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9 00:08:40

루카 돈치치/선수 경력/2023-24 시즌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루카 돈치치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53bc><tablebgcolor=#0053bc> 파일:23-24 Luka Doncic Mavericks.png루카 돈치치
선수 경력
}}} ||
{{{#c5cfd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 ||



1. 개요2. 시즌 전3. 정규시즌4. 플레이오프

1. 개요

루카 돈치치의 2023-24 시즌 활약상을 모아놓은 문서이다.

문서 안의 날짜는 한국시간을 기준으로 명시한다.

2. 시즌 전

3. 정규시즌





4. 플레이오프

1라운드 상대는 LA 클리퍼스로, 1차전을 내줬으나 카와이 레너드의 부상 이슈로 팀 전체가 흔들리는 와중에 무릎 부상이라는 악재를 딛고 6경기 평균 29.8득점 8.8리바운드 9.5어시스트로 변함없는 활약을 보여주며 4대2로 2라운드 진출을 확정지었다.

2라운드 상대는 정규시즌 1위의 오클라호마시티 썬더. 돈치치 자체는 무릎에 피가 터질 정도로 부상이 악화되어 있을 시기라 24.7득점 10.5리바운드 8.7어시스트로 스탯만 본다면 평상시 보다 주춤했으나 카이리 어빙, P.J. 워싱턴 등 동료들의 도움에 힘입어 SGA만이 분전했던 오클라호마시티를 격파하고 2년만의 서부 컨퍼런스 파이널 진출에 성공했다.

컨퍼런스 파이널 상대는 우승후보이자 MVP 요키치가 버티던 덴버 너게츠를 격파하고 올라온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사전 예상으론 미네소타의 승리를 점치는 분석이 많았지만 원정에서 치른 1, 2경기 모두 승리를 가져오며 유리한 고지를 점하게 되었다. 특히 2차전 DPOY 고베어를 상대로 위닝 스텝백 3점슛을 적중시키는 장면은 그의 클러치 강심장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던 장면. 3경기에도 득점력은 여전했고 5개의 스틸까지 추가하여 라이블리가 경기에서 이탈하게되는 악재가 터졌음에도 그가 빠진 만큼 수비를 보여주며 공수겸장의 모습으로 어빙과 함께 도합 66득점(33+33)을 합작하며 3경기를 내리 가져오게 됐다. 어빙의 클로즈아웃 게임 14전 전승 기록이 있기때문에 승리의 무게추가 댈러스로 크게 기울게된 상황이며 역스윕도 한번도 나오지 않았기에 파이널로 갈 가능성이 매우 높아졌다. 다만 4차전은 어빙이 부진하면서 결국 미네소타에게 패했다. 그리고 5차전을 카이리 어빙과 사이좋게 36득점 활약, 가비지로 대승을 거두어, 서부 컨퍼런스 파이널 MVP을 수상함과 동시에 커리어 첫 파이널에 올라간다. 컨퍼런스 파이널 최종 성적은 5경기 평균 32.4득점(야투율 47.3% 3점 43.4% 자유투 84.6%) 9.6리바운드 8.2어시스트.

NBA 파이널에서 보스턴 셀틱스를 만나 분전하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본인의 분전이 승리로 이어지지 않고있다. 1차전에서는 많은 득점을 기록하긴 했지만 어빙과 다른 선수들이 부진하며 그러면서 득점은 많았지만 어시스트는 단 1개만 기록했으며 2차전에서는 트리플더블을 기록했지만 역시나 승리하지 못했다. 3차전에서는 카이리 어빙이 많은 득점을 올렸고 본인도 분전했지만 수비에서는 구멍이 되었고 막판에는 6반칙 퇴장을 당하며 팀의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었다.

파이널에서 돈치치는 보스턴이 본인에게 더블팀을 오지 않고 본인에게서 파생되는 공격을 억제하는 수비전술을 사용하면서 직접 볼운반, 플레이메이킹, 슈팅을 다 해야되는 상황에 노출되었고 특히 어빙까지 부진했던 1,2차전에 이 모습이 더 두드러졌다. 그러면서 댈러스는 돈치치 원맨팀이 되었지만 승리는 하지 못하고 있다.

거기에 체력 문제까지 노출되고 있는데 파이널까지 오면서 누적된 부상과 피로에다가 보스턴의 크고 힘 쎈 선수들을 상대로 북치고 장구치고 다 해야되는데 수비에서는 브라운을 위시한 보스턴 선수들이 수비는 비교적 좋지 않은 돈치치를 헌팅하면서 수비에서도 계속 상대를 맞닥드린다. 그러면서 점점 체력을 소모하게 되고 4쿼터가 되면 돈치치의 위력이 경기 초반에 비해 감소하고 수비에서의 약점이 더 노출되는 모습이 계속 나타나고 있다. [7][8] 결국 5차전에서 보스턴의 우승이 확정되며 돈치치는 자신의 첫 파이널 도전을 아쉽게 마쳐야 했다.

이번 플레이오프 돈치치는 무려 3군데의 부상을 달고 뛰면서도 경기당 41분을 소화했고, 득점, 어시, 리바, 스틸 4부문에서 모두 리더가 되는 기염을 토했다. 온오프코트 마진은 97점. 그야말로 영웅적이라고 할만한 활약이었다. 파이널 3차전에서 파울아웃을 당하기는 했지만 누구도 그에게 손가락질을 하지는 못할 것이다. 다만, 이번 파이널은 돈치치에게 커다란 숙제도 안겨주었는데, 바로 수비다. 67.7%라는 BLOW-BY PCT는 절대로 용납될 수가 없는 수치다. 자동문 수비도 정도가 있지 이렇게 하나마나한 수비를 한다면 앞으로도 돈치치는 챔피언이 될 수 없다. 보스턴은 테이텀이든 브라운이든 즈루든 화이트든 돈치치가 앞에 보이면 닥치고 돌파를 시도했고, 돌파를 할 때마다 돈치치는 발이 멈춘 상태에서 손으로 어떻게든 볼을 긁어내려 하였다. 스틸 1위라는 것도 이렇게 따지고 보면 잘한 일이 아니다. 수비의 기본을 망각한채로 손질에만 의존하는 디펜스로는 우승을 노릴 수 없다. 그 와중에도 손질 하나로 스틸 1위를 달성하는 그 바스켓볼 센스는 인정해줄만 하지만. 역으로 말한다면 돈치치의 수비가 평균 정도로만 올라와줘도 댈러스는 다시 한번 대권을 노려볼만한 팀이 될 수 있다는 말이다. 돈치치의 내년 시즌이 더욱 기대가 되는 이유이기도 하다.

[1] 역대 24세 이하 구간 누적 트리플-더블 작성 순위는 다음과 같다.
1위 오스카 로버트슨(22세 데뷔) : 89회
2위 매직 존슨(20세 데뷔) : 59회
3위 루카 돈치치(19세 데뷔) : 56회
[2] 마이클 조던(2회), 알렉스 잉글리쉬, 샤킬 오닐, 찰스 바클리, 카멜로 앤서니[3] 1961-62 오스카 로버트슨, 2016-17 러셀 웨스트브룩.[4] True Shooting%[5] 이 뒤를 잇는 기록은 도노반 미첼, 데미안 릴라드의 71득점, 조엘 엠비드, 데빈 부커의 70득점으로 이어진다.[6] 정규 시즌 득점왕. 총 2,370득점[7] 물론, 그런 와중에도 농구력은 어마어마해서 동료들에게 찬스를 만들어주고 3차전에서는 22-2런에서도 더블팀을 응징하며 기회를 만들어주기도 했지만 결국 6반칙 퇴장을당하며 팀의 상승세에 찬물을 끼얹었다.[8] 3차전에서 보스턴의 돈치치 공략이 전술적 고점을 찍었는데 돈치치 개인의 폼은 시리즈 중 제일 좋은 편이었고 댈러스 선수의 지원도 파이널 시리즈 중에서는 가장 좋았지만 돈치치에게 수비에서는 NO 더블팀, 1on1 유도 및 공격에서는 돈치치 매치헌팅을 계속 가져가며 돈치치가 공수에서 높은 파울 위험도에 노출되어 있었고 플레이오프 기간 보스턴에서 가장 날카로운 공격 옵션이었던 제일런 브라운에게 여지없이 공략당하며 4쿼터 댈러스의 좋았던 흐름 속에서 6반칙 퇴장을 당하며 무너지게 되었다. 3차전 4쿼터가 보스턴이 파이널 시리즈에 들어서며 가장 선수들 플레이가 저점을 찍은 상황이었음을 감안하면 돈치치와 댈러스에게는 가장 뼈아픈 순간이며 반대로 보스턴에게는 선수의 개인 플레이는 제일런 브라운을 제외하면 최저점에 가까웠지만 팀의 전술이 고점을 찍으면서 시리즈 3:0 리드를 가져온 분기점이 된 순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