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07 00:32:05

마리피에르 쾨니그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육군 막심 베이강 (파일:Frc_V.png) · 모리스 가믈랭(POW) · 앙리 지로(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샤를 욍치제(파일:Frc_V.png) · 필리프 르클레르(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장 드라트르 드타시니(파일:Frc_V.png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마리피에르 쾨니그(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르네 프리우(파일:Frc_V.png) · 조르주 카트루(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가스통 빌로트 · 르네 올리(파일:Frc_V.png) · 조르주 블랑샤르(파일:Frc_V.png) · 알퐁스 조르주(파일:Frc_V.png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알퐁스 쥐앵(파일:Frc_V.png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샤를 샹송(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라울 마그랭베르느레(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앙투안 베투아르(파일:Frc_V.png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에드가르 드 라르미나(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샤를 드골(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해군 프랑수아 다를랑(파일:Frc_V.png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에밀 뮈즐리에(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 장마리 아브리알(파일:Frc_V.png)
로베르 조자르(파일:자유 프랑스 국장.svg)
공군 조제프 비유맹
※ 문서가 있는 경우만 표시. 계급은 2차 대전 종전 당시 계급
※ 괄호 : 프랑스 제3공화국 항복 이후의 소속
}}}}}}}}}
<colbgcolor=#002395><colcolor=#fff> 프랑스 제4공화국 11, 14대 군무장관
마리피에르 쾨니그
Marie-Pierre Kœnig
파일:1000096955.jpg
본명 마리 조제프 피에르 프랑수아 쾨니그
Marie Joseph Pierre François Kœnig
출생 1898년 10월 10일
프랑스 제3공화국
사망 1970년 9월 2일 (향년 71세)
프랑스 뇌이쉬르센
학력 리세 고등학교 (졸업)
군사 경력
복무 기간 프랑스 육군
1917년 ~ 1951년
최종 계급 원수
주요 참전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재임 기간 11대 군무장관
1954년 6월 19일 ~ 1954년 8월 14일
14대 군무장관
1955년 2월 23일 ~ 1955년 10월 6일

1. 개요2. 생애

1. 개요

프랑스의 군인.

2. 생애

캉에서 알자스 출신 부부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917년 육군에 입대해 서부전선에서 전투를 치렀으며 전쟁 종료직전 중위로 진급했다. 전간기간 마라케시에 있는모로코 사령부 참모, 카메룬에서 복무했다.

1930년대 후반 프랑스 식민지군 제13식민지여단에서 라울 마그랭베르느레 중령 휘하에 있다가 프랑스로 귀국 후 노르웨이 전역에서 독일군과 전투를 치렀다. 이후 영국으로 탈출하는데 성공해 샤를 드골의 자유프랑스군 소속이 되었다. 대령으로 파격 진급했고 자유프랑스군 제1사단 참모장이 되었다.

시리아, 레바논 전역을 치르고 준장으로 진급했으며 제1자유프랑스여단장으로 이집트로 이동해 북아프리카 전역 비르하케임 전투에서 16일간 추축군과 전투를 치렀다.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의 유럽최고사령부 프랑스 대표로 있었고 프랑스 국내군 지휘관으로 임명되어 레지스탕스에게 작전지시, 물자지원을 담당했다. 노르망디 상륙 작전 당시 미 제7군과 함께 상륙했다.

파리 탈환 후 군정사령관으로 필리프 페탱을 체포했고 전후 독일, 북아프리카에서 복무하다가 1951년 대장으로 예편했다. 전후 정치에 뛰어들었으며 군무장관을 역임했다. 중동전쟁이 발발하자 이스라엘을 지지하는 발언을 했다. 1970년 사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