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20:50:45

배글리급 구축함

배글리급에서 넘어옴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제2차 세계 대전의 미합중국 해군 군함 파일:Jack of the United States.pn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제2차 세계 대전
미군해군 군함
구잠함(PC) <colbgcolor=white,#191919>PC급 구잠함
초계함(PG) 더뷰크급, 이리급
호위함(FF) 애슈빌급, 타코마급, 컨스티튜션급
호위구축함(DE) 에바츠급, 버클리급, 캐논급, 에드솔급, 루더로우급, 존 C. 버틀러급, 딜리급A, 클라우드 존스급A
구축함(DD) 샘슨급, 칼드웰급, 윅스급, 클렘슨급, 계획 1919 향도, 패러것급, 포터급, 머핸급, 그리들리급, 배글리급, 소머즈급, 벤험급, 심즈급, 벤슨급, 글리브스급, 플레처급, 알렌 M. 섬너급, 기어링급
잠수함(SS) O급, R급, S급, 바라쿠다급, 아르거넛급, 나왈급, 카샬롯급, 포어포이즈급, 새먼급, 사르고급, 탬버급, 가급, 마크렐급, 가토급, 발라오급, 텐치급
경순양함(CL) 오마하급, 브루클린급, 세인트루이스급, 애틀랜타급, 클리블랜드급, 파고급A, 주노급A, 프로젝트 A, 프로젝트 CL-154급, 우스터급A
중순양함(CA) 펜사콜라급, 노스햄프턴급, 포틀랜드급, 뉴올리언스급, 위치타급, 볼티모어급, 프로젝트 CA-B, 오리건시티급A, 디모인급A
대형순양함(CB) 알래스카급, 프로젝트 CA2-D, 프로젝트 CA2-F
순양전함(CC) 렉싱턴급
전함(BB) 플로리다급, 와이오밍급, 뉴욕급, 네바다급, 최대 전함, 펜실베이니아급, 뉴멕시코급, 테네시급, 콜로라도급, 사우스다코타급(1920), 노스캐롤라이나급, 프로젝트 1058, 사우스다코타급(1939), 아이오와급, 몬태나급
호위항공모함(CVE) 롱 아일랜드급, 차져급, 보그급, 생가몬급, 카사블랑카급, 커먼스먼트 베이급
경항공모함(CVL) 인디펜던스급, 사이판급A
정규항공모함(CV) 랭글리, 렉싱턴급, 레인저, 요크타운급, 와스프, 로빈(빅토리어스)UK, 에식스급, 타이콘데로가급, 미드웨이급A
수상기모함(AV) 커티스급, 탕헤르급, 바네갓급, 커리턱급, 케네스 화이팅급
병원선(AH) 릴리프, 솔러스, 컴포트급, 바운티풀, 사마리안, 레퓨지, 헤이븐급, 안타이오스
군수지원함 키어사지AB, 베스탈AR
잠수함모함(AS) 풀턴급
구축함모함(AD) 딕시급
소해함 랩윙급, 레이븐급, 오크급, 호크급, 어드미러블급
어뢰정 PT 보트
공격수송함 존 펜, 아서 미들턴급, 프레드릭 펀스턴급, 도이엔급, 윈저급, 옴스비급, 베이필드급, 섬터급, 길리엄급, 하스켈급, 폴 리비어급A, 리버티급, 빅토리급
연습항공모함 울버린급, 세이블급
지휘함 마운트 매킨리급, 애디론댁급
기타 함선 USS QUARTZ
취소선: 계획만 되거나 건조 중 취소, 윗첨자A: 전후 완공, 윗첨자UK: 영국으로부터 대여, 윗첨자AB:구난/공작함, 윗첨자AR:공작함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둘러보기 :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의 운용장비 | 파일:해상병기 아이콘.svg 해상병기 }}}
}}}}}}


파일:배글리급 구축함.jpg

1. 개요2. 제원3. 상세
3.1. 설계3.2. 무장
4. 자매함 목록5. 활약6. 관련 문서


Bagely class destroyer

1. 개요

배글리급 구축함미 해군이 건조한 구축함이다. 총 8척이 건조되었고, 모두 1937년에 취역하였다. 8척 모두 태평양 전쟁 당시 태평양에서 복무하였으며, 전쟁 중에 상당한 활약을 했다.

함급의 명칭은 미국-스페인 전쟁 당시 전사한 유일한 미해군 장교인 워스 배글리 소위의 이름에서 따왔다. 어뢰정인 USS Bagely (TB-24), 윅스급 구축함인 USS Bagley (DD-185)에 이어 세번째로 그의 이름이 사용된 군함이다.

2. 제원

이전급 그리들리급
다음급 소머즈급
활동 1937년 ~ 1946년
표준 배수량 1,624톤
만재 배수량2,245톤
길이 104.14m
선폭 10.82m
홀수 3.91m[1]
최대출력 4,7191마력
최고속도 36.8노트
항속거리 12노트 순항시, 6.940nmi (12,920km)
무장5인치 38구경장 단장 함포 4기, 50구경 중기관총 4정
21인치 4연장 어뢰발사관 4기, 폭뢰 투하용 랙(Rack) 2기
1943년 이후5인치 38구경장 단장 함포 4기, 20mm 오리콘 기관포 6문
40mm 보포스 대공포, 21인치 4연장 어뢰발사관 4기
폭뢰 투하용 랙(Rack) 2기, K-gun 4문

3. 상세

3.1. 설계

배글리급은 기본적으로 이전함급인 그리들리급에 기초하여 설계하였다. 하지만, 보일러 등에서는 오히려 머핸급 구축함을 바탕으로 하였다. 배글리급은 머핸급에서 효율이 좋고, 장거리 이동이 가능한 기관을 바탕으로 만든 기관을 채택했다. 이 때문에, 그리들리급에 비해 속도는 더 줄었으나, 항속거리는 무려 2,600km나 늘어난다.

외부에서 드러나는 배글리급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연돌이다. 상술했던 머핸급은 두개의 연돌을 가지고 있다. 추진 설계를 본떠왔기에 유사한 추진 체계를 가졌지만, 배글리급의 연돌은 두개가 아니라 하나이다. 대신, 보일러에서부터 한 덩어리처럼 묶여 하나의 연돌로 이어지는 특이한 구조의 연돌을 가지고 있는 것이 배글리급의 특징이다.

3.2. 무장

배글리급과, 그리들리급 구축함, 그리고 벤험급 구축함은 서로 유사한 점이 많았다. 이 세 함급은 모두 5인치 양용포 단장포 4문을 장착하였으며, 4문의 어뢰발사관 4기를 장착해 무려 16문의 어뢰발사관을 장착했다. 이 세 함급은 설계 면에서만 차이를 보였지, 무장은 거의 동일했다.

대부분의 미국 구축함의 5인치 주포가 그랬듯, 컴퓨터 통제를 통한 효율적인 대공 관제가 가능했다. 하지만, 소구경 대공 무장은 50구경 기관총 4정으로 상당히 빈약했다. 이는 미국이 대구경 대공포만으로 충분한 대공능력을 가질 수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고, 실제로 당시의 미국 구축함들은 소구경 대공무장이 빈약했다. 하지만, 일본의 진주만 공습 이후, 대구경 대공포만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느꼈고 대대적인 대공 개장을 하게 되면서 1943년부터, 배글리급도 개장을 받게 된다.

먼저, 50구경 중기관총 4정이 제거되고 오리콘 20mm 기관포 6문이 증설된다. 이전 급은 그리들리급은 함의 안전성 문제로 40mm 보포스를 장착할 수 없었으나, 배글리급은 2문의 40mm 보포스 대공포를 장착하게 된다.

4. 자매함 목록

함번 함명 취역일자 퇴역일자 최후
DD-386 USS 배글리 1937년 6월 12일 1946년 6월 14일 1947년 전후 고철로 판매
DD-387 USS 블루 1937년 8월 14일 - 1942년 8월 22일 침몰
DD-388 USS 헬름 1938년 10월 16일 1946년 6월 26일 1947년 전후 고철로 판매
DD-389 USS 머그포드 1937년 8월 16일 1946년 8월 29일 크로스로드 작전에 사용
DD-390 USS 랄프 탈봇 1937년 10월 14일 1946년 8월 29일 크로스로드 작전에 사용
DD-391 USS 헨리 1937년 8월 14일 - 1943년 10월 3일 침몰
DD-392 USS 패터슨 1937년 9월 22일 1945년 11월 8일 1947년 전후 고철로 판매
DD-393 USS 저비스 1937년 10월 27일 - 1942년 8월 9일 침몰

5. 활약

8척의 배글리급 모두 태평양 전쟁에서 상당한 활약을 하게 된다. 1941년, 진주만 공습 당시 8척 모두 제4구축함전대 소속으로 그 자리에 있었다. 이후 8척 모두 태평양 전선에서 활동했으며, 자매함 중 USS 블루, USS 헨리, USS 저비스 세 척은 전쟁 중에 침몰했다. 1944년, USS 머그포드는 카미카제 공격으로 6개월간 수리에 들어갔고, 남은 4척은 제6구축함전대 소속으로 활동을 이어간다.

USS 패터슨은 필리핀 해 해전에서 항모 비행단장의 몸값을 놓고 기묘한 인질극(?)을 벌이기도 했다. 당시 마크 미처 제독은 추락한 조종사들의 구조 작업을 독려하기 위해 조종사를 구조하는 배에는 아이스크림을 더 많이 배급해주겠다고 약속했다. 그런데 USS 패터슨이 구조한 조종사 중에는 엔터프라이즈의 제10 전투비행단장인 윌리엄 R. 케인(William R. "Killer" Kane)[2] 중령도 있었다. 그러자 패터슨 측에선 상부에 구조 결과를 보고하면서 대놓고 "킬러 케인은 아이스크림 얼마 짜리인가?"(How much ice cream is Killer Kane worth?)라고 인질극(?)을 빙자한 협상을 시도한 것[3]. 물론 이는 자신들의 공적을 자랑하기 위한 농담이고, 항공모함으로서는 고위장교였던 케인 중령 몸값에 비해 요구사항이 매우 저렴하여 만족하였다. 결국 킬러 케인의 몸값(?)으로 USS 패터슨의 승무원들은 25갤런(약 95리터)의 아이스크림을 배급받았다.

USS 저비스는 사보 섬 해전 이후 수리를 위해 호주로 향하던 도중 일본 뇌격기에 의해 침몰했다. 하필이면 수리를 위해 구명정을 전부 탈거시킨 상태여서, 침몰한 저비스는 단 한명의 생존자없이 함장을 포함한 승조원 233명 전원이 전사했다. 태평양 전쟁 참전한 미해군 수상함중에서 클렘슨급 구축함 USS 필즈베리와 함께 유이하게 생존자가 없는 수상함으로 기록되었다.[4]

오키나와에서 USS 랄브 탈봇은 카미카제 공격을 당한다.

전후, 배글리급 구축함은 모두 고철로 판매되거나 핵실험인 크로스로드 작전에 동원되어 침몰하며 함생을 끝맡친다.

6. 관련 문서


[1] 만재 기준[2] 당시 엔터프라이즈 항공모함 내 제10 전투비행단 단장이었으며 해군 에이스였다. 해군십자장 수훈, 전후 경항공모함 사이판에 함장을 역임[3] 사실 이런 식의 아이스크림 뜯어내기로 유명한 배가 하나 더 있다. 플레처급 구축함 DD-661 키드. 키드의 경우 그 악명이 워낙 높다 보니 태평양의 해적이라는 별명까지 갖고 있을 정도. 뿐만 아니라 키드는 아예 미 해군에서 유일하게 졸리 로저의 사용이 허락되었던 배였다.[4] 또 다른 경우 1942년 자바 해전 당시 후퇴하다가 침몰한 애쉬빌급 포함 USS 애쉬빌 또한 침몰당시 한명의 생존자가 일본군에 의해 구조되었으나, 1945년 마카사르 포로 수용소에서 사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