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14:56:17
미구엘 비라소로의 주요 수상 이력 |
- [ 펼치기 · 접기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E3A6F><tablebgcolor=#2E3A6F> ![파일:ictp 로고 화이트.png]() | 디랙 메달 역대 수상자 | }}} || |
<colbgcolor=#000><colcolor=#fff> 미구엘 비라소로 Miguel Virasoro |
|
출생 | 1940년 5월 9일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사망 | 2021년 7월 23일 |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
국적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직업 | 이론물리학자 |
분야 | 입자이론 (양자장론, 끈이론) |
학력 |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물리학 / 학사)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물리학 / 박사) |
경력 |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이론물리학 / 박사후연구원) UW 매디슨 (물리학 / 박사후연구원) UC 버클리 (이론물리학 / 박사후연구원)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이론물리학 / 교수)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이론물리학 / 연구원) 파리 고등사범학교 (이론물리학 / 연구원) INFN 토리노 (이론물리학 / 연구원)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이론물리학 / 연구원) SISSA ICTP (이론물리학 / 교수) |
링크 | |
미구엘 비라소로는 아르헨티나의 이론물리학자이다. 주 연구 분야는 양자장론이다. 주 연구 분야는 양자색역학이다. 2. 연구 업적
1970년에 QCD의 공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산자 대수를 고안했는데 형식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_{m}^{\dag} + m = \sum_{n=1}^{\infty} a_{n}^{\dag} n^{\frac{1}{2}} (-(n+m)^{\frac{1}{2}}a_{n+m} + n^{\frac{1}{2}}a_n) + \partial_{\mu} \partial^{\mu} + \cdots \end{aligned})] |
1984년 벨라빈, 폴랴코프, 자몰롯치코프에 의해 등각양자장론이 정립되었을때, 등각 불변성과 연산자 곱 전개를 활용해서 생성자 L로 연산자 대수를 아래와 같이 축약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L_m, L_n \right] = (n+m)L_{n+m} + \dfrac{(m^3-m)c}{12} \end{align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