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7 01:36:54

박하사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영화에 대한 내용은 박하사탕(영화)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동명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박하사탕(노래)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korean mintcandy.jpeg.jpg
파일:Candy-Cane-Classic.jpg
대한민국의 일반적인 박하사탕 서양의 박하사탕. 진저브레드, 크리스마스 트리와 함께 크리스마스의 상징적인 아이템이다.

1. 개요2. 내용
2.1. 서양에서
3. 기타

1. 개요

말 그대로 박하 향을 넣어서 만든 사탕. 주로 흰색이며[1] 청량한 맛이 난다.

2. 내용

우리나라에서 흔히 보이는 것은 주로 동그랗게 만들어서 포장해 파는 것이나 별도 포장 없이 하얀색 마름모꼴로 되어 있는 것들이다. 식당에 입가심 용 디저트로 구비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며 특히 음식 냄새가 심한 고깃집 같은 곳에서는 항상 준비되어 있을 정도로 사람들이 많이 찾는다. 유소년층보다는 청장년층이 좋아하는 국민간식급 사탕.

보통 마름모꼴은 구형보다 크기가 크지만, 공기를 섞어서 만드는지 조직이 꽤 부드럽고 쉽게 부스러진다. 입안에서 녹을 때 금방 구멍이 숭숭 뚫릴 정도. 즉 더 잘 녹고 더 빨리 없어진다. 산업화 대량생산 이전, 소규모 공장에서 기술자가 손으로 만들던 시절의 박하사탕은 박하향을 섞은 사탕반죽을 엿가락처럼 길게 늘여 질긴 실로 휘휘 감아 한 알 크기로 잘라낸 후 식혀 굳히는 식으로 만들어졌다. 이 경우 긴 사탕가락을 나선으로 휘감은 실로 잘라내므로 당연히 각각의 사탕은 마름모꼴 형태가 되는 것.

물론 요즘은 옛날처럼 손으로 박하사탕을 만드는 공장이 없지만, 장년~노년층에게 더 익숙한 박하사탕의 특성상 일부러 50~60년대 느낌이 나게 만든 일종의 복고풍이라 보면 될 것이다.

단, 공장에서 만드는 현대의 마름모꼴 박하사탕은 사탕 반죽을 엿가락처럼 길게 늘린 후 자르긴 하지만 예전처럼 실로 자르지 않고 칼날로 툭툭 자르기 때문에[2], 전체적인 모양은 마름모꼴로 비슷하지만 단면의 형태는 다르다. 잘린 자국이 1자로 남는 요즘 박하사탕과는 달리 전통 방식으로 잘라낸 박하사탕의 단면은 살짝 소용돌이 형태에 가깝다. 공 모양 사탕보다 마름모꼴 사탕이 더 조직이 부드럽고 쉽게 부스러지는 것 역시 사탕 반죽을 바로 가공하지 않고 엿처럼 치대어 늘리는 공정을 거치면서 반죽 안에 대량의 공기가 섞여 들어가기 때문. 사실 이 점 역시 치아가 약해진 경우가 많은 중노년층에게 있서 사탕을 먹다가 무심코 깨물어도 이가 아프지 않다는 점 때문에 사랑받는 요인이기도 하다.

이따금씩 공짜 사탕이라고 수십 개를 털어 가는 고객도 있다. 참고로 식당용 박하사탕은 포장 없이 그냥 바구니에 수북하게 올려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여기서 오줌 성분이 검출되었다는 소문이 있다. 화장실을 사용 후 손을 씻지 않은 일부 손님이 손으로 막 집어버리기 때문이다. #출처 이때문에 가샤폰을 갖다 놓는 경우도 있다.[3] 요즘엔 그냥 개별포장으로 갖다둔다

2.1. 서양에서

파일:Candy-Cane-Classic.jpg
파일:Peppermint-candies.jpg
서양의 원조 박하사탕은 하얀 사탕에 붉은 색소를 줄무늬처럼 입힌 지팡이 모양, 혹은 원형이다. 보통 미국에서 페퍼민트 캔디라 물으면 열에 아홉은 이 붉은 줄무늬가 그려진 캔디를 상상한다. 흔히 크리스마스 트리에 장식하는 그것. 한국의 옥춘당과 마찬가지로 장식의 목적도 가지고 있다. 붉은색이 예수의 피를 상징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크리스마스가 다가오면 이곳 저곳이 빨간 줄무늬로 뒤덮이는 모습을 볼 수 있다. 이미지만 보고 맛있고 단 사탕(딸기&요거트 맛이라던지)으로 착각하는 어린이들이 많지만 심지어 안먹어본 어른도 진짜를 먹게 되면 십중팔구 충격을 받는다. 물론 박하맛인 걸 알게 되어도 오히려 좋다(...)며 잘 먹는 어린이들도 있다. 참고로 츄파춥스에서 “크레모사”라는 페퍼민트와 비슷하게 생긴 사탕을 출시하긴했다. 하지만 맛은 딸기+크림맛이다.

3. 기타


[1] 푸른색인 것 또한 많다.[2] 공정의 난이도를 생각하면, 긴 엿가락을 자동 칼날로 툭툭 자르는 기계는 만들기 쉽지만 실을 엿가락에 휘감아 잘라내는 공정은 사람 손으로 하거나, 자동화하더라도 기계의 구조가 복잡해 질 수밖에 없다.[3] 여기에 쓰이는 사탕은 보통 크기가 작은 이클립스, 아이스브레이커즈 같은 게 많이 쓰인다.[4] 박하의 멘톨 성분이 차가움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게 해 준다.[5] 캡사이신 성분이 열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게 해 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