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4:37:45

삼성당지하차도

1. 개요2. 건설 과정
2.1. 지하차도 공사, 그러나...2.2. 한국철도시설공단과 고양시 사이의 소송2.3. 공사 재개2.4. 개통2.5. 확장 공사
3. 기타4. 관련 문서

1. 개요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토당동에 있는 지하차도로, 능곡역대곡역 사이에 있다. 2016년 3월 5일경의선 하부를 통과하는 왕복 2차로의 입체 지하차도로 개통했다. 삼성당이라는 이름은 이 근처에 있는 마을인 '삼성당마을'에서 따온 이름이다.[1]

2. 건설 과정

이전에는 평범한 지상 건널목이었다. 문제는 한국철도시설공단고양시청 사이의 엄청난 삽질 때문에, 유명하지 않았던 시외 변두리의 조그만 왕복 2차로 지하차도 문서가 여기에 등재된 것.

경의선 복선 전철화 이전부터 건널목으로서 존재했지만 이 때는 단선 시절이라 지금처럼 열차가 자주 다니지 않았고, 통근열차가 30분~1시간 간격으로 전체적인 차량 흐름에 방해가 되지 않게 다녔지만 2009년 7월 경의선의 복선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이 일대에 최악의 헬게이트가 열려 버렸다.

1990년대부터 조성된 아파트 단지부터 최근엔 뉴타운 사업까지 시행되면서 점점 거주 주민 수가 늘어가고 있지만 일산으로 접근하기 위해선 이 건널목을 건너야 하고, 일산에서 능곡으로 갈 때도 이 곳을 건너가야 한다. 중앙로를 타고 능곡-일산을 오갈 수 있긴 하지만, 사실 이 동네에서 중앙로 타러 가려면 그것도 그거 나름대로 헬게이트다. 화정 방향으로 가더라도 진입 램프가 꼬일 대로 꼬여 있어서 어디쯤 가서 유턴, 혹은 P턴, 그리고 신호등을 만난다. 이 곳 주민이라면 건널목 시간대만 잘 맞추어 넘어가면 뻥 뚫린 왕복 4차선 도로로 신나게 달릴 수 있다. 하지만 시간대를 잘못 맞춰 나가면, 내려가 있는 철길 차단기 때문에 2~5분을 그대로 내다 버린다. 이 건널목을 지나는 버스 노선도 7개나 된다. 그리고 근처에 초등학교도 있어서 그야말로 이 부근은 헬게이트. 이유는 좁은 도로폭과 자주 내려가는 건널목 차단기 때문이다.

이 건널목을 건너기 위한 도로는 왕복 2차로로 아주 좁다. 게다가 근처 연립에 사는 사람들이 연립주택 자체에 제대로 된 주차시설이 없는 지라 너도 나도 울며 겨자먹기로 도로 이면에 주차를 해 놓아 버리다 보니, 도로 폭은 좁을 대로 좁고 다니는 차량은 많고 열차는 자주 지나가고 출퇴근 시간은 아수라장. 심지어 1998년에는 방화역-일산 간 노선인 김포교통 310번 좌석버스[2]가 이 건널목을 무단횡단하다가 지나가던 열차에 그대로 충돌하여 다수의 사상자(사망자 2명)가 발생하는 사고도 있었다.

2.1. 지하차도 공사, 그러나...

사실 이 건널목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서 고양시청이 2008년부터 지하차도를 건설하기로 결정했다, 그렇게 열심히 공사를 하고 있었으나.... 어느 순부터 갑자기 절반을 뚫어 놓은 지하차도가 공사를 안 하더니, 2011년 9월 지하차도를 아스팔트로 완전히 메워버렸다, 실제로 다음 로드뷰에서 해당 건널목을 연도별로 보면 지하차도가 사라지는걸 그대로 볼 수 있다. 이 동네를 다음 로드뷰를 통해서 봐도 이상하게 차량은 많고 도로는 좁다는 걸 그대로 볼 수 있다.[3] 분명 2008년, 2009년, 2011년 순으로 봤는데 과거로 돌아간 느낌. 다음 로드뷰는 2011년 10월을 기준으로 되어 있는데, 최근엔 이보다 더한 게 주석의 로드뷰 링크를 통해서 보면 메워진 지하차도 위를 포장까지 해서 확장이라도 하는줄 알았는데 가운데 부분을 안전지대로 만들어 놓고 여전히 왕복 2차로로 만들어 버리는 짓을 저질러버렸다.

2.2. 한국철도시설공단과 고양시 사이의 소송

삼성건널목 공사가 무산된 이유는 사실 돈이 없어서가 아니라, 한국철도시설공단고양시청 사이에 소송이 걸린 탓이라고 한다. 결국 피해를 보는 건 고양시민들. 그래서 늘상 이쪽 건널목 문제는 선거 떡밥으로 등장했다.
파일:rz45BJ3.jpg 파일:zOmdXRl.jpg

가장 큰 타격을 받는 곳은 주민과 이곳을 지나가는 버스 노선들이다. 우스갯소리로 노선 바꾸면 되고, 중앙로로 간다고 해결될 일이 아니다. 도로 상태는 거지같지만, 이 도로는 일산 호수로와도 직결되고 중앙로로 몰리는 차량을 분산시키는 효과도 있다. 제2자유로 능곡나들목,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자유로분기점과도 연계가 되어 있고, 39번 국도도 연결되어 있고. 어쨌거나 열리지 않는 건널목이 되면, 중앙로는 말 그대로 헬게이트를 넘어설 수 있는 최악의 교통체증이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이 건널목을 넘는 노선은 주로 능곡 주민들을 위한 노선들이다. 영등포 방향 서울 버스 760, 서울 버스 9707 / 김포국제공항 방향 파주 버스 150, 그리고 몇몇 마을버스들까지... 대부분 20년은 족히 넘은 노선들이다. 일산신도시가 막 개발될 즈음 아직 중앙로 일대는 개발이 이루어지기 이전이었고, 따라서 백석초등학교~8블럭~삼성당을 거쳐 능곡역을 경유하는 노선이 발달했는데, 하필 지나가야 하는 곳이 이 건널목이었다. 또한 이 도로는 일산신도시 개발 이전, 즉 중앙로 건설 이전에 서울(수색)~화전~능곡~일산을 잇던 398번 지방도였던 길이었다. 그렇기에 무작정 노선을 바꾼다면 이 곳 주민들의 편의에도 심각한 문제가 생기게 된다.

시외버스 3700번같은 경우에는 한때 39번 국도 우회도로를 타지 않고 행주고가에서 능곡역을 거치는 형태로 운행한 적이 있었는데, 이 때문에 능곡역에도 세워 달라는 승객들과 버스 회사간 실랑이가 발생하다가 빡친 버스 회사에서 다시 지금과 같이 노선을 돌려놓은 적도 있다.

실제로 이 곳을 자주 다니는 버스 기사, 주민과 건널목 관리자 간에 실랑이도 자주 목격이 된다고 한다. 기사들이 불만을 토로하는 주된 이유는 '왜 열차가 지나가려면 멀었는데 일찌감치 잡아서 내 배차 시간을 못 맞추게 하냐?'인데, 관리하는 직원들은 대부분 연세도 많은데 한결같이 '우린 월급받고 여기 나와서 일하는 거 밖에 없다.'의 입장. 열차가 대곡역이나 능곡역에 도착했을 때부터 이 건널목에선 알림이 울리기 시작해 차단기가 내려가고, 이것은 철도운행세칙에 따른 적법한 차단기 운용이다. 두 쪽 다 틀린 말은 아니지만 이런 사례를 봤을 때, 버스 기사들과 주민들의 답답함은 이미 한계점에 다다랐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그렇다고 연세 드신 분들에게 막말하는 발언은 자제하고, 행동도 조심하자. 차단기가 내려가는 걸 본 한 운전자는 말 그대로 곡예운전으로 관리자분들의 제지도 뿌리치고 차단기 밑으로 통과하는 난폭운전을 시전하기도 했다. 말 그대로 돈 받고 일하는거 밖에 없다.

2.3. 공사 재개

파일:yhar7Bx.jpg
2015년 7월 14일부터 다시 지하차도 공사가 재개되었다.[4] 정말로 메운걸 다시 파기 시작.[5] 이 지하차도 공사 기간동안 이 건널목을 경유하는 버스들은 죄다 우회하여 운행하였으며, 개통과 동시에 환원되어 지하차도를 경유하게 되었다.
이 블로그포스트의 영상을 보면 왕복 2차선짜리 지하차도로 보인다. 실제로도 편도 1차선의 왕복 2차선이며, 능곡역 쪽에서 들어가는 길은 골목길이지만 삼성당으로 나오면 바로 4차선 도로로 바뀌게 된다. 이는 39번 국도와의 입체교차로가 존재하기 때문.

2.4. 개통

아니나 다를까 티스푼 공사답게 2015년 12월 31일 개통 예정이었으나 공사기간이 연장되어 2016년 3월 5일 정식 개통했으며,[6][7] 당일 오후 2시부터 통행이 시작되었다.

2.5. 확장 공사

개통 약 6년 후인 2022년 3월 14일부로 확장 공사에 돌입하여 동년 12월 14일까지 통행이 통제되었고, 지하차도 경유 버스들은 건설 당시처럼 우회 운행했다. 2022년 12월 15일에 재개통하였다.

3. 기타

이 곳과 비슷한 과정을 겪고 있는 곳으로는 백마역 부근에 위치한 백석리건널목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강촌로지하차도 문서를 참조.

4. 관련 문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2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동명의 사카린 브랜드와는 무관하다.[2] 2001년 폐선. 폐선 후 명성운수에서 31번으로 신설. 명성운수에서 신성교통으로 넘겼다가 310번 도시형버스로 바뀐 뒤 2010년경 폐선되었다.[3] 해당 로드뷰 링크[4] 관련게시물, 2015-06-29, 디시인사이드[5] 「고양시, 능곡 삼성지하차도 공사 재개」, 2015-07-16, 불교공뉴스[6] 「고양시, 능곡 삼성지하차도 공사 완료」, 2016-03-04, 불교공뉴스[7] 「고양시 능곡 삼성지하차도 개통 철도건널목 시민 안전사고 예방」, 2016-03-06, 경기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