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7:58:29

명십삼릉

명13릉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221e1f,#fff>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 화이트.svg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명현릉
(明顯陵)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명십삼릉
(明十三陵)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명효릉
(明孝陵)
명공신묘(明功臣墓)
상우춘묘·구성묘·오량묘·오정묘·서달묘·이문충묘
청동릉
(清東陵)
<colbgcolor=#fff,#191919><colcolor=#373a3c,#ddd> 청서릉
(清西陵)
영릉
(永陵)
복릉
(福陵)
소릉
(昭陵)
}}}}}}}}}

{{{#!wiki style="margin:-5px -10px -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000>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흰 배경).svg 유네스코 세계유산
UNESCO World Heritage
<colbgcolor=#000><colcolor=#FFF> 이름 한국어 명과 청 시대의 황릉
중국어 明清皇家陵寝
영어 Imperial Tombs of the Ming and Qing Dynasties
프랑스어 Tombes impériales des dynasties Ming et Qing
국가·위치
[[중국|]][[틀:국기|]][[틀:국기|]] 베이징시 창핑구
등재유형 문화유산
지정번호 1004
등재연도 2000년
등재기준 (ⅰ)[1], (ⅱ)[2], (ⅲ)[3], (ⅳ)[4], (ⅵ)[5] }}}

파일:MingThirteenTombs.jpg
파일:명 13릉 분포도.jpg


[clearfix]

1. 개요

창핑에 있는 명나라 무덤들은 인간의 손으로 만든
가장 크고 호화로운 왕실 무덤이 분명하다.


얀 야콥 마리아 드 그루트 [6]
베이징에서 북서쪽으로 약 45 km 떨어진 창핑구 스산링진 천수산 기슭 40 km² 분지에 위치한 무덤군을 말한다. 역대 명나라 황제 16명 중 13명이 여기에 묻혔는데, 중국에서 황릉이 가장 많이 모였으면서 규모도 제일 크다.

역대 명나라 황제 중 13명의 능이 여기 있다고 하여 명십삼릉(明十三陵)[7]이라고 부른다.

2. 목록

명십삼릉에 묻히지 않은 황제는 홍무제, 건문제, 경태제 등 세 명이 있다. 초대 황제 홍무제는 당시 명나라의 수도였던 난징 효릉(孝陵)에 묻혔고, 2대 황제 건문제정난의 변으로 실종되어 능을 조성하지 못했다. 7대 황제 경태제탈문의 변으로 폐위되어 친왕 신분으로 격하되었기 때문에 북경 서산 인근에 별도로 매장되었고 묘호조차 받지 못해 명십삼릉으로 인정되지 않는다. 현재 중국에서는 장릉(영락제), 소릉(융경제), 정릉(만력제)만 일반에 공개한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홍무제 건문제 영락제 홍희제
<rowcolor=#6700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6대 복위
선덕제 정통제 경태제 천순제
<rowcolor=#670000> 제8대 제9대 제10대 제11대
성화제 홍치제 정덕제 가정제
<rowcolor=#670000> 제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융경제 만력제 태창제 천계제
제16대
숭정제
남명(南明)
<rowcolor=#670000> 초대 제2대 제3대
홍광제 융무제 영력제
}}}}}}}}}

2.1. 장릉(영락제)

長陵. 제3대 황제 성조 영락제의 능. 명십삼릉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다.

중국에서는 첫 황제의 무덤을 조성하면 그 무덤보다 더 크게 지을 수 없었기 때문에 장릉보다 더 큰 능을 만드는 것은 허락되지 않았다고 한다. 장릉의 전각인 능은전(裬恩殿)은 자금성의 태화전에 맞먹는 규모이며, 태화전과 함께 중국 최대의 목조 건축이다. 부실했던 만력제의 정릉 발굴을 교훈삼아서인지 현재도 장릉 발굴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2.2. 헌릉(홍희제)

獻陵. 제4대 황제 인종 홍희제의 능.

2.3. 경릉(선덕제)

景陵. 제5대 황제 선종 선덕제의 능.

2.4. 유릉(정통제)

裕陵. 제6대 황제 영종 정통제의 능.

2.5. 무릉(성화제)

茂陵. 제8대 황제 헌종 성화제의 능.

2.6. 태릉(홍치제)

泰陵. 제9대 황제 효종 홍치제의 능.

2.7. 강릉(정덕제)

康陵. 제10대 황제 무종 정덕제의 능.

2.8. 영릉(가정제)

永陵. 제11대 황제 세종 가정제의 능.

2.9. 소릉(융경제)

昭陵. 제12대 황제 목종 융경제의 능.

2.10. 정릉(만력제)

定陵. 제13대 황제 신종 만력제의 능. 공개되는 능 세 곳 중에서 유일하게 발굴되어 지하궁전까지 공개한다. 관이 안치된 방까지 천장이 둥근 석실들로 이어졌는데 문과 벽은 흰 대리석이다. 석판들이 단단히 맞춰져 실내는 250년이 지난 지금도 완전히 건조된 상태이다. 무덤의 내용물은 대부분 현재 고궁박물원에 소장되었다. 만력제가 한국에서 유명하기 때문인지 한국 관광객들이 많이 찾는다고 한다.

발굴 당시 만력제의 유골이 발견되었으나 문화대혁명 때 홍위병들이 완전히 파괴해버렸다.

2.11. 경릉(태창제)

慶陵. 제14대 황제 광종 태창제의 능.

2.12. 덕릉(천계제)

德陵. 제15대 황제 희종 천계제의 능.

2.13. 사릉(숭정제)

思陵. 제16대 황제 의종 숭정제의 능. 이 시기의 명나라는 이미 망국의 길을 걷고 있었기에 숭정제의 무덤이 만들어지기 전에 이자성의 반란군에게 북경이 함락당하였고 숭정제는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후 북경에 입성한 이자성은 숭정제와 황후 주씨의 시신을 전 귀비의 무덤으로 쓰려고 한 묘역에 합장하였고 때문에 명십삼릉 중 규모가 가장 작고 부장품도 제대로 갖춰지지 않게 되었다. 나중에 들어선 청나라도 숭정제의 무덤을 새로 만들지 않고 그대로 두면서 사릉은 명십삼릉의 마지막 능이 되었다.

사실 숭정제의 무덤자리는 이미 정해져 있었지만 명나라가 멸망한 뒤 청나라 황제들이 안장되면서 청동릉이 되었다.

3. 관련문서



[1]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을 대표할 것[2] 오랜 세월에 걸쳐 또는 세계의 일정 문화권 내에서 건축이나 기술 발전, 기념물 제작, 도시 계획이나 조경 디자인에 있어 인간 가치의 중요한 교환을 반영할 것[3]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4] 인류 역사에 있어 중요 단계를 예증하는 건물, 건축이나 기술의 총체, 경관 유형의 대표적 사례일 것[5] 사건이나 실존하는 전통, 사상이나 신조, 보편적 중요성이 탁월한 예술 및 문학작품과 직접 또는 가시적으로 연관될 것 (다른 기준과 함께 적용 권장)[6] 네덜란드의 중국학자이자 종교 역사가로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다.[7] 중국어로는 밍스싼링(míng shí sān líng).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9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