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아교육법 제9조(유치원의 병설) 유치원은 「초·중등교육법」 제2조에 따른 초등학교·중학교 및 고등학교에 병설될 수 있다. 고등교육법 제45조(부설학교) ③ 교육대학·사범대학 및 종합교원양성대학은 필요한 경우 제1항에 따른 부설학교 외에 유치원·초등학교나 특수학교를 부설할 수 있다. 제51조의2(유치원 부설) 전문대학(유치원 교사 양성을 위한 과가 개설된 전문대학에 한정한다)은 「유아교육법」 제22조제2항에 따른 교사 양성을 위한 현장연구 및 실습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유치원을 부설할 수 있다. |
초.중.고등학교 또는 대학에서 설립하는 유치원을 말한다. 대다수가 초등학교 휘하인 경우가 많고, 중학교&고등학교[1] 및 대학[2] 휘하의 유치원도 존재하지만, 그 수는 많지 않다. 초·중·고등학교의 교장이 유치원의 원장도 겸한다.
2. 특징
병설유치원의 경우 그 학교 건물의 교실을 활용하는 경우도 있고, 부지가 넓으면 아예 별도의 건물을 두는 경우도 있다. 근래에 개교된 초등학교 중 병설유치원을 두는 학교에서는 높은 확률로 병설유치원 건물이 별도로 존재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요즘 들어서 저출산의 영향으로 학생 수가 대폭 줄어들어서 빈 교실이 늘어나는 일반 초등학교에 병설유치원을 부설하자는 의견이 있으나, 초등학교 관리자인 교장들은 급여가 늘어나는 것도 아닌데 유치원의 원장까지 겸하면 업무 범위와 책임이 늘어나게 되는 상황이라서 유치원이 부설되는 것을 반대하는 경우가 많다. 국립유치원의 경우 강릉원주대와 공주대 병설유치원은 유아교육과 및 관련 학과의 대학 교수가 맡고, 교원대 병설유치원은 전임원장이 있어서 해당 학부의 학장 혹은 해당 대학교의 총장이 유치원 원장까지 맡지는 않는다.공립유치원에서는 시설이 대부분의 국공립유치원 중에서 보통 이상의 시설을 가지고 있다. 병설유치원에서 자라면 대부분 그 학교로 가는지라[3] 유치원 때부터 초등학교를 같이 지낼 소울메이트를 만날 수 있다. 초등학교 적응 문제를 이유로 공립 유치원에 보내더라도 단설보다는 병설을 선호하는 사람들도 많다. 다만 몇몇 초등학교 병설유치원들은 교육청이 통제하는 급식을 먹어서 급식의 질은 좋긴 하지만 초등학생들이 먹는 급식을 그대로 먹어 매운 반찬을 먹게 되는 등 다른 의미로 급식 문제가 있기는 하다.
대학 부속 유치원의 경우 자신의 학교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실습용으로 두고 있으며, 국립대학 부설유치원은 당연히 국립이다. 전국 통틀어서 딱 3개의 국립유치원이 있는데, 국립강릉원주대학교[4], 국립공주대학교[5], 한국교원대학교[6]에 있는 부설유치원이 그것들이다.
시골 지역과 경기도의 신도시들은 관내 최초의 유치원이 병설유치원인 경우가 상당히 많다. 또한 몇몇 병설유치원들은 주변 병설유치원들과 합쳐 공립 단설유치원을 만들면서 폐원되었다. 이런 경우는 곡성군 곡성읍, 달성군 화원읍 등에서 볼 수 있다.
3. 병설유치원만 있는 시군
-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 병설유치원만 있는 군 중 서울과 가장 가깝지만, 인구는 처참하리만큼 적다.
- 강원특별자치도 고성군 - 2023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폐원되었다.
- 충청남도 서천군 - 병설유치원만 있는 군 중 인구가 가장 많다.
- 전북특별자치도 진안군 - 2008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폐원되었다.
- 전라남도 신안군 - 섬으로만 이루어진 군이라 각 면마다 있다.
- 전라남도 강진군 - 병설유치원만 있는 군 중 가장 남쪽에 있다.
- 전라남도 함평군 - 2020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폐원되었다. 광주광역시 편입론이 있다.
- 전라남도 보성군 - 2024년 군내 모든 사립유치원이 폐원되었다.
- 대구광역시 군위군 - 2023년 7월 1일 대구로 편입되어 병설유치원만 있는 군 중 유일하게 광역시 산하의 군이 되었다.
- 경상북도 청송군 - 1990년대~2000년대에 군내 모든 사립유치원이 폐원되었다.
- 경상북도 영양군 - 2020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폐원되었다.
- 경상북도 울진군 - 2020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무기한 휴원에 들어갔다.
- 경상북도 영덕군 - 2023년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폐원되었다.
- 경상남도 산청군 - 1990년대~2000년대에 군내 마지막 사립유치원이 폐원되었다.
4. 유치원을 병설한 학교 목록
※ 나무위키에 문서가 존재하는 학교만 기재할 것.4.1. 수도권
- 서울특별시
- 서울가재울초등학교
- 서울고명초등학교
- 서울구의초등학교
- 서울개포초등학교
- 서울번동초등학교
- 서울신천초등학교
- 서울영서초등학교
- 서울영중초등학교
- 서울은평초등학교
- 서울잠신초등학교
- 서울잠일초등학교
- 서울정심초등학교
- 서울평화초등학교
- 서울세륜초등학교
- 서울신은초등학교
- 서울송파초등학교
- 서울동일초등학교
- 서울등명초등학교
- 서울돈암초등학교
- 서울포이초등학교
- 서울영희초등학교
- 서울이문초등학교
- 인천광역시
- 인천가정초등학교
- 인천남촌초등학교
- 인천동춘초등학교
- 인천만수초등학교
- 인천금곡초등학교
- 인천간석초등학교
- 인천고잔초등학교
- 인천숭의초등학교
- 인천주안초등학교
- 인천갈월초등학교
- 인천십정초등학교
- 인천영종초등학교
- 인천당하초등학교
- 인천굴포초등학교
- 인천백운초등학교
- 경기도
4.2. 충청권
- 충청북도
4.3. 경상권
4.4. 전라권
- 순천시
5. 출신 인물
[1] 대표적으로 창녕유치원. 창녕여자중·고등학교 병설이다. 다만 이쪽은 사립학교라 일반적으로 말하는 병설유치원과는 달리 이름만 병설인 단설유치원에 더 가깝다. 이는 다른 사립학교도 마찬가지. (실제로 네이버 지도에 검색해보면 XX중·고등학교 병설YY유치원 이런 식으로 나온다.)[2] 유아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라면 교생실습 등을 이유로 부속유치원으로 운영하기도 한다.[3] 예외는 중/고등학교 및 국립대 병설로 가게 될 경우다. 당연히 연결고리가 없으므로 당장 그 학교에 진학하지는 않고, 향후 그 중/고등학교에 다니게 되더라도 학군에 따른 배정 혹은 비평준화 지역의 경우 소정의 시험을 통해 진학하게 된다.또한 거주지 기준으로 병설유치원과 그 초등학교가 700미터 거리에 있다고 가정했는데 다른 초등학교가 300미터 거리에 있는 경우 등에도 예외이다.[4] 본래는 국립 원주대학의 부속유치원이었다가, 강릉대학교랑 통합된 이후 강릉원주대학교부설유치원으로 전환하였다.[5] 본래는 국립 공주문화대학의 부속유치원이었다가, 공주대학교로 통합된 이후 공주대학교사범대학부설유치원으로 전환하였다.[6] 본래는 공립 월곡초등학교의 병설유치원이었다가, 부설학교로 편입된 이후 한국교원대학교부설유치원으로 전환하였다.[7] 2015년 3월 15일에 은빛유치원에서 상진초등학교 병설유치원으로 전학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