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04 23:12:01

샤를 알레베크

파일:Courant_-_Souvenir_de_Séoul,_Corée-03d.jpg
샤를 알레베크
Charles Alévêque
한국명 안례백(晏禮百)
출생 1865년 7월 5일
사망 1925년 1월 2일
국적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1. 개요2. 생애3. 알레베크 사진 엽서
3.1. 엽서 목록3.2. 기타
4. 같이보기

[clearfix]

1. 개요

구한말 활동했던 프랑스인이다. 한국 최초의 알레베크 사진 엽서를 만들었으며 역시 최초인 프랑스어-한국어사전을 편찬하였으며 만국박람회 대한제국 정부 대리인을 담당하였다.

2. 생애

알레베크는 지한파 프랑스인으로 프랑스대한제국 중간에서 여러 역할를 하였다. 상하이의 '인도 극동 프랑스회사’의 대리인 자격이 있었던 그는 무역업자로 대한제국 정부의 근대화 사업 구매 물품의 중개역을 담당하였으며 1897년 10월 처음 한국에 온 이후 대한제국과 상하이를 왕래하였고, 1899년 3월에는 대한제국 정부의 重소총 구입에 관여하였으며 대한제국과 프랑스의 차관 협상에 대한제국 정부의 협상 대리인으로 임명되어 프랑스로 파견되었다.[1] 이때 1900 파리 엑스포의 정부 대리인도 맡았던것으로 보인다. 1901년 7월에는 롱동(Rondon)과 통킹(Tonkin)에 가서 쌀을 구입하여 왔다.[2] 또한 그는 서울 정동에 설립된 관립 외국어학교의 프랑스어 교사도 맡았으며 1901년 최초의 불한 사전인 '법한자전(法韓字典)'을 편찬하였다. 프랑스어 제목은 ‘Petit Dictionnaire Français-Coréen’이다. 머릿말에 “À Monsieur Collin de Plancy Ministre de France à Séoul”라 쓰여있어 당시 주한 프랑스 대사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Collin de Plancy)[3]에게 바친다고 하였다. 참고로 최초의 한불 사전은 1880년펠릭스 클레르 리델[4] 주교가 만든 한불자전(韓佛字典)이다.
파일:petitdictionair00alevgoog_0004.jpg
파일:petitdictionair00alevgoog_0017.jpg

3. 알레베크 사진 엽서

한국 우정사와 연관도 있는데 한국 최초의 사진 엽서가 바로 알레베크 사진 엽서이기 때문이다. 1899년 프랑스 우편 고문인 클레망세(E. Clemencent)가 한국의 여러 모습을 담은 사진 엽서판매하면 재정에 도움이 될 수있다는 건의를 하여 대한제국 정부가 샤를 알레베크에게 그가 촬영한 사십여 장의 궁궐과 풍속 사진엽서로 제작해 줄 것을 의뢰하였다. 이것이 이른바 알레베크 사진 엽서로 한국 우정사 최초의 사진 엽서로서 가치가 크다. 총 48장으로 여러가지 당시의 모습을 볼 수 있는 사진들로 구성되어 있어 구한말 풍속사에 귀중한 자료이다. 한국에서 찍은 사진을 프랑스로 가져가 인쇄하여 제작하였으며 1900 파리 엑스포 때 한국관 기념품으로 팔았다. 일부는 우리나라에 가져와 대한제국 독수리 보통 우표를 붙여서 판매하였다. 48장 중 명성황후 국장 사진이 꽤 된다. 엽서의 형식은 사면의 백색 테두리안에 사진이 있는 형식이고, 오른편에 '알네ᄇᆡᆨᄭᅳ 법국 교사 셔울 ᄃᆡ한'이라는 국문이 쓰여 있으며, 왼편 맨 위쪽에 'Séoul (Corée)'라는 불문, 아랫면에는 엽서 번호와 사진 설명이 적혀 있다.

3.1. 엽서 목록

파일:명성황후 추정사진의 알레베크 사진엽서.jpg
명성황후로 추정되는 엽서[5]
파일:cp0710b20275_001_460.jpg
파일:cp0710b20131_001_460.jpg
본인과 학생들의 사진으로 만든 엽서 권신 김홍륙 엽서[6]
파일:cp0710b20162_001_460.jpg
파일:cp0710b20163_001_460.jpg
명성황후 국장 사진으로 만든 엽서
파일:678775575.png
파일:de5de3cefdae1cea689ba361e11aded9ca165bd173c41a7da80e376.png
탁지부 대신 이용익의 엽서[7] 궁궐의 옥좌 엽서

3.2. 기타

4. 같이보기



[1] 1984, 전정해, 광무년간의 산업화 정책과 프랑스 자본 인력의 활용, 국사논총[2] 1984, 전정해, 광무년간의 산업화 정책과 프랑스 자본 인력의 활용, 국사논총[3] 파일:Courant_-_Souvenir_de_Séoul,_Corée-03a.jpg 그의 사진. 고서 수집광으로 직지심체요절을 길거리에서 구입한 사람이다.[4] 천주교 서울대교구 제6대 교구장[5] 1977년부터 최근까지 국사 교과서에 실렸던 사진이다. 사진 설명이 Dame du Palais. - Costume de ceremonie으로 정장 차림의 궁중 여인이란 뜻이다. Dame이란 단어를 쓴것은 궁녀로 해석된다. 왕비를 뜻하는 reine을 쓰지 않았다.[6] 황제를 독살하려 한 죄로 사형당한 대귀족 김홍륙, 그의 시신은 거리에 팽개쳐진 채로 종로 광장에 이르렀고 군중들은 그의 배를 갈라 따뜻한 간을 꺼내 먹었다"라는 설명이 쓰여 있다.[7] 대한제국프랑스 제3공화국간의 차관 협상으로 교섭했던 이용익은 프랑스와의 차관 협상 때 샤를 알레베크를 협상 대리인으로 프랑스에 파견하였다. 알레베크는 차관 협상 대리인 겸 1900 파리 엑스포 대리인으로 가서 이 사진들을 인화하고 판매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