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PT체조에서 유격 교관과 유격 조교들이 사용하는 스킬이자 똥군기. 소위 '반복구호'라고 한다. 꼭 PT체조가 아니더라도 횟수를 카운트하는 상황이고, 횟수를 세는 이들의 집중을 요하는 경우에는 곧잘 나오곤 한다. 한 명이라도 마지막 구호를 외칠 경우 전체에 대해 벌칙이 가해지거나 횟수가 알음알음 늘어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때문에 마지막 구호를 외친 사람은 눈치를 보거나 위축되는 경우가 많다.2. 조교의 꼼수
악랄한 조교는 횟수 자체를 속이면서 사람을 굴린다. 예를 들어...유격 교관 : PT체조 6번 20회! 몇 회?
훈련병들 : 20회!
유격 교관 : 목소리 봐라! 40회!! 몇 회?
훈련병들 : (악을 쓰며)40회!!!
유격 교관 : (작은 목소리로)30회. (큰 목소리로)시작!!
훈련병들 : 20회!
유격 교관 : 목소리 봐라! 40회!! 몇 회?
훈련병들 : (악을 쓰며)40회!!!
유격 교관 : (작은 목소리로)30회. (큰 목소리로)시작!!
그러면 뒷줄 사람은, 40회인줄 알고 30을 크게 외친다.
또는 시작할 때...
유격 교관: (큰 목소리로)마지막 구호는 우렁차게/원기 왕성하게 (작은 목소리로) 생략한다.
라고 하면 역시 잘 걸려든다.
이런 사태를 방지하려면, 제일 앞줄에 있는 사람들이 횟수를 잘 들어두었다가 마지막 구호 횟수 직전에서 목소리를 크게 외쳐야 한다[1]. 그러면 뒷줄에서도 '아 이제 다 됐구나!' 하고 감을 잡는다. 그러나 유격 조교들도 머리를 많이 쓴다. 마지막 구호 직전 "목소리 크게 냅니다!!"라고 속이거나, 아예 조교가 올빼미들 사이에서 외칠 때도 있다. 아니면 오와 열을 맞추라던가... 그리고 이 경우는 머리 쓴다기보다는 그냥 찍어누르는 경우인데, 정말로 아무도 소리를 안 냈는데 누가 소리 냈답시고 그냥 다시 굴리는 경우도 있다. 또는 목소리가 작다거나 오와 열이 안 맞다는 이유로 다시 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조교가 작정한 경우하면 어떠한 대처를 생각하든 무조건 당한다.
2.1. 원인
조교와 교관들로 사디즘 있는 사람만 모아 놔서는 아니고, PT체조 자체에 할당된 시간이 있기 때문이다. 보통은 2시간 정도인데 이 동안은 어떻게든 억지를 부려서 PT체조만 시켜야 한다.[2] 신나게 구르고 있는 당사자들은 잘 모를 수 있는데, 뒤에서 보면 조교나 간부들이 일부러 구호를 외칠 때도 있다.[3][4] 결국 어차피 할당된 시간을 굴러야 끝난다. 그래서 특전부대의 경우는 전원 직업군인이기에 그냥 시간 정해주고 인터벌 없이 계속 굴린다고 한다.2.2. 심리적 효과
자신은 절대로 안 걸린다고 생각해서 마지막 구호를 힘차게 외치는 인간을 역적으로 생각할 때가 많다. 실상은 교관 및 조교에게 있어서 할당된 훈련 시간을 채우기 위한 악질적인 속임수를 걸어둔거지만, 사람의 심리상 희망고문에 더 취약하기 때문에 훈련생들은 당장 고통을 주는 교관에게 원망이 집중되는게 아닌 구호를 외치는 훈련생에게 전가된다는 점으로 교관의 심적 부담을 덜 수 있어서 애용된다. 동시에 단순한 작업을 반복하면 정신이 살짝 빠지기 때문에[5] 정신줄을 놓고 단순히 반복한 나머지 고통을 덜 받으려는 정신을 없애는 게 진짜 이유다. 무조건 나쁘게만 볼 수는 없는 게, 정신줄을 놓고 훈련받다가 큰 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이다.설령 자신이 안 걸려도 훈련받는 병의 숫자가 문제다. 한 사람이 어쩌다 정신줄을 놓고 마지막 구호를 외칠 확률을 1%라고 가정해도, 이게 10명이 되면 9.5%, 30명이 되면 26%, 100명이 되면 63.3%[6]가 된다. 게다가 100명이서 유격체조를 1번부터 14번까지 한 번씩 총 14번 할 때 한 번도 마지막 구호가 나오지 않을 확률은 약 129만 대 1[7]이다. 이 때문에 이게 반복되면 결국 누군가는 마지막 구호를 잘못 외친다. 결국 자신은 고통을 피하려고 기를 쓰고 그렇게 해서 마지막 구호를 안 외쳐도, 다른 누군가가 구호를 외쳐서 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 일이 생기면 노력이 헛수고가 되어 아예 정신줄 놓아버리고 싶은 충동이 일어난다. 그렇기에 교관 입장에서는 단체로 정신이 나갈 법한 적절한 타이밍에 중단시켜 회복할 시간을 주고 다른 훈련을 대비하는 방향으로 유도하는 목표가 있다.
결국 교관 입장에서는 어떻게든 정해진 시간을 채워야하고 그렇다고 몸이 풀어지지 않는 처음부터 체력적으로 무리한 목표를 제시할 수도 없으니 훈련생에게 버틸만한 강도로 체력을 조절한 뒤에 본격적으로 남은 시간을 할애하는 방법인 셈이다.[8] 결국 이를 모르는 훈련생은 처음 교관이 제시한 시간에 끝낼수 있는 착각에 빠져서 열심히 하게 되는 것이다.
3. 배리에이션
마지막 구호만 생략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특정한 수에 해당하는 구호는 전부 생략하는 악랄한 규칙도 존재한다. 물론 마지막 구호도 덤으로 생략해야 하는 것은 기본. 3의 배수나 4의 배수 생략이 대표적인 예. 이 경우 첫 배수에서부터 우렁찬 구호가 들리는 경우가 대다수. 소수 생략[9]이라는 미친 난이도의 요구를 하는 교관도 있었다는 증언이 존재한다.일부 악질적인 간부는 일부러 엿먹으라고 마지막 구호를 악을 써가며 지른다. 말년 중대장이 곧 있으면 집에 가는데 유격 끌려왔다고 PT 횟수가 200번이 될 때까지 마지막 구호를 질러 대는 통에 살인충동이 일었다고 한다. 짬 좀 먹은 간부는 대대장 정도 되는 상관이 없다면 PT하다가 그냥 뒤로 빠지고 만다.
아주 드물긴 하지만, 반대로 마지막 구호만 외치게 하는 케이스도 있다. 그런데 이런 경우는 한명정도 까먹고 안 외쳐도 눈치채기 쉽지 않으니 별로 유용하지는 않다.
아예 구호를 외치지 않게 하는 케이스도 있는데, 이때는 그냥 머릿속으로 숫자 세다가 마지막때 알아서 멈춰야 한다...
현실에서는 보기 힘들겠지만 푸른거탑에서는 마지막 구호는 생략이라고 했더니 정말 마지막 구호를 "생략"이라고 외친 고문관이 등장한다.
4. 페이크
그냥 립싱크를 구사하는 방법도 존재한다. 이 경우 적어도 마지막 구호를 외칠 걱정이 사라진다. 하지만 조교가 가까이 있으면 들통날 수 있다. 게다가 다들 생각하는 게 비슷해서, 많은 인원이 립싱크를 구사하면 바로 들통나고 구른다.다만 실수로 몇회인지를 듣지 못했고, 자신의 눈치 스킬도 시원치 않다면 립싱크는 진지하게 고려할 가치가 있다. 정 걸리는 게 걱정된다면 5의 배수(5, 10, 15, 20......)에서만 립싱크를 시도해보자. 어지간한 횟수는 5의 배수이므로 이것만으로도 큰 효과가 있다.
5. 결론
결국 무조건 구른다는 결론이 나오며 애초에 이 스킬을 사용하는 목적 자체가 PT체조에 할당한 시간을 모두 소모하는 것이기 때문에 마지막 구호가 나오지 않더라도 무조건 구른다. 어차피 이런 훈련에서는 교관과 조교들이 굴리려고 마음 먹은 이상 뭘해도 결국 구르게 된다. 그러니 계속 한다고 해도 실수한 동료를 원망해봤자 아무런 의미가 없다. 애초에 끝내줄 시간이 됐으면 반복구호가 나오더라도 못 들은 척 끝내준다. 정작 똥군기인 거 뻔히 알면서도 계속 시키는 조교는 실수한 사람을 총알받이로 써서 원망을 피할 수 있기 때문에 조교들이 매우 좋아하는 스킬이다. 실제로 똑같은 PT 할당 시간 동안 조교가 정직하게 PT를 계속 시키면 다들 조교를 향해 눈살을 찌푸리지만 마지막 구호 생략 스킬을 쓰면 다들 서로를 향해 눈살을 찌푸리게 된다.마지막 구호가 나올 때 훈련병들은 불만을 표출하는 경우가 많다. 이것을 빌미로 잡아 군기훈련을 주기도 한다.
더 많은 악랄한 용례는 유격 훈련 문서 참조.
6. 기타
초등학교나 중학교, 고등학교에서 체육교사가 시전하는 일도 많다[10]. 보통은 PT체조 중 가장 부담이 덜한 6번 동작 "발벌려 뛰기"가 사용되며,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마지막 구호를 무심코 잘못 외치면 재시작이다. 체육교사들도 군 시절 위와 같은 사례를 여러 번 겪어 '원래 PT체조의 마지막 구호는 외치지 않나 보다.'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물론 이에 따른 패널티는 단순히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는 것이며, 할수록 수가 줄어든다. 학생을 상대로 군대식 얼차려를 시킬 수는 없으니까.[11] 당연하지만 교사는 한 번에 40분(초등학교)/45분(중학교)/50분(고등학교)이 주어진 수업 시간 안에 진도를 나가야 하는데 하루종일 체조만 시킬 수 없다. 군대와는 달리 체육시간은 수업이 일찍 끝나면 공 하나 던져주면 알아서 잘 노니.말만 마지막 구호 생략이라고 하는 경우도 많다. 시켜만 놓고 본인은 수업 도구를 챙기러 창고에 들어간다거나, 이런 케이스는 습관적으로 하는 거니 외치든 안 외치든 패널티 그런 건 없다. 안 보는 사이 학생들이 적게 하고 적당히 줄 맞춰 서 있으면 다 했겠거니 하고 넘어가는 경우도 많다. 아니면 본인은 준비물 챙기러 가고 반장한테 대신 맡기는 경우도 있다. 물론 반장이 만사를 귀찮아하는 성격이라거나 체육 자체를 싫어한다거나 약골 혹은 운동치라거나 하면 5회까지도 줄여진다. 교사 본인은 교무실에서 반장에게 시켜놓으라고 말만 해두고 곧장 체육창고로 직행해 침묵의 카르텔이 형성되면 집합만 한 상태에서 다 했다고 사기치기도 한다.(...)
문재인 전 대통령조차도 군시절에 이것을 시전한 적이 있다.(...) |
[1] 근데 목소리가 이렇게 큰데 왜 처음에는 작게 했냐거나 오와열이 안맞다면서 다시 굴릴 수 있다.[2] 물론 그럴 리는 없겠지만, 훈련에 불만을 가진 훈련병이 작정하고 훈련에 지장이 올 때까지 마지막 구호를 외치면 다른 훈련으로 넘어가야 한다.[3] 실제로 이것 때문에 훈련을 받는 올빼미가 참다 못해 조교를 폭행하는 사고도 종종 일어난다.[4] 신병 시즌 2에서 이러한 경우를 충실히 반영했는데, 이를 빌미로 다시 교육생들에게 얼차려를 부여한다. 그리고 조교와 교관이 눈을 맞추면서 썩소를 짓는 장면이 일품.[5] 정신줄 붙들면 훨씬 괴롭다.[6] [math(1-(1-\frac{1}{100})^{100})][7] 로또 2등 당첨될 확률과 비슷하다.[8] 이를 순화한 게 바로 헬스장에서 pt를 받는 수강생에게 트레이너가 하는 방법이다.[9] 소수 생략이라는 말보다는 2, 3, 5, 7의 배수 생략(이때 2, 3, 5, 7은 소수지만 ×1하면 배수이므로 생략해야 한다)이라는 말을 많이 들을 것이다.[10] 그 외에도 태권도, 합기도 관장이 하는 경우도 있고, 수련회나 수학여행에서 교관들이나 학생부장, 학년부장교사, 체육교사가 시키기도 한다.[11] 물론 옛날의 태권도장 같은 곳은 군대식 얼차려 급의 악명높은 체벌도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