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2 07:36:51

마구간

마굿간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스테이블'''{{{#!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프로레슬링 용어}}}에 대한 내용은 [[스테이블(프로레슬링)]]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테이블(프로레슬링)#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스테이블(프로레슬링)#|]]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프로레슬링 용어: }}}[[스테이블(프로레슬링)]]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테이블(프로레슬링)#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스테이블(프로레슬링)#|]]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1. 개요2. 마굿간? 마구간?3. 특징
3.1. 고된 직장3.2. 종교
4. 매체에서의 마구간
4.1. 엘더스크롤 시리즈
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 Stable

을 기르는 곳.

를 기르는 외양간과 마찬가지로 현대에는 시골 지역을 제외하면 찾아보기 힘든 공간이기도 하다. 그래도 승마경마를 위해 말을 키우는 곳에서는 여전히 마구간을 두고 있다. 승마장이나 경마장에서는 마구간이란 표현보다 '마사'라는 표현을 주로 사용한다.

2. 마굿간? 마구간?

마굿간이 맞는가 마구간이 맞는가 헷갈리는 경우가 많은데 마구간이 옳다. 사이시옷합성어 가운데 순우리말일 때 들어가는데 마구간은 馬廏+間으로 한자 합성어이기 때문. 한자어는 곳간, 셋방, 찻간, 숫자, 툇간, 횟수를 제외하면 전부 ㅅ을 쓰지 않는다. 그렇기 때문에 예문이나 시험문제로 자주 나온다. 정확한 발음은 [마ː구깐]이다.

3. 특징

조선 시대의 요리책 음식디미방의 내용 중 채소를 겨울에도 신선하게 보관하는 법이 있는데, 이게 이곳을 활용하는 방법이다. 외양간도 아닌 마구간이니 일반인들은 섣불리 쓸 수 없는 방법이다.

3.1. 고된 직장

마구간 관리는 엄청나게 힘들고 위험한 일이다. 이란 생물은 문서에 나오듯이 워낙 섬세하고 겁이 많은 동물이며 체급이 사람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차이거나 들이받아도 사람이 크게 다친다. 말은 칼로리 소모가 매우 커서 엄청 먹는 데다 자체적인 배변 통제가 불가능하여 이나 온갖 배설물 처리도 꾸준히 해야하며 위생이나 청소 등에서도 신경쓸 게 많다. 일과 시간도 해 뜨기 전에 일어나서 일을 시작해야 하므로 생활 주기가 일반인과 달라지는 고충도 있다.

경주마 마구간을 관리하는 마필관리사(구무원)는 더더욱 극한직업이다. 실제로 극한직업에서 이에 대해 소개한 적이 있다. 관리 대상인 서러브레드 경주마는 대개 성질이 굉장히 까다로운 데다가 개체마다 성격 차이까지 있기 때문에 개별적인 맞춤 관리를 해줘야 하고 경주마가 힘든 조교(훈련)를 마치고 돌아올 때는 또 어르고 달래줘야 하기 때문에 육체 노동 뿐 아니라 정신 노동 측면에서도 중노동이다.

3.2. 종교

의외로 종교적으로 의미가 있다.

기독교에서 예수 그리스도가 태어난 곳으로 알려져 있다. 흔히 예수가 태어난 곳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성경에서 '마구간'에서 태어났다는 언급은 없기에 정확한 진위 여부는 알 수 없다. 예수의 일대기를 담은 복음서 중 탄생 직후의 아기예수를 어디에 눕혔는지 세부적으로 언급한 대목은 루카의 복음서에만 나온다.[1] 다만 천으로 된 강보에 싸서 가축의 밥그릇인 구유에 뉘었다는 구절이 이 복음 2장 6~7절에 있는 것으로 보아[2] 구유는 통상적으로 마구간 안에 있는 물건이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예수가 마구간에서 태어났다고 해석하는 편이다.

이슬람에선 무함마드가 정식 모스크를 짓기 전에 주로 설교하던 장소였다. 고대 중동에서 가축이 없을 경우엔 임시로 지내기 괜찮은 곳이어서 그런 것으로 여겨진다.

4. 매체에서의 마구간

서양권에서는 주로 남녀가 몰래 만나서 사랑을 나누는 장소로 등장하기도 한다. 본래 야외가 아니긴 하지만 보통 야외로 취급한다. 한국 고전에서 등장하는 공간과 비교하자면 서낭당과 물레방앗간 정도로 예를 들 수 있다.

판타지 작품(주로 소설)이나 중세 유럽 등을 배경으로 한 모험물에서는 집이나 숙소를 구하지 못한 여행자/모험가가 임시로 하룻밤을 지내는 장소로도 활용한다. '마구간이라도 상관없으니 하루만 자고 가게 해주십시오.'라며 간청하는 식. 해당 여행자/모험가가 주인공이라면 어쩌다보니 신세지는 집이나 마을의 어떤 사건에 휘말리며, 빌런이라면 호의를 악용하는 클리셰가 나온다.

4.1. 엘더스크롤 시리즈

엘더스크롤 시리즈에서는 주로 도시의 외곽 지역에 마구간이 설치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마구간 건물이 생긴 건 오블리비언부터이며, 전작들에서는 말을 키우기 어려운 환경이라서 마구간 자체가 없거나 그냥 잡화점(...)에서 말을 구입하는 진풍경이 벌어지기도 했다.[3][4]

각 시리즈 별로 마구간지기에게 말을 살 수 있으며, 오블리비언에서는 도시별로 가격이 천차만별이라 최소 500~최대 5,000 골드 사이의 가격을 보여준다.[5] 스카이림에서는 어느 지역[6]이든 상관없이 1,000 골드를 주고 구매할 수 있다.[7] 온라인에서는 기본적인 말 세 종류를 마리당 42,700 골드라는 시리즈 사상 제일 비싼 가격으로 판매하며, 더 나은 외형이나 다양한 종류의 탈것[8]을 위해서는 크라운 상자 랜덤뽑기(과금)를 하거나 일일 엔데버(무과금)를 모아서 구입해야 한다.

5. 여담

6. 관련 문서


[1] 마태오의 복음서에도 아기예수의 탄생 부분이 서술되지만 루가의 복음서보다는 내용이 적고 간소하다. 마르코의 복음서요한의 복음서는 성인이 된 이후 예수의 행적을 다루고 있다.[2] 거기 있을 그 때에 해산할 날이 차서 첫 아들을 낳아 강보로 싸서 구유에 뉘었으니 이는 여관에 있을 곳이 없음이러라(개신교 성경) / 그들이 거기에 머무르는 동안 마리아는 해산 날이 되어 첫 아들을 낳았다. 그들은 아기를 포대기에 싸서 구유에 뉘었다. 여관에는 그들이 들어갈 자리가 없었던 것이다. (가톨릭 성경)[3] 아레나에서는 빠른 이동 시에만 말을 탄 모습의 이미지가 나오는 걸로 보아 이미 본인 소유의 말을 갖고 있었던 듯 하다.[4] 여담으로 대거폴에서는 스카이림 마냥 1,000 골드에 말 한 마리를 살 수 있었다.[5] 마갑 dlc가 활성화 되어 있을 경우 임페리얼 시티의 마구간에서 공짜로 한 마리를 얻을 수 있고, 이 외에는 메인 퀘스트를 진행하다 보면 웨이넌 수도원에서 공짜 말 한 마리를 얻을 수 있기도 하다.[6] 화이트런, 윈드헬름, 마르카스, 리프튼, 솔리튜드 5군데다. 이외의 도시에서는 마구간을 찾아볼 수 없다.[7] 또는 마구간지기나 관련 NPC와 친밀도가 높으면 공짜 말을 탈 수 있지만, 이는 플레이어의 소유가 아니기에 한번 타고 내리면 무조건 자신이 소속한 마구간으로 돌아가 버린다. 이 마구간에서는 아직 발견하지 못한 다른 도시로 갈 때 꽤 저렴한 비용으로 해당 도시로 여행할 수도 있어서 초반에 알아두면 유용하다.[8] 말 뿐만 아니라 개과 동물, 고양이과 맹수, 곰, 구아, 심지어는 닉스 옥스라는 거대한 벌레도 타고 다닐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