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3 06:34:04

마여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55453A, #6A5445 20%, #6A5445 80%, #55453A);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A5445> 부여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모수왕 부루왕 금와왕 대소왕
<rowcolor=#6A5445> 해두국 갈사국
말대 초대 제2대 제3대
해두왕 갈사왕 1세 갈사왕 2세 도두왕
<rowcolor=#6A5445> 중국사서
초대 시조 계보 미상 칭왕 초대
영품리왕 동명왕 부여왕
계보 미상 초대 제2대 제3대
시왕 부태왕 위구태왕
제4대 제5대 제6대 제7대
간위거왕 마여왕 의려왕 의라왕
제8대 제9대 계보 미상 말대
현왕 울왕 잔왕
<rowcolor=#6A5445> 졸본부여
말대 말대
연타발 추모성왕
<rowcolor=#6A5445> 남부여 문헌상 언급 두막루
초대 왕족 수령
성왕 구태 | 우태 | 위거 낙개제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삼국시대 이전
<rowcolor=#FFD400> 단군조선 위만조선 진국 삼한연맹
단군 역대 군주 진왕
예맥
<rowcolor=#fbe673> 부여 예맥족장 최씨낙랑국 비류국
역대 군주 남려 최리 송양
<rowcolor=#fbe673> 고리국 졸본부여 비류백제 온조백제
영품리 추모 비류 온조
마한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대
준왕 마한왕 2세 마한왕 3세 마한왕
진한
<rowcolor=#fbe673> 실직국 감문국 골벌국 음즙벌국
안일왕 금효왕 아음부 타추간
진한 변한 탐라
<rowcolor=#fbe673> 사로국 금관국 반파국 탐라국
거서간 김수로 이진아시 역대 군주
}}}}}}}}}}}}
부여 제5대 군주
麻余王 | 마여왕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출생 연대 미상
부여
사망 연대 미상
부여
능묘 미상
재위기간 제5대 군주
240년대 전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6A5445><colcolor=#fbe673> 성씨 해(解)
마여(麻余)
부왕 간위거왕
자녀 해의려
왕호 마여왕(麻余王) }}}}}}}}}

1. 개요2. 의문점3. 기타

[clearfix]

1. 개요

부여의 군주. 간위거왕의 아들. 서자였으나 간위거왕이 적자를 얻지 못했기 때문에 왕위에 올랐다. 모후는 간위거왕의 후궁으로 추정된다. 마여왕이 죽고 그의 아들 의려왕이 6세에 즉위한 것을 보면 후사를 늦게 얻었거나 요절했을 가능성이 크다.

유일하게 부여 내정에 대한 기록이 남아있는 군주인데, 마여왕 시기 대사(大使) 벼슬의 위거(位居)가 국정을 주도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2. 의문점

박대재 교수는 부여의 왕권과 왕위계승(2008)에서 《태평어람》에 인용된 《삼국지》 위지를 근거[1]로 3세기 부여의 왕위 계승을 간위거 - 마여 - 위거 - 마여로 주장했다. 이에 따르면 고작 대사 벼슬인 위거(位居)가 제가(諸加) 이상의 권력을 남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태평어람에 인용된 위지에서 위거는 으로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왕위 정당성이 약한 마여왕을 일시적으로 폐위시키고 왕으로 등극한 것이 아니냐는 설. 다만 어디까지나 설이고 삼국지 부여전의 연도서술이 뒤죽박죽인 점도 있어서 단정짓기 어렵다.

3. 기타

드라마 근초고왕(드라마)에서 위비랑(정웅인 역)과 위홍란(이세은 역)이라는 가상 인물 설정에서 동부여의 재건을 꿈꾸는 마여왕의 후손으로 잠깐 언급된다.


[1] 遣玄菟太守王頎詣 夫餘王位居遣大加郊迎. 실제 삼국지에서는 王 부분이 빠져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