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0-04 14:56:17

미구엘 비라소로

미구엘 비라소로의 주요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width=320><tablebordercolor=#2E3A6F><tablebgcolor=#2E3A6F> 파일:ictp 로고 화이트.png디랙 메달
역대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555,#aaa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 1985 198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에드워드 위튼 야코프 젤도비치 알렉산드르 폴랴코프 난부 요이치로
<rowcolor=#fff> 1987 198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브루노 추미노 브라이스 디윗 데이비드 그로스 예핌 프레디킨
<rowcolor=#fff> 1989 1990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소련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존 슈워츠 마이클 그린 류드비크 파데예프 시드니 콜먼
<rowcolor=#fff> 1991 1992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스탠리 맨델스탐 제프리 골드스톤 니콜라이 보골류보프 야코프 시나이
<rowcolor=#fff> 1993 1994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대니얼 프리드먼 페터르 판니우언하위전 세르조 페라라 프랭크 윌첵
<rowcolor=#fff> 1995 1996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마이클 베리 마르티뉘스 펠트만 툴리오 레제 데이비드 올리브
<rowcolor=#fff> 1997 1998 1999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터 고다드 로먼 재키브 스티븐 애들러 조르조 파리시
<rowcolor=#fff> 2000 2001
파일:호주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헬렌 퀸 하워드 조자이 조제쉬 파티 존 홉필드
<rowcolor=#fff> 2002 2003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구스 안드레이 린데 폴 스타인하트 로버트 크라이넌
<rowcolor=#fff> 2003 2004 2005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블라디미르 자하로프 커티스 캘런 제임스 요르겐 패트릭 리
<rowcolor=#fff> 2005 2006 2007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샘 에드워즈 페터 졸러
이오아니스 일리오풀로스
루치아노 마이아니
<rowcolor=#fff> 2008 2009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조셉 폴친스키 후안 말다세나 캄란 바파 로베르토 카
<rowcolor=#fff> 2009 2010 20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미첼 파리넬로 니콜라 카비보 조지 수드라샨 에두아르드 브라진
<rowcolor=#fff> 2011 2012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존 카디 알렉산드르 자몰롯치코프 덩컨 홀데인 찰스 케인
<rowcolor=#fff> 2012 2013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장쇼우쳉 제임스 피블스 톰 키블 마틴 리스
<rowcolor=#fff> 2014 2015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쇼케 센 앤드루 스트로민저 가브리엘레 베네치아노 알렉세이 키타예프
<rowcolor=#fff> 2015 2016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그레고리 무어 니콜라스 리드 나탄 자이베르그 미하일 쉬프먼
<rowcolor=#fff> 2016 2017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아르카디 바인슈타인 찰스 베넷 데이비드 도이치 피터 쇼어
<rowcolor=#fff> 2018 2019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수비르 사흐데프 쏜담탄 원샤오강
<rowcolor=#fff> 2019 2020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독일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뱌체슬라프 무카노프 라시드 썬야예프 피에르 라몽 앙드레 느뵈
<rowcolor=#fff> 2020 2021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캐나다 국기.svg
미구엘 비라소로 알렉산드라 부오나노 티보 다무르 프랜스 프레토리우스
<rowcolor=#fff> 2021 2022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사울 테우콜스키 조엘 레보위츠 엘리엇 리브 다비드 루엘
<rowcolor=#fff> 2023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이고르 클레바노프 제프리 하비 스테판 셴커 레너드 서스킨드
<rowcolor=#fff> 20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호라치오 카시니 마리나 후에르타 류 신세이 타카야나기 타다시
<rowcolor=#fff> 2025
파일:영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미국 국기.svg
게리 기번스 게리 호로위츠 로이 커 로버트 발드 }}}}}}}}}}}}
<colbgcolor=#000><colcolor=#fff> 미구엘 비라소로
Miguel Virasoro
출생 1940년 5월 9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사망 2021년 7월 23일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아르헨티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아르헨티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이론물리학자
분야 입자이론 (양자장론, 끈이론)
학력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물리학 / 학사)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물리학 / 박사)
경력 바이츠만 과학 연구소 (이론물리학 / 박사후연구원)
UW 매디슨 (물리학 / 박사후연구원)
UC 버클리 (이론물리학 / 박사후연구원)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이론물리학 / 교수)
프린스턴 고등연구소 (이론물리학 / 연구원)
파리 고등사범학교 (이론물리학 / 연구원)
INFN 토리노 (이론물리학 / 연구원)
로마 사피엔차 대학교 (이론물리학 / 연구원)
SISSA ICTP (이론물리학 / 교수)
링크 파일:스코푸스.png

1. 개요2. 연구 업적

1. 개요

미구엘 비라소로는 아르헨티나의 이론물리학자이다. 주 연구 분야는 양자장론이다. 주 연구 분야는 양자색역학이다.

2. 연구 업적

1970년에 QCD의 공명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산자 대수를 고안했는데 형식은 다음과 같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O_{m}^{\dag} + m = \sum_{n=1}^{\infty} a_{n}^{\dag} n^{\frac{1}{2}} (-(n+m)^{\frac{1}{2}}a_{n+m} + n^{\frac{1}{2}}a_n) + \partial_{\mu} \partial^{\mu} + \cdots \end{aligned})]
1984년 벨라빈, 폴랴코프, 자몰롯치코프에 의해 등각양자장론이 정립되었을때, 등각 불변성과 연산자 곱 전개를 활용해서 생성자 L로 연산자 대수를 아래와 같이 축약했다.
[math(\displaystyle \begin{aligned}
\left[ L_m, L_n \right] = (n+m)L_{n+m} + \dfrac{(m^3-m)c}{12}
\end{alig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