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10:38:03

베를린미테구

모아빗에서 넘어옴
파일:베를린 주장.svg
베를린의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파일:미테구 휘장.svg
미테
파일:프리드리히스하인-크로이츠베르크구 휘장.svg
프리드리히스하인크로이츠베르크
파일:판코구 휘장.svg
팡코
파일:샤를로텐부르크-빌메르스도르프구 휘장.svg
샤를로텐부르크빌머스도르프
파일:슈판다우구 휘장.svg
슈판다우
파일:슈테글리츠-첼렌도르프구 휘장.svg
슈테글리츠첼렌도르프
파일:템펠호프-쇠네베르크구 휘장.svg
템펠호프쇠네베르크
파일:노이쾰른구 휘장.svg
노이쾰른
파일:트렙토-쾨페니크구 휘장.svg
트렙토쾨페니크
파일:마르찬-헬러스도르프구 휘장.svg
마르찬헬러스도르프
파일:리히텐베르크구 휘장.svg
리히텐베르크
파일:라이니켄도르프구 휘장.svg
라이니켄도르프
독일의 행정구역
}}}}}}}}} ||

파일:미테구 휘장.svg 미테 구
Bezirk Mitte
행정
국가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베를린
인문환경
면적 39.47km²
인구 397,134명(2023년 12월)
인구밀도 10,061명/km²
정치
구청장

슈테파니 렘링어
구의회
(55석)
[1]


18석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12석


10석


10석


3석

[[자유민주당(독일)|
자민당
]]
2석

1. 개요2. 상세3. 역사
3.1. 구 미테구 (1920~2000)3.2. 신 미테구 (2001~현재)
4. 구역(Ortsteil)
4.1. 미테 (Mitte)4.2. 모아비트 (Moabit)4.3. 한자피어텔 (Hansaviertel)4.4. 티어가르텐 (Tiergarten)4.5. 베딩 (Wedding)4.6. 게준트브루넨(Gesundbrunnen)
5. 주요 랜드마크6. 여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729px-Berlin_Subdivisions.svg.png
베를린 시의 지도. 미테 구는 베를린 한 가운데에 위치한다.
[clearfix]

1. 개요

독일의 수도 베를린의 지역구 중 하나이다. 면적 39.47km², 인구 약 39만명.

2. 상세

미테(Mitte)는 독일어중심, 중간을 뜻한다. 베를린 중심에 있는 만큼 브란덴부르크 문 등 웬만한 잘 알려진 곳들은 다 미테구에 위치한다. 연방수상부·제국의사당(현 연방하원)·내무부를 비롯한 독일 주요 중앙 관청들, 그리고 주독일 대한민국 대사관을 포함한 여러 나라의 대사관들도 미테구에 위치해 있다.[2] 그리고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서울특별시로 치면 종로구, 중구와 비슷한 포지션을 갖고 있다.

3. 역사

3.1. 구 미테구 (1920~2000)

이전의 미테구는 1920년의 "대베를린 법"에 의해 설치되었으며, 옛 베를린 시와 쾰른(Cölln) 지역의 대부분을 포함하였다. 동서독 분단 이후 미테구는 동베를린에 소속되었으며, 동쪽을 제외한 삼면이 베를린 장벽에 가로막히게 되었다.

2001년 행정구역 개편 이전에는 다음과 같이 3개 구로 나뉘어 있었다.

이러한 역사 때문에 행정구역 개편 이후에도 옛 구 이름으로 부르는 경우가 종종 있다. 예를 들어 모아비트 주민이 집 주소를 쓸 때에 "Berlin-Tiergarten"으로 표기하곤 한다.

3.2. 신 미테구 (2001~현재)

2001년 1월 1일부로 베를린의 23개구를 12개로 통합함에 따라 구 동베를린 지역이던 미테구, 구 서베를린 지역이던 티어가르텐구와 베딩(Wedding)구를 합해 새로 미테구를 설치하였다.

4. 구역(Ortsteil)

미테 구는 서로 다른 구역 여러개를 합쳐놓았기 때문에, 각 구역의 역사와 분위기도 서로 다른 부분이 많다.

4.1. 미테 (Mitte)

옛 동베를린이었다. 간단히 "미테" 라고 얘기하면 보통 이 지역을 일컫는다. 베를린의 중심지 중의 중심지로, 지리적으로 베를린의 한가운데에 위치하고 있으며, "미테" 자체가 중앙이란 뜻이다. 브란덴부르크 문·운터 덴 린덴 거리·베를린 궁[3] ·베를린 훔볼트 대학교·베를린 시청·페르가몬 박물관 등의 잘 알려진 곳이 대개 이곳에 위치한다. 주요 키츠는 다음과 같다.

4.2. 모아비트 (Moabit)

옛 서베를린이었다. 중앙역과 그 서쪽 일대를 일컫는다. 각종 정부 기관 건물들과 노동자 주거지가 혼재해 있다. 내무부 건물도 이곳 중앙역 남쪽에 위치한다. 중심가는 투름슈트라세역 부근. 주요 키츠는 다음과 같다.

4.3. 한자피어텔 (Hansaviertel)

옛 서베를린이었다. 모아비트와 티어가르텐 사이의 비교적 좁은 지역. 과거 서베를린의 도시계획에 따라 세워진 주택들이 위치한다. 중심가는 한자플라츠역 부근. 벨뷔역티어가르텐역도 이곳에 속한다. 예술 대학 Akademie der Künste도 이곳에 있다.

4.4. 티어가르텐 (Tiergarten)

옛 서베를린이었다.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 시절부터 호엔촐레른 가문의 사냥터로 이용되던 곳으로 베를린에서도 손꼽히는 거대한 녹지 티어가르텐과 그 일대를 일컫는다.
과거에 빌헬름 2세가 역대 브란덴부르크 선제후-프로이센 국왕들의 동상을 지은 승전로(Siegesallee)가 있었으나 제2차 세계 대전으로 파괴되었고, 남은 동상들은 슈판다우구에 있는 슈판다우 성채로 옮겨졌다.

4.5. 베딩 (Wedding)

옛 서베를린이었다. 모아비트 북쪽의 상당히 넓은 주택가 지역이자 대표적인 노동자 주거지. 바이마르 공화국 시기에는 '붉은 베딩'이라 할 정도로 독일공산당의 세력이 강했다. 이런 분위기에서 자란 것이 동독 슈타지 총수인 에리히 밀케였는데 서베를린으로 넘어갔다.

중심가는 레오폴트플라츠. 주요 키츠는 다음과 같다.

4.6. 게준트브루넨(Gesundbrunnen)

옛 서베를린이었다. 베를린에서도 손꼽히는 교통 거점인 게준트브루넨역오슬로어 슈트라세역이 이곳에 속한다.

5. 주요 랜드마크

6. 여담



[1] 출처[2] 북한 대사관도 있다.[3] 베를린 전투로 크게 파괴된 것을 동독 당국이 철거하여 그 자리에 공화국 궁전을 세웠으나 통일 이후 공화국 궁전을 철거한 후 베를린 궁을 재건하여 훔볼트 포룸(Humboldt Forum)이라는 민속 박물관으로 사용중이다.[4] Arminiusmarkthalle라고도 부른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