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2 13:56:18

미나(브롤스타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파일:브롤스타즈 로고.svg브롤스타즈
브롤러
}}}
{{{#!wiki style="margin: -5px -10px; min-height: calc(1.5em +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argin-top: 5px; min-width: 25%;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이름순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017dda><colcolor=#fff>
숫자 ~ ㄹ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
ㅁ ~ ㅂ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
ㅅ ~ ㅈ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지지(브롤스타즈)|
파일:지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지지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
ㅊ ~ ㅎ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피어스(브롤스타즈)|
파일:브롤러 미출시(투명)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피어스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
}}}}}}}}}
⠀[ 희귀도순 ]⠀
## 희귀도순 나열 시작
<colcolor=#fff><nopad>
기본
브롤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
<nopad> 희귀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
<nopad> 초희귀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
<nopad> 영웅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
<nopad> 신화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지지(브롤스타즈)|
파일:지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지지
]]
<nopad> 전설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피어스(브롤스타즈)|
파일:브롤러 미출시(투명)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피어스
]]
울트라
전설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nopad> 기간
한정
[[버즈 라이트이어(브롤스타즈)|
파일:버즈 라이트이어_204x126.png
파일:토이 스토리 시리즈 로고.svg
버즈 라이트이어
]]
⠀[ 역할군별 ]⠀
## 역할군별 나열 시작
<colbgcolor=#017dda><colcolor=#fff>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탱커
[[불(브롤스타즈)|
파일: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파일:엘 프리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엘 프리모
]][[로사(브롤스타즈)|
파일:로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로사
]][[대릴|
파일:대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대릴
]][[재키(브롤스타즈)|
파일:재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재키
]][[프랭크(브롤스타즈)|
파일:프랭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프랭크
]][[비비(브롤스타즈)|
파일:비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비비
]][[애쉬(브롤스타즈)|
파일:애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애쉬
]][[행크(브롤스타즈)|
파일:행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행크
]][[트렁크(브롤스타즈)|
파일:트렁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트렁크
]][[버스터(브롤스타즈)|
파일:버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버스터
]][[올리(브롤스타즈)|
파일:올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올리
]][[메그|
파일: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메그
]][[드라코(브롤스타즈)|
파일:드라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탱커.png
드라코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어쌔신
[[스튜(브롤스타즈)|
파일:스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스튜
]][[에드거(브롤스타즈)|
파일:에드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에드거
]][[샘(브롤스타즈)|
파일: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브롤스타즈)|
파일:셰이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셰이드
]][[모티스|
파일:모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모티스
]][[버즈(브롤스타즈)|
파일:버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버즈
]][[팽(브롤스타즈)|
파일:팽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브롤스타즈)|
파일:미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미코
]][[멜로디(브롤스타즈)|
파일:멜로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멜로디
]][[릴리(브롤스타즈)|
파일:릴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릴리
]][[알리(브롤스타즈)|
파일:알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알리
]][[지지(브롤스타즈)|
파일:지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지지
]][[크로우(브롤스타즈)|
파일:크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크로우
]][[레온(브롤스타즈)|
파일:레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레온
]][[코델리우스|
파일:코델리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코델리우스
]][[켄지(브롤스타즈)|
파일:켄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켄지
]][[카제(브롤스타즈)|
파일:울트라 전설_204x126.gif
파일:카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어쌔신.png
카제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서포터
[[포코(브롤스타즈)|
파일: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포코
]][[거스(브롤스타즈)|
파일: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거스
]][[팸(브롤스타즈)|
파일: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브롤스타즈)|
파일:베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베리
]][[맥스(브롤스타즈)|
파일:맥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맥스
]][[바이런(브롤스타즈)|
파일:바이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바이런
]][[러프스|
파일:러프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러프스
]][[그레이(브롤스타즈)|
파일:그레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그레이
]][[더그(브롤스타즈)|
파일:더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더그
]][[재용|
파일:재용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재용
]][[키트(브롤스타즈)|
파일:키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서포터.png
키트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컨트롤러
[[제시(브롤스타즈)|
파일: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제시
]][[페니(브롤스타즈)|
파일: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페니
]][[보(브롤스타즈)|
파일:보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파일:엠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엠즈
]][[그리프(브롤스타즈)|
파일:그리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그리프
]][[게일(브롤스타즈)|
파일:게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게일
]][[미플(브롤스타즈)|
파일:미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플
]][[진(브롤스타즈)|
파일: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파일:미스터 P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미스터 P
]][[스퀴크|
파일:스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스퀴크
]][[루(브롤스타즈)|
파일: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브롤스타즈)|
파일:오티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오티스
]][[윌로우(브롤스타즈)|
파일:윌로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윌로우
]][[척(브롤스타즈)|
파일:척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브롤스타즈)|
파일:찰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찰리
]][[핑크스|
파일:핑크스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핑크스
]][[지기(브롤스타즈)|
파일:지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지기
]][[샌디(브롤스타즈)|
파일:샌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샌디
]][[앰버(브롤스타즈)|
파일:앰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컨트롤러.png
앰버
]]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
[[쉘리|
파일:쉘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쉘리
]][[니타|
파일:니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니타
]][[콜트(브롤스타즈)|
파일:콜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트
]][[8비트(브롤스타즈)|
파일:8비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8비트
]][[리코(브롤스타즈)|
파일:리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리코
]][[칼(브롤스타즈)|
파일: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브롤스타즈)|
파일:콜레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콜레트
]][[롤라(브롤스타즈)|
파일:롤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롤라
]][[펄(브롤스타즈)|
파일: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브롤스타즈)|
파일:타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타라
]][[이브(브롤스타즈)|
파일:이브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이브
]][[R-T|
파일:R-T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R-T
]][[클랜시(브롤스타즈)|
파일:클랜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클랜시
]][[모(브롤스타즈)|
파일: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브롤스타즈)|
파일:루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루미
]][[미나(브롤스타즈)|
파일:미나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미나
]][[스파이크(브롤스타즈)|
파일:스파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스파이크
]][[서지(브롤스타즈)|
파일:서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서지
]][[체스터(브롤스타즈)|
파일:체스터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체스터
]]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저격수
[[브록(브롤스타즈)|
파일:브록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브록
]][[파이퍼(브롤스타즈)|
파일:파이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파이퍼
]][[비(브롤스타즈)|
파일:비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브롤스타즈)|
파일:나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나니
]][[보니(브롤스타즈)|
파일:보니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보니
]][[벨(브롤스타즈)|
파일:벨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브롤스타즈)|
파일:맨디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맨디
]][[메이지(브롤스타즈)|
파일:메이지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메이지
]][[안젤로(브롤스타즈)|
파일:안젤로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안젤로
]][[자넷(브롤스타즈)|
파일:자넷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자넷
]][[피어스(브롤스타즈)|
파일:브롤러 미출시(투명)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저격수.png
피어스
]]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투척수
[[발리(브롤스타즈)|
파일: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발리
]][[다이너마이크|
파일:다이너마이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다이너마이크
]][[틱(브롤스타즈)|
파일:틱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브롤스타즈)|
파일:그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그롬
]][[래리 & 로리|
파일:래리 & 로리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래리 & 로리
]][[스프라우트(브롤스타즈)|
파일:스프라우트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스프라우트
]][[주주(브롤스타즈)|
파일:주주_204x126.png
파일:역할군 아이콘 - 투척수.png
주주
]]

}}} ||
관련 문서
세부사항 · 기어 · 트리오 · 레코드 (구 마스터리) · 스킨 · 칭호메타 및 성능 · 템플릿

파일:브롤스타즈 로고.svg 브롤스타즈의 95번째 브롤러
<rowcolor=#000,#fff> 트렁크
#!if d1_2 != null
, [[|]]
미나
#!if d2_2 != null
, [[|]]
지기
#!if d3_2 != null
, [[|]]

미나
MINA
파일:Mina_Portrait.png
<colbgcolor=#f00,#f00><colcolor=#fff,#fff> 등급 신화
역할군 파일:역할군 아이콘 - 대미지 딜러.png 대미지 딜러(DAMAGE DEALER)
코드 네임 Dancer
출시일 출시 이벤트
2025년 9월 18일
정식 출시
2025년 9월 28일
성우 파르네 린
플레이어 칭호 허리케인

1. 개요2. 대사 목록3. 핀4. 스프레이5. 스탯6. 스킬
6.1. 일반 공격 - 카포에라 콤보(CAPOEIRA COMBO)6.2. 특수 공격 - 허리케인 3000(FURACÃO 3000)6.3. 가젯
6.3.1. 윈드밀(WINDMILL)6.3.2. 카포어랍쇼?(CAPO-WHAT?)
6.4. 스타 파워
6.4.1. 줌 줌 줌(ZUM ZUM ZUM)6.4.2. 꼼짝 마(BLOWN AWAY)
6.5. 하이퍼차지
7. 성능
7.1. 장단점7.2. 변천사7.3. 모드별 평가
8. 상성9. 세팅10. 팁11. 스킨
11.1. 기본 스킨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그래피티 미나(GRAFFITI MINA)11.2.2. 비트체이서 미나(BEATCHASER MINA)
12. 업데이트 내역13. 기타

1. 개요

파일:brawlmina.png
Dim, dim, dop, o rap é o som.
딤, 딤, 돕, 이 랩이 바로 소리지.
Mina is a b-girl who mixes capoeira into her breakdance battles like it's second nature. She hangs out at SK8 beats with Ollie and uses his mixtapes to practice new moves!
미나는 비보이가 아닌 비걸로, 카포에라 기술을 마치 제2의 천성인 것 처럼 브레이크 댄스 배틀에 녹여냅니다. Sk8 비트에서 올리와 어울리며 그의 믹스테이프를 빌려 새로운 춤 동작을 연습한답니다!

스케비트 트리오의 두 번째 멤버이다. 최초의 브라질 출신 브롤러이자, 브라질 전통 무술 중 하나로 알려져 있는 카포에라브레이크 댄스와 버무려 사용한다.

2. 대사 목록

대사 일부에서 브라질식 포르투갈어를 사용한다. 목소리가 꽤 허스키한 편. 대사 중 24개가 포르투갈어로 핑크스, 멜로디 다음으로 많다.
Stay sharp, warrior. Chin up, worth watching!
정신 차려, 전사여. 힘내, 너에겐 볼 만한 가치가 있으니!
Straight outta jungle! A lion ready to roar.
정글에서 나타난 사자가 울부짖을 준비가 됐어.
Minha meta é dez de dez! Ih! Nove e meio nem rola.[포르투갈어]
내 목표는 10점 만점! 으, 9점 반은 말도 마.
Dim, dim, dom, o rap é o som.[포르투갈어]
딤, 딤, 돔, 이 랩이 바로 소리지.
São Paulo born! B-girl![포르투갈어]
상파울루 출신의 비걸!
You step, I stomp, Fair warning!
네가 다가오면, 난 짓밟지. 미리 경고했어!
Nada como um dia após o outro dia.[포르투갈어]
하루하루가 반복되는 것만큼 즐거운 일은 없어.
Só mais uma roda, bora vê quem cai primeiro.[포르투갈어]
한 판 더! 누가 먼저 넘어지는지 해보자고.
Minha nota é dez, nove e meio nem rola.[포르투갈어]
내 점수는 10점이고, 9점 반은 가치도 없지.
(비트박스 소리)
리스폰 시 대사
Dim, dim, dom, o rap é o som.[포르투갈어]
딤, 딤, 돔, 이 랩이 바로 소리지.
Pop that bubbly for the squad![8]
팀을 위하여 축배를 들자!
Champagne up, this one's for the crew!
샴페인을 따자, 내 동료들을 위하여!
Dancing queen dominating the scene!
댄싱퀸이 무대를 지배한다!
Tá tranquilo e favorável![포르투갈어]
잔잔하고 호의적이지!
MVP? Nah, I'm that girl.
내가 MVP라고? 당연히 그럴만한 가치가 있으니까.
I’m that girl! Ha ha!
내가 최고야! 하하!
I own essa parada![포르투갈어]
이 무대는 이제 내 꺼야!
Vibe de vitória, sempre no flow.[포르투갈어]
승리의 기운이 언제나 흐른다.
I'm breaking records, and bones!
기록도 부수고, 뼈도 부러뜨리고!
O mundo é diferente da ponte pra cá.[포르투갈어]
다리를 건너 넘어온 세상은 다르구나.
É nóis que tá![포르투갈어]
이게 바로 우리지!
É isso memo![포르투갈어]
이게 다야!
É isso memo, tá ligado?[포르투갈어]
이게 다야, 알아들었어?
인게임 진행 중/승리 시 대사
Laugh all you want, but don't sleep on me.
원하는 만큼 비웃어, 근데 날 무시하진 마.
Pode rir, ri mas não desacredita não.[포르투갈어]
비웃어도 돼, 하지만 무시하지 마.
Mess up my rhythm, I'll mess up your life.
내 리듬을 망쳤으니, 나도 네 삶을 망쳐줄게.
That all you got? Ha ha, thought you were serious.
이게 전부야? 하하, 난 너가 진심인 줄 알았는데.
Tá tirando? Hehe, thought you were serious.[포르투갈어]
장난이지? 헤헤, 진심인 줄 알았는데.
Nada como um dia após outro dia.[포르투갈어]
하루하루가 반복되는 것만큼 즐거운 일은 없어.
Ah![19]
아야!
(신음소리)
피격 시 대사
Haha, vacilão.[포르투갈어][21]
하하, 멍청아.
Respeito é pra quem tem![포르투갈어]
존경은 받을 사람만 받는 거야!
Dorme com essa batida![포르투갈어]
이 비트 듣고 잠이나 자라고!
Watch the footwork! Blink and you're gone. Ha ha!
발놀림 조심해! 눈 깜빡하면 훅 엎어지니까. 하하!
Ih laía![포르투갈어]
세상에!
Cê é louco, tio! Hahaha.[포르투갈어]
미쳤네, 친구! 하하하.
(웃음소리)
적 처치 시 대사
Not my final road of trust.
내 신뢰의 길은 끝이 아니야.
Hey! Save me a spot! I'll be back!
어이! 내 자리도 남겨줘! 곧 돌아올 테니까!
Pode pá, I'll be back.[포르투갈어]
믿어줘, 곧 돌아올게.
Tudo vai, tudo é fase irmão.[포르투갈어]
모든 건 지나가고, 모든 건 하나의 단계일 뿐이야, 친구.
Ah!
으아!
(신음소리)
사망 시 대사
B-girl wkwkwk-twirl!
비걸이 휘휘휙-회전한다!
Breakdance beatdown!
브레이크댄스 때려눕히기!
Watch this B-girl twirl!
비걸이 회전하는 거 잘봐!
B-girl twirl!
비걸 회전!
My dance will break your soul!
내 춤이 너의 영혼을 부술 거야!
Tornado throwdown!
토네이도 공격!
Tornado!
토네이도!
Soul sister with a twister![28]
소울 시스터의 트위스터다!
(기합 소리)
특수 공격 사용 시 대사

3.

<rowcolor=#fff>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상태 희귀도 대사
파일:Brawler_Pin-Neutral.png Neutral
일반
파일:Brawler_Pin-Happy.png Happy
일반
파일:Brawler_Pin-Sad.png Sad
일반
파일:Brawler_Pin-Angry.png Angry
일반
파일:Brawler_Pin-GG.png GG
희귀
파일:Brawler_Pin-Clap.png Clap
희귀
박수 소리
파일:Brawler_Pin-Thanks.png Thanks
영웅
파일:Brawler_Pin-Phew.png Phew
영웅
파일:Brawler_Pin-Special.png Special
영웅
파일:Brawler_Pin-Facepalm.png Facepalm
컬렉터
- }}}}}}}}}}}}
특정 스킨의 전용 핀은 서술하지 않습니다.

4. 스프레이

<rowcolor=#fff> 스프레이
파일:Brawler_Spray.png
특정 스킨의 전용 스프레이는 서술하지 않습니다.

5. 스탯

||<tablebordercolor=#017dda><tablebgcolor=#fff,#1f2023><tablecolor=#000,#ddd><rowbgcolor=#017dda><tablewidth=400px><width=13%> 파워
레벨
||<width=43.5%> 파일:Icon_health.png HP || 이동 속도 ||
<colbgcolor=#005090><colcolor=#fff> 1 4100 빠름
(770 = 2.57타일/초)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colcolor=#fff> 2 4510
3 4920
4 5330
5 5740
6 6150
7 6560
8 6970
9 7380
10 7790
}}}}}}}}} ||
11 8200

6. 스킬

6.1. 일반 공격 - 카포에라 콤보(CAPOEIRA COMBO)

파일:skill-attack_new.png <colcolor=#000,#ddd> Mina can cycle through three ranged attacks in a certain time period. If she doesn't attack fast enough, her combo is broken and the cycle restarts.
Attack 1: Long range & narrow
Attack 2: Medium range & medium width
Attack 3: Short range & wide
일정 시간 안에 3개의 사거리 공격을 순서대로 시전합니다. 빠르게 공격하지 않으면, 콤보의 흐름이 끊겨 순서를 다시 시작해야 합니다.
공격 1: 좁은 공격 범위와 장거리
공격 2: 보통 공격 범위와 중거리
공격 3:넓은 공격 범위와 단거리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800/1400/2200[콤보] ||<width=25%>사정거리
장거리(8타일)/중거리(6타일)/근거리(3.67타일)[콤보] ||<width=25%>재장전 속도
빠름(1.4초) ||<width=25%> ||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스탯]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스탯]
3
4
5
6
7
8
9
10
}}}}}}}}} ||
11 [스탯] }}}}}}


일반 공격을 쓰면 1개의 투사체가 나가고 탄창 아래 하얀 게이지 바가 2초간 생긴다. 게이지 바가 없어지기 전에 일반 공격을 쓰면 공격 방식이 총 2번 바뀌는데, 처음에는 사거리가 짧아지는 대신 투사체 위력이 2배로 업그레이드 되고, 그 다음에는 앞차기를 날려 4발의 돌풍을 날리는 부채꼴 모양의 공격으로 업그레이드된다. 1발만 맞아도 4발 다맞았을때와 같은 데미지가 들어간다.

공격을 시전할 때마다 캐릭터가 움직이는 방향대로 돌진하는 특성을 지녔다. 다만 돌진 거리가 짧고 바라보는 방향으로 돌진하기에 세밀함 방향 조절은 힘들다.

1, 2번째 공격은 돌진과 동시에 나가지만, 3번째 공격은 돌진 후에 공격이 나간다.

여담으로 루의 빙판이나 루미의 빙판에서 대쉬를 해도 가끔 적용 되지 않는다.저사양기기에서 미나의 일반공격 대쉬가 씹혀서 그냥 공격만 나가는 버그가 있다.

6.2. 특수 공격 - 허리케인 3000(FURACÃO 3000)

파일:Super_image1.png <colcolor=#000,#ddd> Mina hits the air, creating a powerful hurricane which deals heavy damage and launches enemies in front of her.
공중으로 뛰어올라 강력한 허리케인을 일으키며, 전방의 적들에게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날려버립니다.
||<tablebordercolor=#017dda><rowbgcolor=#45436c><rowcolor=#fff><tablewidth=100%><width=25%>피해량
1000 ||<width=25%>사정거리
장거리(7타일) ||<width=25%> ||<width=25%> ||
기타
{{{#!folding [레벨 별 스탯]
{{{#!wiki style="word-break: keep_all; margin: -5px 0px"
파워 레벨 피해량
<colbgcolor=#005090> 1 1100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005090> 2 1100
3 1200
4 1300
5 1400
6 1590
7 1600
8 1700
9 1800
10 1900
}}}}}}}}} ||
11 2000 }}}}}}

특수 공격을 쓰면 상대를 위로 띄우고 자신을 향해 약간 끌어당기며 2000의 피해를 준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캐릭터가 움직이고 있을 시 그 방향으로 돌진하면서 발동시킨다.

또 한 가지 특기할 점은 특수 공격을 사용할 때도 일반 공격의 콤보 타이머가 초기화된다는 것이다. 즉 탄환이 부족하다면 특수 공격을 이용해 콤보를 유지시킬 수 있다.

드라코의 1가젯과 비슷하게 적을 순간적으로 무력화시키는 용도로 사용한다. 다만 적이 공중에 떠 있는 동안에는 무적 판정이기 때문에 팀원과의 합이 맞지 않는다면 역효과가 날 수 있다.

또한, 벽이나 장애물 관통이 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적이 모티스, 알리, 켄지처럼 대쉬형 이동기를 가진 브롤러이거나 벽 근처에서 피격당했을 시 체공 상태가 얼마 유지되지 않고 거의 바로 풀리는 버그가 있다. 이 버그는 생각보다 자주 일어나며 현시점 개사기인 미나의 벨런스를 어느 정도 잡아 준다.

여담으로 위에서 서술한 버그는 하이퍼차지에도 적용된다.

6.3. 가젯

6.3.1. 윈드밀(WINDMILL)

파일:icon_item.png <colcolor=#000,#ddd> Creates a wall of wind that blocks projectiles for 3 sec.
바람의 장벽을 생성해 3초 동안 발사체를 막습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20초
<bgcolor=#017dda> 브롤러별 상호 작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막을 수 있는 경우 O, 막을 수 없는 경우 X
<rowcolor=#fff> 브롤러 일반 공격 특수 공격
쉘리 O X
니타 O X
콜트 O[34] X
O X
브록 O X
엘 프리모 O X
발리 X X
포코 O X
로사 O -
제시 O O
다이너마이크 X X
X X
8비트 O O
리코 O O
대릴 O X
페니 O X
O X
재키 X X
거스 O X[35]
O X
엠즈 O[36] X
스튜 O X
파이퍼 O X
O X
프랭크 O X
비비 X O
O O
나니 O O
에드거 O X
그리프 O O[37]
그롬 각주 참고[38]
보니 O X[39]
게일 O X
콜레트 O X
O O
애쉬 O X
롤라 O X[40]
O O
맨디 O[41] X
메이지 O X[42]
행크 X O
O X
래리 & 로리 X X[43]
안젤로 O[44] X
베리 X X
셰이드 X -
미플 O O[45]
트렁크 X X
모티스 X X
타라 O X
O X
맥스 O X
미스터 P O[46] X[47]
스프라우트 각주 참고[48] X
바이런 O X[49]
스퀴크 O[50] 각주 참고[51]
O X
러프스 O X
버즈 O O
O X
이브 O X
자넷 O X
오티스 O O
버스터 O -
그레이 O[52] X
R-T(합체) O -
R-T(분리) X -[53]
윌로우 X O
더그 X X
O X
찰리 O O
미코 X X
멜로디 O[54] X
릴리 O O
클랜시 O O
O X[55]
주주 X X[56]
올리 O X
핑크스 O X[57]
루미 O X
재용 O X
알리 X -
미나 O O
지기 X X
지지 X X
스파이크 O X
크로우 O O
레온 O -
샌디 O X
앰버 O X
메그 O X
서지 O X
체스터 O X(캔디 팝)
O(왕사탕)
O(살미아키)
X(팝핑 캔디)
X(박하사탕)[58]
코델리우스 O X
키트 X X[59]
드라코 O O
켄지 X X
카제(게이샤) X X
카제(닌자) O X }}}}}}}}}

3초간 투사체를 차단하는 방어막을 생성한다.

버스터의 특수 공격과 유사한 용도로 사용될 것으로 보이지만 판정은 조금 다른데, 그냥 원형의 벽을 생성한다고 생각하면 편하다. 버스터의 특수 공격은 벽에 지워지지 않는 멜로디의 음표나 R-T의 하이퍼차지 레이저도 지울 수 있지만 미나의 가젯으로는 불가능하며, 마찬가지로 벽을 통과할 수 있는 투사체들(포코의 특수 공격, 맨디의 특수 공격 등)도 버스터는 지울 수 있고 미나의 가젯은 막을 수 없다. 이러한 이유로 시각적으로는 원형 방어막이 전방위를 감싸고 있지만 벽에 구애받지 않는 곡사형 투사체가 위에서 내려온다면 이 또한 막을 수 없다.[60]

또한 바깥에서 안으로 들어오는 공격만 막을 뿐 적이 가젯 범위 안쪽에서 투사체를 쏘는 건 막지 못한다.[61]

즉, 이 가젯은 내 앞에 일반 벽이 설치된거나 다름없다고 생각하면된다. 벽넘어서 공격이 가능한 모든 요소와 벽을 부술 수 있는, 관통할 수 있는 모든 공격요소는 이 가젯으로 막지 못한다.

6.3.2. 카포어랍쇼?(CAPO-WHAT?)

파일:icon_item.png <colcolor=#000,#ddd> Mina's next Super recharges instantly if it hits.
다음 특수 공격이 적중하면 즉시 재충전됩니다.
재사용 대기 시간: 20초
다음 특수 공격을 상대에게 적중시킬 시 즉시 특수 공격을 다시 충전한다.

특수 공격 자체의 적중 난이도가 그렇게 높지 않고, 범위 자체도 넓기 때문에 가젯을 잘 활용할 수 있으며, 2스파와 조합할 경우 이론상 3초 가량 상대를 묶어둘 수도 있다는 장점 또한 있다.
가젯을 잘 이용하면 콤보도 만들어내는 것이 가능하다(가젯 특수 공격+특수 공격+일반 공격)

다만 버그인지는 불명이지만 가젯을 켠채로 죽으면 가젯과 특수공격이 전부 날아가는 현상이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한다.

한국어판 이름은 '카포에라'에다가 감탄사 '어랍쇼?'를 적절히 섞은 말장난으로 지어졌다.

하이퍼차지때 쓰면 가젯만 날라가고 작동을 안하니 주의.

과거에는 미리 활성화를 하고 죽으면 특수 공격까지 증발하는 버그가 있었지만 패치로 수정되었다.

6.4. 스타 파워

6.4.1. 줌 줌 줌(ZUM ZUM ZUM)

파일:icon_star_power.png <colcolor=#000,#ddd> Mina's combo Attack 3 also heals for 50% of damage done.
3개의 콤보 공격이 적에게 입힌 피해량의 50%만큼 미나를 치유합니다.
일반 공격의 3번째 콤보를 상대에게 적중시킬 시 피해량의 50%의 체력을 회복한다. 세 번째 공격은 관통형 공격이기 때문에 다수의 상대를 노려서 많은 양의 체력을 회복할 수 있다.

브롤러가 아닌 대상에게도 스타 파워가 적용되었다. 즉 적의 소환물, 하이스트 금고, 심지어 쇼다운 파워 큐브 상자를 3타로 때려도 회복이 되었다. 이후 너프를 받아 브롤러 한정으로 바뀌었다.이에 따라 미나가 에모를 낭비하며 소환수를 잡는 것이 많이 힘들어 졌다.

6.4.2. 꼼짝 마(BLOWN AWAY)

파일:icon_star_power.png <colcolor=#000,#ddd> Mina's Super also roots enemies on the spot.
특수 공격이 적을 제자리에 속박합니다.
특수 공격이 적을 1.5초간 속박시킨다. 속박 능력은 루미의 특수 공격과 비슷한듯 다르다. 루미의 속박능력은 완전한 속박이 아닌 이동속도 완전 감소 같은 느낌으로 이동속도가 빠른 브롤러가 이동을 시도할때 랙백을 받는 것 처럼 보이지만 미나의 속박은 완전 속박이다. 또한 의도인지는 모르나 속박에 걸리고 에어본 후 약 0.2초 동안 일반 공격을 사용할 수 없는 경직 상태에 걸린다.

다만 효과는 1.5초 동안 지속되지만 실제 에어본 시간까지 고려하면 약 0.5초 정도밖에 안되므로 성능 체감은 1스파보다 낮다. 제 성능을 내려면 2가젯과 조합이 강제되기 때문에 1스파에 의해 픽률은 밀린다.

6.5. 하이퍼차지

파일:하이퍼차지.png <colcolor=#000000,#ddd>
파일:brawler_speed_icon.png
속도
+20%
파일:skill-attack_new.png
피해량
+5%
파일:brawler_shield_icon.png
보호막
+5%

특수 공격 허리케인이 부채꼴 3갈래로 동시에 발사되고, 더 빠르게 나아가며 피격된 적을 앞으로 끌어오고 벽에 닿은 허리케인은 사라지지 않고 벽에 튕긴다. 이때 리코의 투사체 처럼 벽에 튕긴 허리케인은 더 오래 유지된다.

출시때부터 사기라는 평을 받았지만 거품이 많이 낀 하이퍼차지임이 점점 드러났다. 미나의 성능이 무시 못할 정도로 좋아서 하이퍼차지도 좋은 평을 받는 경우이다.

이 하이퍼차지는 하자가 생각보다 많은데 우선 만약 끌어당기기 효과가 없었다면 이 하차는 이미 날개를 단 미나에게 제트엔진을 달아 주었을 것이다. 끌어 당기기효과가 매우 대충 만들어져서 하차 설명에는 적을 미나 바로 앞에 까지 끌어 당긴다지만 미나의 앞과는 거리가 턱 없이 먼 거리에 적을 끌여다 놓는 다든지, 미나 바로 뒤에 적을 끌어다 놓는등 여러모로 일반 궁보다 불리한점이 많으며 무엇보다 동체시력이 대단하거나 순발력이 뛰어 나지 않는 이상 하차로 적을 띄우고 일반공격을 해서 적을 잡아 내는 플레이를 운에 맡겨야한다. 적이 하차궁에 의해 에어본 후 착지 위치, 거리비례 에어본 효과 증가 능력도 어떨땐 작동하지 않는 버그로 인해 미나의 성능을 뛰어 나게 하기 보다는 오히려 역관광 당하는 일이 잦다. 따라서 무조건 하차궁을 쓰기보다는 상황에 따라 하차를 능력치 상승에 쓰는 것도 마냥 나쁘지는 않다. 오히려 끌어 왔다가 미나 뒤에 적이 착지하면 아군 라인 말살이여서 신중하게 써야한다.

겉보기엔 미나가 하차를 쓰는 순간 다 쓸어 버릴 것만 같은 사기성을 보여주는데 사실 이 하이퍼차지로는 팀원의 호응 없이 미나 혼자서 클러치하기는 매우 힘든 구조이다. 먼저 이 하이퍼차지의 효과중 의도한지는 모르나 거리 비례로 에어본 효과가 증가한다. 즉, 일반 궁보다 에어본 효과가 줄어들 수도 있고 커질 수도 있다는 뜻이다. 특히 초근접에서 하차 궁을 쓸 경우 에어본 효과 대신 넉백효과나 아주 가끔은 cc효과도 없는 판정이 된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하이퍼차지로 궁-3타 콤보를 하기가 힘들어 진다. 타이밍을 재기 보단 직접 예측하여 정확한 타이밍을 시뮬레이션 해야하기 때문에 난이도가 높고 무엇보다 최근 패치로 미나의 궁극기 충전량 감소, 하이퍼차지중 2가젯 사용 불가 등 때문에 하이퍼차지 활성화 중 2연 궁극기를 쓰기가 힘들어 졌기에 미나가 콤보로 넣을 수 있는 최소 대미지를 넘어가는 체급을 가진 브롤러에게 쓰면 역공 당할 위험이 있다.

여기서 타이밍 재서 운좋게 적이 떨어지는 구역에 3타를 날려 궁극기 순환을 바로 할 수도 있겠으나 에어본 시간이 거리에 따라 제각각이라 그런 장면은 보기 힘들고 하차를 아껴두며 각을 보아야 만들어 질 수 있다.

다만 확실한 점은 3대3 모드의 경우 적군 3명 모두 에어본 상태/넉백 상태로 만들 수 있는, 아군이 진입해서 라인을 순식간에 밀어 버릴 수 있는 잠재력이 있어 하차를 켜서 원맨쇼를 하겠단 마인드 보다는 아군과 함께 라인을 올리겠다는 마인드로 쓰는 것이 리스크가 적다.

2025년 10월 대규모 밸런스 패치로 하이퍼차지로 인한 게임내 불합리함을 해소 시키면서 나온 실력과 숙련도가 받춰주어야 사기가 되는 하이퍼차지이다. 만약 좀 어렵게 느껴진다면 2인 궁각을 잘보고 들어가자

여담으로 미나는 하차궁의 피격판정이 일반궁보다 좋지 않은 편이다. 특히 끝 사거리에 걸쳐 있으면 적이 궁에 닿아도 맞지 않는 후하지 못한 판정으로 최대 사거리에서 맞출 생각은 하지 않는게 좋다. 그럼에도 부채꼴 모양의 미나 궁을 발사하는 것과 같기 때문에 중거리에서 하차궁을 쓰기만해도 확정적으로 적을 맞출 수 있으니 어느정도 숙련도가 받침이 된다면 좋은 하이퍼차지이다.

최대 사거리에서 적을 피격할 경우 적이 더 높게 뛰어오른다.
단, 브롤스타즈에는 최대 높이가 설정되어 있어 적이 최대 사거리에서 피격당해 높게 뛰어 오를 경우 적이 포물선을 그리며 떨어지는게 아니라 직선으로 날아가 착지 위치가 애매해지거나 갑자기 빠르게 낙하해서 타이밍 잡기가 매우 힘들어져 역공을 당할 수 있으니 조심하자


7. 성능

맥스, 메이지나 스튜, 멜로디처럼 기동성을 비롯한 피지컬로 승부를 보는 컨트롤러 스타일의 데미지 딜러로, 근거리 데미지도 궤멸적이지만 원거리에서도 카이팅하는 공격 방식 덕분에 컨트롤만 따라주면 어느 모드에서도 운용할만하다는 강점이 특징이다.

이런 구조를 가졌음에도 미나는 체력이 낮지 않고 오히려 굉장히 널널한데다가, 1스파로 3타를 명중 시 회복이 가능한 장점 때문에 조작 난이도만 높을 뿐이지 체력을 감수할 리스크 및 후상황은 여타 기동형 브롤러보다 덜하다. 덕분에 숙련된다면 정말 춤추는 것 마냥 이리저리 움직이며 무쌍을 펼치면서 라인을 벗어나기가 비교적 쉽다.

공격 방식 자체는 빠르게 초기화되기 때문에 보통 원거리전에서는 작은 공격을 날리며 깔짝이는 수준에서 끝나므로, 1가젯으로 투사체를 차단시키거나 피지컬로 피하면서 과감하게 접근하는 플레이가 중점이다. 여기에 특수 공격과 2가젯과의 시너지로 진형 붕괴 및 무력화를 손쉽게 일으킬 수 있어 특수 공격 하나로 시작해 일반 공격을 최대한으로 발휘하거나 팀의 보조가 따른다면 판세를 순식간에 바꿔버릴 수 있는 어마무시한 잠재성을 타고났다.

단점은 컨트롤 자체가 상이하게 이질적인데, 일반 공격부터가 대놓고 초보자 친화적인 구조가 아니라서 헛발로 괜히 앞서나가다 공격은 명중도 못하고 사거리는 딸리는 상황이 자주 생긴다. 더군다나 이동하면서 공격하기에 선딜레이가 있어 dps 싸움에서는 다소 불안정한 단점이 있으며 특수 공격을 이용한 공격의 차단 자체는 쉬우나 특수 공격을 채우는 패시브가 없어 시작부터 라인을 꽉 잡은 상황에서는 접근의 리스크가 크다.

때문에 단일 투사체 정도는 카이팅으로 피하면서 접근할 법하지만, 광범위한 공격으로 접근 자체를 허용하지 않으려는 소위 '라인 굳히기'에 특화된 브롤러가 우위에 있는 상황이라면 피지컬을 발휘하여 뚫어버리는 것 외에는 이를 파훼할 방법이 적다. 고로 특수 공격으로 전황을 뒤집고자 공격마다 애매해지는 사거리를 극복하기 위해선 수동 에임을 통해 각자의 사거리를 숙달할 필요가 있다.

7.1. 장단점

장점
  • 높은 기동성
    모티스처럼 공격을 할 때마다 돌진을 하여 매우 기동성이 뛰어나며, 원거리 공격이면서도 스튜와 달리 공격이 빗나가도 이동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이기까지 하다. 기본 이속마저도 빠르다.

  • 다재다능한 일반 공격
    공격을 할 때마다 공격 방식이 바뀌는 만큼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접근하면서 탄창을 다 쏟아내면 3타의 강력한 폭딜을 온전히 뽑아내어 근접전이 강력하며 1타는 사거리가 8타일로 그리 짧지 않아서 견제력도 준수하다. 콤보 초기화 시간은 2초로 탄창 2개가 차는 2.8초보다 짧으므로 2타까지만 쓰면서 거리를 유지하는 카이팅도 가능하다.

  • 특수 공격의 광역 파괴력
    적들을 한꺼번에 띄워 무력화하는 강력한 특수 공격을 보유했다. 기동성까지 뛰어나기 때문에 다인 특수 공격 대박 각도 쉽게 볼 수 있다. 2가젯과 2스파까지 동원하면 한타를 그냥 박살낼 수 있다.

  • 매우 넓은 상성관계
    사거리가 짧은 브롤러는 접근을 허용하지 않으며 접근해와도 특수 공격과 3타로 안정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데다, 원거리 브롤러 상대로는 공격을 죄다 피하는 등 뛰어난 기동성을 활용해 자신이 유리한 거리에서 공격을 다 피해가며 일방적으로 팰 수 있다. 2타까진 스튜처럼 비관통 공격이지만 스튜와 달리 브롤러를 때리지 못해도 이동이 가능하며, 관통이 되는 3타와 특수 공격으로 소환수도 대응할 수 있다.

  • 높은 범용성
    기동성, 군중 제어, 근접 대응력, 원거리 견제까지 뭐 하나 빠지는게 없다. 심지어 체력도 준수하고 장전속도도 1.4초로 적당히 빠르고 1가젯이나 1스파를 사용해 생존력도 크게 보완할 수 있다. 워낙 다양한 유틸리티를 가지고 있고 화력까지 강력해서 특별 이벤트가 아닌 이상 어떤 모드에서도 충분히 활약할 수 있다.

  • 상술한 장점으로 인한 압도적인 고점
    기본 스펙부터 유틸리티까지 뭐 하나 빠질 게 없는 압도적인 스킬셋에 카운터도 중거리 탱커를 제외하면 사실상 없다시피하니 미나를 잘 다루면 혼자 게임을 터트릴 수 있다.
단점
  • 높은 사용 난이도
    공격할 때마다 이동하는 것 때문에 에임 난이도가 꽤 높으며 공격할 때마다 달라지는 일반 공격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에 운용 난이도도 높다. 근접전을 이길 것 같으면 콤보가 초기화되기 전에 망설이지 말고 재빨리 공격을 해야만 3타를 쓸 수 있으며, 근접에서 질 것 같으면 콤보를 초기화시켜 다시 1타부터 쓰는 등 상황 판단이 정확해야 고점을 낼 수 있다.

  • 지형지물에 막히는 스킬셋
    미나는 기동성이 좋지만 일반 공격과 특수 공격 모두 벽에 막힌다. 따라서 벽 뒤에서 공격할 수 있는 투척수나 벽을 끼고 견제를 하는 상대한테 이 점이 불리하게 작용된다. 특히 돌진 거리가 그렇게 길지도 않고, 재장전 속도도 빠르지는 않기 때문에 벽이 많은 맵에서는 이 점이 더욱 부각된다.

  • 역효과를 일으킬 수 있는 특수 공격
    게일의 2가젯과 비슷한 단점. 체공 상태의 적은 일시적으로 투사체에 맞지 않는 상태가 되므로 타이밍이 어긋나면 되려 적이 공격을 피하게 만들어서 괜히 잡을 수 있던 것도 못 잡을 수 있다. 미나 자신은 타이밍 재기가 쉽기에 개인전에서는 문제가 없지만 팀원은 힘드므로 팀파이트에서 부각되는 단점이다.

7.2. 변천사

상술했듯이 출시 전부터 타 게임의 캐릭터와 비슷하다는 평이 많았다.

출시된 이후에는 높은 난이도를 감안해도 고점이 매우 높고 사기적이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기본적인 스킬셋도 상당히 높은데 일반 공격의 특성으로 인해 근, 원거리 모두 커버가 가능하다 보니 범용성도 매우 뛰어나다.

다만 무지성으로 해도 1인분은 하던 다른 사기 브롤러과는 달리 상술했듯이 난이도가 꽤 있기에 알리수준의 무지성 사기 브롤러급으로 논란이 번지진 않았다.

물론 아예 날먹 수준만 아닐뿐 미나 역시 압도적인 OP 브롤러라는 것은 변함이 없으며 탱커 브롤러도 빈사 상태로 만드는 터무니없이 높은 3타 일반 공격의 피해량 같은 경우는 특히 너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대다수다. 애초에 설계 자체가 잘못되었다는 의견이 대다수이며, 유저들은 가젯과 스타파워 능력을 갈아엎는것으로도 부족하고 체력이나 장전속도, 공격력같은 스텟을 크게 칼질해야만 밸런스를 맞출 수 있다고 하고 있다.

또한 난이도가 어렵다고는 해도 이를 극복했을 때의 고점은 매우 사기적인 수준이며 현재의 사기성을 생각하면 어려운 난이도여도 자체 성능으로 상쇄가 가능한 크게 의미가 없는 정도이기에 대회에선 당연하다는듯 거의 모든 경기에 밴을 당하며 경쟁전 역시 대부분은 밴한다.[62] 트로피전, 경쟁전, 프로 경기까지 가리지 않고 미나가 있는 팀은 일단 반은 승리 확정 수준인 픽하면 비매너 수준의 평가를 받는다.

현재까지 아무런 너프 없이 PVE(보스전, 로보 럼블)를 제외하면 모든 모드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데, 다음 패치에서 하이퍼차지를 받게 되었다. 모든 브롤러가 하이퍼차지를 받는건 예정되어 있었으나, 미나는 너무 강한 모습을 보이는 중이라, 이부분에서는 말이 많은 상태다. 심지어 당하면 공중으로 뜨는 궁극기가 세 갈래로 나가는 것도 모자라서 아예 벽에 튕기기까지 하는건 덤.

이후 공개된 밸런스 패치에서 3번째 일반 공격의 피해량이 9% 줄어드는 너프가 예정되었지만 그래도 11렙 기준 피해량은 4000이나 되므로 이 정도로는 타격이 전혀 없으며 체력, 재장전 속도, 3타 뿐만 전체적인 피해량을 손봐야하는데 보여주기 식 너프만 한다는 반응이 지배적이다.

업데이트 이후, 잠수함 패치로 가젯 재장전 속도가 증가하고, 첫 번째 스타 파워가 브롤러가 아닌 적에게는 발동되지 않도록 변경되었다. 또한, 하차궁은 2가젯이 적용이 안 된다는 점이 드러나 성능이 전보다 더 올라가진 않았지만, 더 떨어지지도 않았다. 때문에 압도적 1티어의 성능을 유지하고 있으며, 경쟁자인 올리, 키트가 해당 패치에서 매우 큰 너프를 먹었다는 점과 대조적이다. 현재 비슷한 성능을 가진 브롤러는 유일하게 카제가 남았으나, 카제 또한 미나가 상대하기 쉬운 브롤러이기 때문에 미나의 입지에 큰 차이는 없다. 긴급 패치에서 유의미한 너프를 받지 않는 이상 계속해서 OP를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알리와 래리 & 로리의 재림...?아니면 더할수도...?

버그 수정 패치 또한 잠수함 패치로 진해되었는데, 이제 미나가 2가젯을 킨 상태로 죽어도 특수 공격이 증발하지 않은 버그 수정 패치를 하였다. 애초에 하위권이 아닌 이상 미나가 가젯궁이 있는 상태로 죽을 일은 거의 없기에, 큰 성능 편차는 없다.

그래서 11월 수능 전후 밸런스 패치로 체력이 1레벨 기준 3700으로 줄어들고, 2번째 일반 공격 피해량이 크게 줄어드는 너프를 받았다. 구조적인 부분이 너프를 받지 않아 큰 티어 변동은 없을 것으로 보이지만 체력이 감소한 탓에 안정성이 감소하였고, 2번째 일반 공격 피해량 감소도 생각보다 큰 너프라 다시 카제에게 1등 자리를 내줄 수도 있다.

7.3. 모드별 평가

모드에 따라 사용하기 매우 적합, 적합, 약간 적합, 약간 부적합, 부적합, 매우 부적합, 편차 심함[63][64]으로 분류하였다.

8. 상성

모든 상성은 1대1 기준이며, 가장 일반적인 전투 상황을 기준으로 하였다.

9. 세팅

<rowcolor=#fff> 주요 빌드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rowcolor=#fff> 차선 빌드
파일:icon_item.png파일:icon_star_power.png
추천 기어
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파일:Gear_Default.png

10.

미나의 궁극기 충전량 너프와 일반공격 3타의 대미지가 감소해 거의 대부분의 브롤러를 궁-3타 콤보로 녹일 수 있는 미나 였지만 이제는 대부분의 브롤러가 실피로 살게 되어버려서 어느정도 익숙해지면 1타와 2타를 이동기가 아닌 다 맞추고 들어간다는 마인드로 접근하면 좋다. 여기서 더 숙달되면 일반공격 1타-2타-2가젯-궁-3타-궁의 형식으로 콤보를 심화하면 끝이다. 미나의 기대 대미지 수치가 3000 가까이 줄어 들었기 때문에 심화 콤보는 1000점 이상을 목표로 한다면 꼭 기본으로 할 줄 알아야한다.

미나는 첫 궁극기 채우기가 살짝 힘들지만 한 번 채우고 나면 궁극기 사이클이 그리 어렵지 않기에 하이퍼차지 체감 충전속도는 빠른 편이다. 보통 48000딜 정도 넣으면 하차가 한 번 차기 때문에 한 판에 최소 한번에서 최대 두 번 까지도 사용할 수 있다.

미나의 하차궁은 사용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혼자 캐리하는 경우와 팀과 라인을 크게 올리거나 적팀 진영을 붕괴시키는 경우다.

혼자 캐리하는 원맨쇼를 위해선 하차궁을 최소 두 번 이상 돌려야하는데 이를 위한 조건이 있다.
1.하차궁으로 적을 최소 두 명 이상 피격 시켜야한다.
2.적이 서로 붙어있거나 서로 가까운 위치에서 피격당해야 한다.
3.피격된 두 명의 적이 미나 앞에 떨어 졌을 때 3타로 공격하여 두 명을 모두 공격한다.
이렇게 하면 궁이 한 번 더 돌게 되고 남은 궁으로 나머지 생존한 적을 쓸면 된다. 그러나 이런 장면은 숙련도도 높아야 그려지고 적이 피격된 위치가 서로 차이가 약간 난다면 땅에 착지하는 타이밍이 달라져 3타로 둘다 공격하기 힘들다. 또한 하차궁을 쓸때 하차궁을 근접에서 피격당하면 에어본 효과가 일어나지 않음으로 괜히 근접에서 맞추었다가 1대 3 하기도 전에 다구리 맞아 죽는 경우가 다반사거나 3타를 써버려 미나 앞에 떨어진 적군들에게 죽는 경우도 있다. 즉 각을 매우 잘 보아야 하면 무지성 하차 딸깍으로 게임을 뒤집을 수 있을 정도가 아니라는 점만 알아두고 써야한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하차궁의 넓은 범위를 이용하여 최대한 많은 적을 에어본 시켜서 팀원과 함께 상대 진영을 붕괴 시키는 방법도 있다. 보통은 이런 그림이 자주 나오며 이 과정에서 드물게 클러치를 하는 경우도 있다.

11. 스킨

11.1. 기본 스킨

파일:brawlmina2.png
프로필 이미지나 애니메이션 등의 2d 아트워크에서는 자넷이나 찰리와 비슷한 일자형의 눈동자를 가졌으나, 막상 인게임에선 사백안마냥 묘하게 둥근 눈동자를 가져서 은근 이질적인 인상을 가졌다고 평가받는다. 그로 인해 애니메이션, 프로필 일러스트의 모습이 훨씬 낫다는 평가가 많은 편이다.

승리 시 카포에라를 브레이크 댄스를 추며 머리로 바닥을 세우고 다리를 T자로 한다. 패배 시 두 손으로 얼굴을 가리며 울상 짓는 행동을 하며 뒤돌며 한 손으로 앞을 내밀고 주저 앉는다.

11.2. 획득 / 구매 가능한 스킨

11.2.1. 그래피티 미나(GRAFFITI MINA)

파일:Rare_SkinBS.png 파일:icon_skin_category_street.png
파일:mina_graffiti.png
희귀도
희귀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29
파일:icon_bling.png 1000

11.2.2. 비트체이서 미나(BEATCHASER MINA)

파일:Mythic_SkinBS.png
파일:mina_beatchaser.png
희귀도
신화
비용 파일:brawlgemicon.png 199
[ 전용 핀 ]
파일:beatchasermina_pin.png
[ 기타 요소 ]
파일:beatchasermina_icon.png파일:beatmina_spray.png

DanceDanceRevolution펌프 잇 업으로 대표되는 댄스 게임을 모티브로 두고 만든 스킨. 미나의 출시 이벤트와 함께 출시되었다. 신화 스킨인 만큼 이펙트도 나쁘지 않다.

승리 시 DanceDanceRevolution펌프 잇 업 댄스를 춘 다음 물구나무 서기를 하며 손으로 제스처를 한 다음 백스텝 댄스를 추고 뒤돌아서 팔짱을 끼며 바라본다. 패배 시 양팔을 다리를 안고 앉은 뒤, 눈을 감고 고개를 왼쪽으로 살짝 돈다.

일반공격 이펙트로는 발도 나가는 여러 이펙트들이 존재한다
11.2.2.1. 팔레트 스왑 버전
댄스댄스 미나
(DANCE DANCE MINA)
하이스코어 미나
(HIGH SCORER MINA)
파일:mina_dancedance.png 파일:mina_highscorer.png
[ 전용 핀 ]
height=90
[ 전용 핀 ]
height=90

12. 업데이트 내역

13. 기타


[포르투갈어] 대사에 포르투갈어가 들어간다.[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8] bubbly는 샴페인을 지칭하는 영단어이다.[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19] 두 가지 버전이 있다.[포르투갈어] [21] 두 가지 버전이 있다.[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포르투갈어] [28] 소울 시스터는 소울메이트와 동일한 뜻이다. 정확히 말하자면 깊은 유대감을 가지는 여성 친구라는 의미.[콤보] 순서대로 공격 1/ 공격 2/ 공격 3.[콤보] [스탯] 스탯 삽입(삽입 후 각주 삭제)[스탯] [스탯] [34] '실버 불렛' 가젯 사용 시 막지 못한다.[35] 단,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으로 발사되는 전방위 투사체는 막힌다.[36] '산성 스프레이' 가젯 사용 시 막지 못한다.[37] 단,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은 막지 못한다.[38] 그롬은 조금 애매하다. 곡사형 투사체라 막지 못할 것 같지만 땅에 떨어지고 4갈래로 나가는 공격은 지상 투사체 판정이라 가젯으로 막을 수 있지만, 머리 위로 직격하는 투사체는 막지 못한다. 다만 내부 판정이 좋아서 조금만 움직여도 맞지 않을 수 있다.[39] 특수 공격 자체의 착지 대미지는 막지 못하지만 보니 모드의 일반 공격은 막을 수 있다.[40] 당연하지만 분신이 쏘는 공격은 막을 수 있다.[41] '쿠키 부스러기' 가젯 사용 시 막을 수 없다.[42] 단,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으로 발사되는 6방향 추가 투사체는 막을 수 있다.[43] 단, 로리가 쏘는 산탄형 투사체는 막을 수 있다.[44] '화살 마스터' 가젯 사용 시 막을 수 없다.[45] 미플의 특수 공격은 아군의 투사체가 범위 내 벽을 관통하게 해주는 능력이라 가젯으로 막을 수 없을 것 같지만 의외로 막힌다. 미플 특수 공격의 정확한 원리가 "아군의 투사체에 벽 관통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 아닌 "범위 내 벽을 아군의 투사체만 통과 가능한 상태로 만드는 것"이기 때문. 비유하자면 아군의 투사체를 맨디/안젤로의 관통 가젯처럼 만들어 주는 게 아니라 범위 내 벽을 아군 한정 울타리(브롤러 통과 불가, 투사체 통과 가능)로 바꾸는 것이다. 미나의 가젯은 시스템상 벽이 아니기 때문에 미플의 특수 공격에 해당하지 않는 것.[46] 단, 가방이 튀어 올랐다가 떨어져 폭빌하는 대미지는 막지 못한다.[47] 단, 짐꾼이 쏘는 공격은 막을 수 있다.[48] 그롬과 비슷하다. 처음엔 곡사형 투사체지만 땅에 떨어져 튕기기 시작하면 지상 투사체 판정이라 가젯으로 막을 수 있기 때문. 가젯 안으로 투사체가 들어오면 튕기지도 않고 정체해 있다가 가젯이 사라질 때 폭발한다.[49] 단,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으로 추가 발사되는 투사체는 막을 수 있다.[50] 어디까지나 부착되는 것을 막는 것이지 범위 피해까지 막지는 못한다.[51] 스프라우트와 똑같다. 땅에 떨어져 분열될 때는 일반 공격과 같은 판정이다.[52] '지팡이' 가젯 사용 시 막을 수 없다.[53] 하이퍼차지로 생기는 감시 레이저는 막지 못한다.[54] 단, 음표는 막을 수 없다.[55] 단, 특수 공격으로 변신 중의 일반 공격(드릴)은 막을 수 있다.[56] 단, 그리그리가 쏘는 바늘은 막을 수 있다.[57] 특수 공격 자체는 막지 못하지만 특수 공격에 영향받은 적 투사체가 막을 수 있는 공격이라면 당연히 막을 수 있다.[58]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은 전방위로 퍼지는 살미아키 구름만 막을 수 있다.[59] 키트가 아군에게 탑승 후 던지는 실뭉치도 막지 못한다.[60] 그롬의 2차 공격과 스프라우트의 땅에 떨어진 후 튕기는 공격은 더 이상 곡사형 투사체 판정이 아니기 때문에 가젯에 막힌다.[61] 그러나 현재 안에서 쏘는것과 스파이크 등 2차 공격까지 막는 버그로 추정되는 현상이 있다.[62] 2025년 LCQ에서는 지난번 루미와 비슷하게 밴률이 100%에 수렴하고, 이따끔 미나가 풀린 판에는 미나를 가져간 팀이 무조건 이기는 기현상이 발생했다.[63] 조건에 따라 극과 극으로 오고가는 경우[64] 단, 스타파워, 극히 일부 맵(2개 이내, 특별 이벤트 제외) 등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제외. 이 경우는 모드 뒤에 따로 평가할 것. 극히 일부 맵이 아닌 다양한 맵으로 편차가 심하거나, 특별 이벤트 모드에서 맵으로 편차가 심한 경우는 "편차 심함"으로 평가할 것.[65] 주로 미나가 특수 공격이 있으면서 프랭크의 1가젯과 같이 상대에 안티 CC기가 없을 때 상성이 역전된다.[66] 2025년 11월 소규모 벨런스 패치로 미나의 체력과 2타의 대미지가 각각 너프됨에 따라 프랭크를 잡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 해졌다. 프랭크의 일반공격 3방에 죽게되었고 미나 극악 가젯 콤보(1타-2타-가젯-궁-2인궁-2인 3타-궁)를 성공 시켜도 딜 너프로 인해 프랭크가 죽지 않으며 1가젯을 채용해도 그저 도망 갈 수 있을뿐 사거리, 딜, 체력 모든 부분에서 미나가 전체적으로 불리해졌다. 더이상 팀원의 도움없이 미나가 프랭크를 잡아내는게 불가능해졌고 진입해서 3타를 맞혔더라도 에모가 차기전에 프랭크의 빠른 공속으로 미나가 이론상 프랭크를 잡아내는 것이 1대1 상황에서 불가능해졌다. 다만 3대3에서는 아직 우위이니 2인궁각을 잘보고 들어가는 것이 좋다.[67] 애쉬의 기동성, 피해량이 처참한 1단계에서는 공격을 지속적으로 날려주면 쉽게 이기지만 애쉬도 그 광경을 지켜보고만 있진 않을 것이고 미나에 반격해 분노 게이지를 채워갈 것이다. 그렇게 분노 게이지가 전부 충전된 애쉬의 피해량은 3200이라는 무시 못할 피해량이 들어오고 이속이 미나랑 같아져서 애쉬를 추격하는 것도 힘들다. 특히 애쉬의 로봇 쥐가 미나 입장에선 거슬리는데, 미나의 1, 2번째 공격은 비관통이라 3번째 공격이나 특수 공격을 로봇 쥐를 처리하는 데 사용해버린다. 다만, 애쉬의 경우 미나의 특수 공격을 막을 수 있는 안티 cc기가 없기에 2가젯과 특수 공격을 모두 가진 상태에서 먼저 특수 공격으로 띄우면 이길 수 있다.[68] 현재 코델리우스와 함께 미나를 확실하게 카운터칠 수 있는 유이한 브롤러이다. 행크의 스킬셋은 미나의 단점을 모두 저격하고 있으므로 상대하기 어렵다. 행크가 초반에 약한 점을 이용해 근접하면 이길 수 있으나, 상대 행크가 작정하고 벽을 끼고 대치하면 미나가 할 게 없어진다. 1가젯도 행크의 특수기를 제외하고는 소용이 없고, 2가젯으로 상대 행크에게 특수기를 2번 맞추더라도 상대 행크가 특수기가 있으면 잡기 힘들어진다. 애초에 행크는 벽을 끼고 미나에게 특수 공격 각을 잘 안 주므로 여려 면에서 매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때문에 현재 아무리 무상성 브롤러로 평가받는 미나여도 오픈맵이 아니라면 가장 잡기 힘든 브롤러는 행크라고 할 수 있다.[69] 애쉬랑 비슷하다. 일반 모드에선 기동성이 딸려서 미나가 지속적으로 공격을 해주면 그만이지만 드라코가 드래곤에 탑승하면 이동 속도가 확 빨라져서 미나에게 접근하기 쉬워지고 피해량 감소 15%가 있어서 미나의 공격이 아프지 않게 느껴진다. 특히 드라코의 2가젯은 드라코의 생명력을 더욱 올려주기에 까다롭다. 궁극기를 써서 드라코를 따돌릴 수 있지만 잠시동안 따돌리는 것 뿐이라서 별 의미가 없다.[70] 체스터는 미나를 압도하는 강력한 근접 딜량과, 미나보다 근소하게 긴 사거리를 바탕으로 미나가 이도저도 못하게 할수 있다. 심지어 미나의 깔짝대는 움직임으로는 체스터의 넓은 공격 범위에서 벗어날 수 없다. 그러나 체스터가 3,4타를 사용하게 하여, 근접전 능력을 불안정하게 만들수 있다. 한마디로 완벽하게 압도되는 상성은 아니지만, 운영 상에서 까다롭다.[71] 이속이 빠르고 체급이 준수한 편인 중거리 브롤러라 미나가 거리 조절을 해도 일방적으로 이득을 보기 어려운 편이다. 3타나 특수 공격을 1가젯으로 피할 수 있는것도 껄끄럽고 2가젯으로 미나를 묶어놓고 팰 수도 있다. 당연하게도 무지성으로 꼴박하면 필패다. 물론 코델리우스는 체력이 높지 않아 가젯 특수 공격-1타-특수 공격-2타 콤보에 죽어버리며 사거리도 미나가 더 길긴 하나 3타 사거리가 코델보다 짧아 지형을 이용하면 역시나 쉽지 않다. 그나마 1가젯으로 특수 공격은 못 막지만 일반 공격과 2가젯은 막을 수 있고 코델리우스 특수 공격을 맞아도 돌진은 일반 공격에 달린 능력이라 도망칠 수 있다. 그러나 3타를 맞추는 것 자체가 매우 어려운 브롤러다. 그리고 코델리우스의 점프 가젯과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 또한 조심하자. 여러모로 행크와 함께 동실력대 기준 가장 어려운 브롤러.[72] 행크와 마찬가지로 벽 너머에서 일방적인 공격이 가능한 카운터. 벽 너머에서 공격할 수 있는 사거리는 짧지만 가젯으로 연장이 가능하고, 히트스캔이라 1가젯도 무용지물이며, 특수기를 채우면 아예 벽 속에서 일방적으로 공격하기 때문에 대응할 방법은 무빙으로 피하는 것 외에는 없다. 하이퍼차지가 있으면 범위 전체에 높은 데미지가 박히므로 회피도 불가능해진다.[73] 특히 볼트체 표시한 브롤러들은 기동성이 매우 낮거나 순수 근접전마저도 미나에게 밀리기 때문에 더더욱 쉽다.[74] 트렁크의 2가젯만 주의하면 어려울게 없다. 트렁크가 2가젯을 뺄 때까지 2타만 쓰고 트렁크가 특수 공격으로 접근할 때 맞 특수 공격으로 날려버린다면 트렁크는 버티지 못하고 2가젯을 특수 공격이나 2타를 막는 데 써야 하는데 그때 3타로 폭딜을 박으면 된다. 단, 맵에 벽이 많으면 트렁크의 접근이 더 쉬워져 얘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트렁크의 2가젯, 미나의 공격을 요리조리 피하는 이속 버프,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 정도는 조심해야 한다.[75] 다인전이나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 정도는 조심하자.[76] 상성은 유리하지만, 마냥 먹잇감이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다. 언뜻 보면 미나의 압도적인 기동력으로 미코를 농락할 수 있을 거 같지만, 맵에 지형지물이 있다면 기동력은 미코가 더 높아 오히려 미나가 미코한테 농락당하는 그림도 나온다. 미나는 1, 2타가 돌진&공격 방식이고 3타가 돌진->공격 방식인데, 미코의 체공 딜레이를 상대로 유리한 공격 방식은 공격->돌진이다. 그래도 미나는 미코보다 기본 스탯이 더 높고, 지형지물이 적은 맵에서는 미코 유저가 예측 실력이 뛰어나거나 가젯을 쓰지 않는 이상 미코도 미나를 상대하기 어렵기에 상성상으로는 미나가 유리한 게 맞다.[77] 근접 브롤러 중에서도 가장 쉬운 먹잇감이다. 사정거리도 에드거 급으로 매우 짧고 릴리의 특수 공격을 일반 공격 하나면 쉽게 피할 수 있다. 릴리의 특수 공격에 맞아도 일반 공격으로 거리를 벌리면 그만일 뿐더러 미나는 체력이 넉넉한 편이라 1스파 풀 콤보에도 당하지 않는다.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만 조심하자[78] 미나의 특수 공격 하나만 딸깍하도 범위가 매우 넓기 때문에 아무리 기동성이 좋은 멜로디라도 절때 피할 수 없으며 음표로 몸을 붙이면서 딜을 넣어야하는 멜로디에게 넉백기는 치명적이다. 스텟과 기동성 또한 서로 비등한 것은 덤. 물론 멜로디는 상술한 근접 브롤러들과 달리 사거리가 약간 긴 일반 공격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 조금 까다롭긴 하지만 데미지가 매우 저열하기 때문에 상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으로 밀고 들어오는 것만 조심하자.[79] 개활지에서는 별 거 없는 상대지만, 벽이나 부쉬가 좀 많이 배치되어 있을 경우는 주의할 필요가 있다. 미나의 돌진은 지형물에 다 막히는 반면, 알리는 미나의 공격을 피하기에 용이하기 때문이다. 팀전에서 벽이나 부쉬가 많을 경우, 그냥 알리를 무시하고 다른 상대에게 접근하는 방법도 있다. 알리의 재장전 속도는 느려서 미나에게 뛰어드는 데 빌드업이 필요하므로, 알리가 훼방을 놓기 전에 알리의 팀원에게 접근해 특수 공격 게이지를 채우는 식으로 이득을 보는 게 가능하다.[80] 물론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은 조심하자.[81] 스탯만 비교해봐도 미나가 더 우세하며 접근해와도 미나의 일반 공격+일반 공격+특수 공격+일반 공격 콤보로 카제를 바로 녹일 수 있다. 닌자 모드의 하이퍼차지 특수 공격 정도만 조심하자.[82] 미나는 공격을 못 맞춰도 돌진이 되므로 이를 이용해 스튜의 공격을 다 피해버리면 미나만 일방적으로 때릴 수 있으며 스튜가 특수 공격이 없을 때 특수 공격으로 띄워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 물론 미나의 높은 난이도 특성상 스튜에게 접근하는 것이 쉬운 편은 아니지만 반대로 스튜 입장에서도 컨트롤하는 것이 상당히 까다롭기에 미나가 더 유리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