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2 20:32:19

삼척시장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삼척시/정치
,
,
,
,
,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강릉 동해 삼척 속초 원주
김홍규 심규언 박상수 이병선 원강수
춘천 태백 고성 양구 양양
육동한 이상호 함명준 서흥원 김진하
영월 인제 정선 철원 평창
최명서 최상기 최승준 이현종 심재국
홍천 화천 횡성
신영재 최문순 김명기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경기 · 강원 · 충북 · 충남 · 전북 · 전남 · 경북 · 경남 }}}}}}}}}}}}}}}

파일:삼척시 CI_White.svg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박환주
제2대
양종석
제3대
한상철
제4대
김광용
제5대
최제동
제6대
김대종
제7-8대
남동우
제9-11대
김일동
제12-13대
김대수
제14-15대
김양호
제16대
박상수
파일:삼척시 도시브랜드.svg }}}}}}}}}
<colcolor=#fff> 파일:기초자치단체 CI_White.svg
'''(시/도) (기초자치단체장)
한문명
영문명
'''
현직 <colbgcolor=#fff,#1f2023>(이름) / 제N대 (민선 n기)
취임일
정당
홈페이지 해당 기초자치단체 사이트의 기초자치단체장 홈페이지 링크를 입력해주세요.


[clearfix]

1. 개요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장은/는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을/를 대표하고, 그 사무를 총괄하는 기초자치단체장이다. 근무지는 (주소)에 있는 기초자치단체청사이다. ?급 공무원 상당의 대우를 받고, 4년에 1회마다 치러지는 전국동시지방선거를 통해 주민들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3회까지 연임할 수 있다.

2. 상세

상세한 특징을 입력해주세요.

3. 명단

아래는 예시입니다. 4.1번 문단은 필요시 작성하지 않으셔도 무방합니다.
===# 과거 (시/군/구)가 속했던 지역의 장 #===
<rowcolor=#fff> 대수 성명 재임 기간 정부 및 당적[1] 기타
(간/관/직)선 (광역) (기초) (읍면동)장
N대
(광역) (기초청사) XX출장소장
초대 XXX 시정

3.1. (기초자치단체장)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년 (기초단체) 분리 이전 現 (기초단체) 지역을 관리했던 사람에 대한 내용은 (기초자치단체 청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rowcolor=#fff> 대수 성명 재임 기간 정부 및 당적[2] 기타
관선 (광역단체) (기초장)[?급]
초대
민선 (광역단체) (기초장)[?급]
N대 정당 틀 삽입

4. 역대 선거 결과

파일:기초자치단체 CI_White.svg 역대 광역자치단체 기초자치단체장 선거 결과
1995 1998 2002 2006 2010
민주자유당
한나라당
한나라당
이름
2014 2018 2022
새누리당
더불어민주당
국민의힘
이름

4.1. 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일동(金日東) 18,219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8.14% 당선
2 김종성(金鍾星) 8,171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10% 낙선
3 백점화(白漸和) 3,328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96% 낙선
4 신현선(辛賢善) 18,050 2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7.78% 낙선
선거인 수 62,583 투표율
78.98%
투표 수 49,427
무효표 수 1,659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일동 1회 지선.jpg 파일:김종성 1회 지선.jpg 파일:백점화 1회 지선.jpg 파일:신현선 1회 지선.jpg }}}}}}}}}

4.2. 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신현선(辛賢善) 19,916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43.42% 낙선
4 김일동(金日東) 25,951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6.57% 당선
선거인 수 61,487 투표율
76.07%
투표 수 46,774
무효표 수 907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신현선 2회 지선.jpg 파일:김일동 2회 지선.jpg }}}}}}}}}

4.3. 제3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일동(金日東) 23,204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56.63% 당선
2 이영대(李永大) 15,224 2위


[[새천년민주당|
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37.16% 낙선
3 김주선(金周善) 2,540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19% 낙선
선거인 수 59,541 투표율
69.98%
투표 수 41,665
무효표 수 697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일동 3회 지선.jpg 파일:이영대 3회 지선.jpg 파일:김주선 3회 지선.jpg }}}}}}}}}

4.4. 제4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호성(安浩星) 10,987 2위


[[열린우리당|
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
28.22% 낙선
2 김대수(金大壽) 12,535 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2.19% 당선
6 신상균(申相均) 8,57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22.03% 낙선
7 이정훈(李楨勳) 6,82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7.54% 낙선
선거인 수 57,751 투표율
68.90%
투표 수 39,790
무효표 수 860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안호성 4회 지선.jpg 파일:김대수 4회 지선.jpg 파일:신상균 4회 지선.jpg 파일:이정훈 4회 지선.jpg }}}}}}}}}

4.5.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안호성(安浩星) 17,842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45.35% 낙선
7 김대수(金大壽) 21,500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54.64% 당선
선거인 수 58,602 득표율
68.91%
투표 수 40,385
무효표 수 1,043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안호성 5회 지선.jpg 파일:김대수 5회 지선.jpg }}}}}}}}}

4.6.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대수(金大壽) 15,606 2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37.55% 낙선
4 김양호(金良鎬) 25,948 1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62.44% 당선
선거인 수 61,597 투표율
68.84%
투표 수 42,404
무효표 수 850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대수 6회 지선.jpg 파일:김양호 6회 지선.jpg }}}}}}}}}

4.7.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양호(金良鎬) 24,683 1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1.80% 당선
2 김인배(金仁培) 13,211 2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33.08% 낙선
6 이병찬(李丙燦) 1,389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3.47% 낙선
7 양희태(梁熙泰) 653 4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1.63% 낙선
선거인 수 59,117 투표율
69.41%
투표 수 41,033
무효표 수 1,097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양호 7회 지선.jpg 파일:김인배 7회 지선.jpg 파일:이병찬 7회 지선.jpg 파일:양희태 7회 지선.jpg }}}}}}}}}
한나라당 도의원 출신의 전형적인 영동 정치인 김양호의 운명을 바꿔놓은 것은 삼척 원전건설 계획이었다. 4년 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삼척에 원전을 짓겠다는 공약을 내세운 새누리당 김대수 후보에 맞서 무소속 출마를 감행하고, 당선 뒤에는 삼척시민들의 반대의견서를 제출하기도 했으나, 오히려 박근혜 정부에게 밉보이게 되었다. 이후, 탈 원전 정책을 내놓는 정당에 입당하겠다는 플랜을 내세워 시장에 당선된 그가 약속대로 문재인 정부더불어민주당의 탈 원전 정책에 맞춰 민주당에 입당하여 당적을 가지고 시장 재선에 도전하였다. 민주당이라는 당적 자체가 마이너스 요인이 되던 과거와는 달리 60%대 득표율로 압승.

4.8.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삼척시 CI_White.svg 삼척시장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김양호(金良鎬) 17,107 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46.61% 낙선
2 박상수(朴相洙) 18,031 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49.12% 당선
4 김대수(金大壽) 사퇴


[[무소속(정치)|
무소속
]]
5 안호성(安浩星) 1,563 3위


[[무소속(정치)|
무소속
]]
4.25% 낙선
선거인 수 57,023 투표율
65.85%
투표 수 37,548
무효표 수 847
선거 벽보[5]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양호 8회 지선.jpg 파일:박상수_2022벽보.jpg 파일:안호성 8회 지선.jpg }}}}}}}}}
여론조사상으로 현직 시장인 더불어민주당 김양호 후보가 앞서는 결과도 있었지만 높은 정당 지지율과 윤석열 대통령의 허니문 효과에 힘입어 국민의힘 박상수 후보가 접전승을 따냈다.

5. (시/군/구)정 구호

<rowcolor=#fff> 기초자치단체장 슬로건
이름 (민선 N기)
이름 (민선 8기)

6. 관련 문서


[1]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2] 관선의 경우 임명 정부명 기재, 민선의 경우 당선 시 기준. 당적 변동 사항은 각주로 기재.[?급] [?급] ?급 대우[5] 김대수 후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도서관에서 후보자선전물이 확인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