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6:08:27

마름모육팔면체

아르키메데스 다면체
Archimedean Solid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준정다면체 반정다면체
육팔면체 깎은 정사면체 깎은 육팔면체 마름모육팔면체 다듬은 육팔면체
십이이십면체 깎은 정육면체 깎은 십이이십면체 마름모십이이십면체 다듬은 십이이십면체
깎은 정팔면체
깎은 정십이면체
깎은 정이십면체
}}}}}}}}} ||

1. 개요2. 정보3. 현실에서의 예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Rhombicuboctahedron.gif
반정다면체 중 하나인 마름모육팔면체의 모습.

1. 개요

마름모六八面體, Rhombicuboctahedron[1]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2-A5-P3.gif
한 꼭지점에 정삼각형 한 개와 정사각형 세 개를 배치해 만든 반정다면체. 위 그림과 같이 정육면체의 각 모서리들을 정사각형으로, 각 꼭지점들을 정삼각형으로 대체하거나, 정팔면체의 각 모서리들과 꼭지점들을 정사각형으로 대체하여 만들 수 있다. 이 과정이 마치 다면체를 부풀리는 것 같다고 하여(expansion) 부풀린 정육면체/정팔면체라고도 불린다.

2. 정보

단위/특성개수비고
슐레플리 기호 rr{3,4} 또는 rr{3,4}[2][주의사항]
t0,2{3,4} 또는 t0,2{4,3}[4]
꼭지점 형태 3.4.4.4[5]
꼭지점(vertex, 0차원)24
모서리(edge), 1차원)48
면(face, 2차원)26정삼각형×8, 정사각형×18
쌍대 연꼴이십사면체
포함 관계[6]
또는 다른 이름[7]
늘린 맞붙인 두 사각지붕(Elongated square orthobicupola)[8]
[9]
한 변의 길이가 [math(a)]인 마름모육팔면체가 있을 때

외접구의 반지름 = [math(\displaystyle\frac{\sqrt{5+2\sqrt{2}}}{2}a)]
겉넓이(surface area) = [math((18+2\sqrt3)a^2)]
부피(volume) = [math(\displaystyle\frac{2}{3}(6+5\sqrt{2})a^3)]

3. 현실에서의 예시


[1] 복수는 rhombicuboctahedra[2] r은 절반 지점까지 깎은 상태를 의미한다. rr{3,4}와 rr{4,3}은 정팔면체나 정육면체를 모서리 절반 지점까지 깎아 육팔면체를 만들고 다시 꼭지점을 깎아내어 마름모육팔면체형으로 만든다는 의미이다.[주의사항] 실제로는 아무리 육팔면체를 잘 깎아도 깎은 면이 정다각형으로 나오지 않는다. 육팔면체의 꼭지점 형태는 3.4.3.4로, 다각형들이 서로 같지 않기 때문에 단면이 정사각형이 아닌 인접한 두 변의 길이의 비가 1:√2인 직사각형이 나온다[4] t0,2는 부풀리기(expansion)을 의미한다.[5] 한 꼭지점에 정삼각형-정사각형-정사각형-정사각형 순서대로 모인다는 뜻. 나머지는 모두 같은 정사각형들이고, 정삼각형은 1개밖에 없으므로 다르게 배열해도 똑같다.[6] 반드시 이 다면체를 지칭하지는 않으며, 해당 이름이 비슷하게 생긴 고르지 않은 다면체도 포함하는 경우[7] 반드시 이 도형과 닮거나 합동인 도형을 지칭하는 이름[8] 사각지붕(J7)은 마름모육팔면체를 정팔각형을 이루는 모서리들을 기준으로 잘랐을 때, 작은 조각과 같으며, 존슨 다면체이다.[9] 슐레플리 기호로 [math(r\begin{Bmatrix}3\\4\end{Bmatrix})]라고 쓰기도 한다.[10] 가끔 부처님오신날 등 연등행사가 있는 날에 이런 형태의 연등을 볼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