안동 권씨(1832 ~ 1902. 4. 5.) 사이에서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1911년 김동삼, 박건과 함께 서간도 통화현으로 망명 후 초명 상희(象羲)에서 계원(啓元)으로, 이어서 상룡(相龍)으로 개명하였다.을미사변 다음 해인 1896년 박경종(朴慶鍾)과 함께 가야산에 군사 진지를 구축하고 의병 항전을 시도하였다. 그러나 러일전쟁에서 승리한 일제의 근대적 군사력에 대항하는 국내에서의 의병 항쟁은 어렵다고 판단하였다. 그래서 그 뒤 류인식, 김동삼 등과 애국 계몽 운동을 전개, 1907년 협동학교(協東學校)를 설립하였다.
경술국치 다음 해인 1911년 1월 양기탁(梁起鐸)과 협의한 뒤 2월 서간도에 도착하여 한만관계사를 연구, 집필하였다.
1912년 경학사를 발전시켜 교포들의 자치기관으로 부민단을 조직하고 허혁에 이어 2대단장으로 추대되었다. 이들은 부민단의 기구를 정비하고 강화하기 위해 경학사를 해체하고, 소재지를 통화현의 합니하로 옮기고 신흥강습소도 함께 이전하여 제2의 새 기지를 정하였다.
그는 부민단 단장으로서 자치, 교육 등의 사업을 꾸준히 수행해 나갔다. 그 중에서 부서 조직에 있어서 중앙부에 서무·법무·검무(檢務)·학무·재무 등을 두었고, 단장과 각 부서 주임 관할 하에 지방·구·패로 나누어 주민을 관할하였다.
따라서 부민단은 이러한 4단계의 조직을 통하여 통화현, 임강현, 유하현, 해룡현, 몽구현 등 각 현에 있는 동포들을 결속하고 계몽했다. 특히 일본인을 귀자라 부르며 이 귀자와 연락하는 자는 엄벌에 처했고, 모든 민사 관계의 일도 이를 판결해 처리하는 등, 이주 동포들의 자치기관의 임무를 수행했다.
김동삼,박건과 함께 한족회를 조직했다
1919년 3.1 운동 후 그는 부민단을 해체하고 김동삼, 박건 등과 함께 새로운 자치단체로 한족회를 조직하였다. 그러나 이 한족회는 부민단과 거의 유사하여, 부서 등에서도 중앙부서의 단장, 주임을 총장, 부장으로 명칭의 일부를 개정하는데 그쳤다. 그리고 신흥강습소를 신흥무관학교로 개칭해 독립 운동 간부를 양성하였다. 상하이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수립되자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지지하였다.
1922년 8월 환인현에서 남만 한족 통일회를 개최해 대한통의부(大韓統義府)를 수립하고, 그 산하에 의용군을 조직하였다. 1924년 10월 정의부가 발족되자 독판(督辦)에 선출되었다.
1925년 9월 24일 오후 8시 상하이 삼일당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령에 취임하였다. 그러나 임시정부 내의 사상적 대립과 파쟁으로 정치적 경륜을 발휘할 수 없게 되자 국무령을 사임하였다.
자손들도 독립운동가였으며, 무녀독남인 이준형(1875년 ~ 1942년)과 그의 아들 이병화(1906년 ~ 1952년) 또한 나중에 독립유공자로 서훈되었다.
1932년 5월 병으로 지린성에서 사망했다. 그는 아들에게 “외세 때문에 자조하지 말고 더욱 면려하여 목적을 관철하라”라는 유언을 남겼다. 독립 운동을 하였던 공로를 인정받아 사후 30년 후인 1962년 대한민국 건국 훈장이 추서되었다.
3. 기타
임청각 앞 안동댐 방향으로 올라가는 도로(석주로)에는 신목(神木), 혹은 귀신나무로 불려지던 수령 300년 정도 된 회화나무 한 그루가 도로 한가운데 서 있었다. 이 나무는 원래 임청각 안에 있었으나 중앙선 개통으로 임청각 일부가 헐리면서 집 바깥으로 밀려나게 되었다고 한다.
이 나무가 도로 가운데 서 있는 이유에는 여러 전설같은 이야기가 내려오고 있다. 이상룡 선생 일가가 만주로 떠나기 전 이 신목에 제사를 지내고 올라갔을 정도로 이전부터 신성시하던 나무였으며, 안동댐 건설 당시 장비 진입도로를 확장하기 위해 도로 한가운데를 막고 있던 이 나무를 베려고 하였지만 귀신들린 나무라 하여 아무도 베려 하지 않았고 이에 용감한(?) 인부 한명이 전기톱을 들고 베려 하는 순간 하늘에서 벼락이 내려쳐 죽어버렸고, 굴삭기를 동원해 나무를 부러뜨리려 하였지만 삽날이 부러지는 등 이상한 일이 발생하자 나무를 피해 도로를 확장하였다는 이야기가 내려온다.
2000년대 중반까지만 하더라도 안동댐으로 올라가는 도로 한가운데 우두커니 서 있는 거대한 회화나무와 이 나무를 피해 양쪽으로 나 있는 2차선 도로로 자동차들이 지나다니는 풍경을 볼 수 있었으나, 2008년 8월 22일 새벽 누군가 이 회화나무를 전기톱으로 잘라내버린 사건이 발생하였다. 지역 교회 목사가 우상숭배라는 이유로 신목을 잘라내버렸다는 등, 신기가 돈 한 할아버지가 새벽에 막걸리를 마시고 그랬다는 등 여러 소문이 있었으나 결국 범인을 찾지 못한 채 사건이 종결되어 버렸다. 지역 주민들은 이 회화나무를 소생시키기 위해 각고의 노력을 거듭한 끝에 다음 해 잘린 밑둥에서 새 줄기를 틔우는데 성공하였지만... 2010년 8월 3일 새벽, 대학생 2명이 몰고 가던 승용차가 도로 가운데 있던 나무 밑둥에 정면충돌하는 사고가 났고[7] 이 사고로 회화나무가 뿌리째 뽑히면서 소생이 불가능할 정도로 파괴되어 버렸다. 이 사고 후 회화나무가 있던 자리는 아스팔트 포장이 되어 도로로 완전히 덮여버렸다.
현재는 나무가 서 있던 흔적은 찾기 힘들지만, 법흥육거리에서 안동댐 방향으로 150m정도 올라오다 보면 지하도로 합류지점에서 도로의 좌우 폭이 일시적으로 넓어지며 도로 한가운데가 어설프게 아스팔트 포장된 구간이 있는데 이곳이 과거 회화나무가 서 있었던 자리임을 확인 할 수 있다.
3.1. 임청각 일제 훼손설
하지만 이 관념에 대하여 근거없는 낭설이라고 보는 분석#이 있다.[출처]
해당 논문의 저자에 따르면, 이상룡이 독립운동을 위하여 만주로 망명한 것은 1911년이고 1932년에 병사했다. 이후 이상룡의 아들, 이준형은 가족을 이끌고 1933년 안동으로 귀향했다. 그런데 중앙선 안동 구간에 대한 측량이 이루어지던 것은 1935년이고 임청각을 가로지르는 선로가 확정된 때는 1936년 8월, 중앙선 안동구간이 개통된 것은 1942년이다. 즉, 선로가 확정되던 1936년에는 이미 이상룡이 병사하고 대다수의 일가족들이 안동으로 귀향한 뒤였기에 일제 입장에서 딱히 보복을 할 필요가 없었다.[10] 결정적으로 선로가 확정되던 1936년 당시 이준형이 남긴 어느 편지글에서도 철도 때문에 집이 부서진다는 사실을 한탄할 뿐, 일본의 보복이나 민족 정기 때문이라고 분노하는 표현은 존재하지 않았다.
결국 동서구조로 만들어진 기존 안동역사를 유지하면서, 남북으로 이어질 중앙선과 연결하기 위해 시내를 최대한 우회해서 부설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형편 속에 기존 안동역사 바로 동쪽에 위치해있던 임청각이 운 나쁘게 피해를 받게 된 것이다. 그래서 이상룡 선생의 정기를 끊으려 임청각에 선로를 지었다는 주장은 실제 그러한 일제의 의도보단, 당시 민중의 정서가 그렇게 받아들였다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혹자는 서지역까지 바로 직행하도록 부설했다면 굳이 임청각을 건들 필요가 없었을 거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선로를 90도로 급격히 트는 게 더 부자연스럽고, 안동역 동쪽부터 서지역 사이엔 영남산이 떡하니 가로막고 있다. 결국 안동역에서 서지역까지 직행하려면 영남산 전체를 터널로 뚫어야 하는데, 당시 기술로 산 전체를 터널로 뚫는 건 여러모로 난공사를 강요하는 터라, 일제 입장에서 터널을 뚫는 대안을 우선적으로 채택했을 가능성은 낮다. 그보다 낙동강변을 따라서 지상에 무난하게 철로를 동쪽으로 부설하다가 영남산과 용점산이 이어지는 지점이자 산세의 높이가 낮아지는 지점을 기준으로 삼고, 부설 공사를 한 거라고 바라보는 게 더 자연스럽다.
4. 둘러보기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명문가 석주 이상룡 일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ddd> 성명 | 서훈 내역 | 비고 |
이승화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룡의 당숙 | |
이상룡 | 건국훈장 독립장 (1962) | 본인 | |
이상동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룡의 동생 | |
이형국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동의 장남 | |
이운형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동의 차남 | |
이봉희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이상룡의 동생 | |
이광민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이봉희의 장남 | |
이광국 | 미서훈 | 이봉희의 차남 | |
이준형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이상룡의 장남 | |
이병화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이준형의 장남 | |
김우락 | 건국훈장 애족장 (2019) | 이상룡의 배우자 | |
김대락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김우락의 큰오빠 | |
김락 | 건국훈장 애족장 (2001) | 김우락의 여동생 | |
이만도 | 건국훈장 독립장 (1962) | 김락의 장인 | |
이중업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김락의 배우자 | |
김도화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이상룡의 종고모부 | |
강호석 | 건국훈장 애족장 (2011) | 이상룡의 사위 | |
김태동 | 대통령표창 (2003) | 이상동의 사위 | |
허국 | 미서훈 | 이준형의 사위 | |
허은 | 건국훈장 애족장 (2018) | 이병화의 배우자 | |
허발 | 미서훈 | 이병화의 장인 | |
허위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 | 허은의 제종조부 | |
허길 | 건국포장 (2008) | 허은의 고모 | |
이원기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장남 | |
이육사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아들 | |
박경종 | 건국훈장 애족장 (1990) | 이상룡의 매부 |
대한민국의 독립운동 명문가 왕산 허위 일가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ddd> 성명 | 서훈 내역 | 비고 |
첫째 허훈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위의 백형 | |
허종 | 미서훈 | 허훈의 손자 | |
셋째 허겸 | 건국훈장 애국장 (1991) | 허위의 계형 | |
넷째 허위 |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1962) | 본인 | |
허형 | 건국훈장 애국장 (1991) | 허위의 장남 | |
허영 | 미서훈 | 허위의 차남 | |
허준 | 미서훈 | 허위의 삼남 | |
허국 | 미서훈 | 허위의 사남 | |
사촌 허형 | 미서훈 | 허위의 종형 | |
허발 | 미서훈 | 허형의 차남 | |
허은 | 건국훈장 애국장 (2018) | 허발의 장녀 | |
허길 | 건국포장 (2008) | 허은의 고모 | |
허규 | 미서훈 | 허발의 삼남 | |
사촌 허필 | 건국포장 (2019) | 허위의 종제 | |
허형석 | 미서훈 | 허필의 차남 | |
이기영 | 건국훈장 애국장 (2002) | 허위의 사위 | |
이병화 | 건국훈장 독립장 (1990) | 허은의 배우자 | |
이준형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이병화의 부친 | |
이상룡 | 건국훈장 독립장 (1962) | 이병화의 조부 | |
이원기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장남 | |
이육사 | 건국훈장 애국장 (1990) | 허길의 차남 | }}}}}}}}} |
[1] 고성 이씨 탑동파 집성촌이다.[2] 음력 5월 12일.[3] 현 중국 지린성 지린시 수란시(舒蘭市) 샤오궈촌(燒鍋村).[4] 참판공파 30세 희(羲)·동(東) 항렬.(대동보)[5] 아버지는 권진하(權鎭夏)이다.[6] 자는 군현(君顯).[7] 음주운전으로 추정된다.[8] 대표적인 예시로 미스터 션샤인이 있을 것이다. 해당 드라마에 등장하는 주연 문중이 겪는 비극의 모티브가 임청각에서 따온 것이다.[출처] '이준형의 독립운동과 임청각의 수난'(한국독립운동사연구 63집 수록, 김희곤 前 안동대 교수)[10] 일본에도 풍수지리가 있으나 정기를 끊는다는 식의 풍수지리를 믿지는 않는다.[11] 이런 상황을 잘 보여주는 것이 1936년 8월 11일 동아일보 보도다. 당시 기사인 추측(推測)이 구구(區區)하는 안동역 확정(安東驛確定)에 따르면, 당시 동서 방향으로 이루어진 기존 안동역사를 유지할 것이냐를 두고 안동 주민들 간에 온갖 논쟁이 분분했다는 이야기와 신축역사를 예상하고 예상 후보지를 비싼 값에 사들였던 사람들이 기존 안동역사를 재활용한다는 안에 반발했다는 일화가 언급된다.[12] 사실 역사를 새로 짓는 것 보다는 기존 역사를 활용하는것이 예산이나 효율성 면에서도 훨씬 낫긴 하다.[13] 물론 중앙선 최초 준공 당시인 1942년에도 죽령터널(4.6km)같은 장대터널은 가능했다. 하지만 이건 소백산맥을 관통하는 터널(충청북도 죽령역~경상북도 희방사역)이라 안동역~서지역처럼 낙동강을 따라 대체노선 건설이 가능했던 지형과는 다른 케이스라고 봐야할 것이다. 산을 통과하는 경우가 많은 중앙선 특성상, 중앙선은 가급적 터널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지어졌는데, 예를 들어 치악역~신림역 사이의 치악터널은 치악산의 산세가 완만해지는 원주천을 따라 지어 치악산을 정면으로 관통하는 형식보다는 산자락을 빙돌아 우회하는 식으로 노선을 지었으며, 팔당역~양수역 사이의 노선 역시 터널을 직접적으로 뚫기보다 예봉산, 예빈산을 우회하여 북한강을 따라가는 식으로 능내리쪽에 노선이 지어졌다(산을 관통하는 팔당터널이 생긴건 한참 뒤의 일이다)[14] 2009년 8월 17일 뉴스투데이의 "주인없이 떠도는 '비운의 임청각'이라는 기사에도 언급되기에 2011년 최초 언급설은 신빙성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