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14구 Wahlkreis 14: Rostock - Landkreis Rostock II | }}}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21,158명 (2025) | |||||
상위 주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
하위 행정구역 | ||||||
연방의원 | - | - |
1. 개요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의 최대도시 로스토크가 포함된 지역구이다.전통적으로는 지역구에서는 주로 사민당이 승리하고 비례대표에서는 기민련, 사민당, 좌파당이 팽팽하게 대결하는 지역구였다. 그러다가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AfD가 지역구와 비례대표 모두 1위를 차지했다. 하지만 제21대에 새로 도입된 선거법에 따라 지역구 1위 후보 슈테피 부어마이스터(AfD)는 비례대표 득표율이 충분치 못하여 당선되지 못하고 지역구는 공석이 된다. 세부 지역별로 살펴봐도 로스토크 시내와 시외 전부 포함해서 AfD가 승리했다.
제21대에 이 지역구는 좌파당이 지역구 당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다고 생각하는 한곳이었다. 그래서 시니어 정치인 3명, 즉 보도 라멜로 (에어푸르트·바이마르·바이마러란트 2구), 그레고르 기지(Gregor Gysi) (베를린 트렙토-쾨페니크구), 디트마어 바르치(Dietmar Bartsch) (로스토크·로스토크군 2구) 세명을 함께 당선시켜 달라는 이른바 질버로케(Silberlocke) 캠페인을 이곳에서 집중적으로 펼쳤다. 그 결과 다른 두개 선거구에서는 지역구 당선에 성공했지만, 이곳 로스토크에서는 AfD에게 1위를 내주고 만다. 그러나 바르치는 비례대표로 또한번 당선에 성공한다.
2. 역대 연방의원
- 크리스티네 루치가(Christine Lucyga) (사민당): 1990년 제12대부터 2002년 제15대까지 4선.
- 한스-요아힘 하커(Hans-Joachim Hacker) (사민당): 2005년 제16대 1선.
- 슈테펜 보크한(Steffen Bockhahn) (좌파당): 2009년 제17대 1선.
- 페터 슈타인(Peter Stein) (기민련): 2013년 제18대부터 2017년 제19대까지 2선.
- 카트린 차우(Katrin Zschau) (사민당): 2021년 제20대 1선.
- 공석: 2025년 제21대 1선.
3. 역대 선거 결과
3.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2구 | 13구 | 14구 | 15구 | 16구 |
라이프 에릭 홀름 | 크로스토프 그림 | - | 다리오 자이퍼트 | 엔리코 콤닝 | |
17구 | |||||
울리케 쉴케-치징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필립 암토어 | 지모네 보르하트 | 게오르크 귄터 | |||
비례 1 | |||||
클라우디아 뮐러 | |||||
비례 1 | 비례 2 | ||||
디트마 바르치 | 이나 라텐도르프 | ||||
비례 1 | 비례 2 | ||||
렘 알라발리-라도반 | 프랑크 융에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로스토크·로스토크군 2구 로스토크시 전체, 로스토크 군 일부[1.1]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슈테피 부어마이스터 | 47,598 | 26.8% | 1위 | 45,612 | 25.6% | 1위 |
| |||||||
| 디트마어 바르치 | 45,521 | 25.6% | 2위 | 30,739 | 17.3% | 2위 |
| 비례당선 | ||||||
| 미하엘 에버트 | 34,403 | 19.4% | 3위 | 29,907 | 16.8% | 3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카트린 차우 | 30,031 | 16.9% | 4위 | 25,383 | 14.3% | 4위 |
| |||||||
| 펠릭스 빈터 | 9,397 | 5.3% | 5위 | 15,933 | 9.0% | 6위 |
| |||||||
| 카이-우베 리히터 | 5,037 | 2.8% | 6위 | 6,057 | 3.4% | 7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 로거 슈미트 | 3,431 | 1.9% | 7위 | 1,505 | 0.8% | 10위 |
| |||||||
제레미 브렘 | 1,527 | 0.9% | 8위 | 548 | 0.3% | 11위 | |
''' 독일 연합 ''' | |||||||
기젤러 쉴케 | 620 | 0.3% | 9위 | 238 | 0.1% | 12위 | |
''' MLPD ''' | |||||||
- | - | - | - | 17,598 | 9.9% | 5위 | |
| |||||||
- | - | - | - | 2,783 | 1.6% | 8위 | |
''' 동물보호당 ''' | |||||||
- | - | - | - | 1,702 | 1.0% | 9위 | |
''' Volt ''' | |||||||
계 | 유효표 | 177,565 | 178,005 | ||||
무효표 | 1,534 | 1,094 | |||||
총 투표수 | 179,099 | 179,099 | |||||
투표율 | 81.0% | 81.0% | |||||
결과 | - | 획득 |
3.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2구 | 13구 | 14구 | 15구 | 16구 |
림 알라발리-라도반 | 프랑크 융에 | 카트린 차우 | 안나 카사우츠키 | 에릭 폰 말로트키 | |
17구 | |||||
요하네스 아를트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라이프-에릭 홀름 | 엔리코 콤닝 | 울리케 실케-치징 | 필립 암토어 | 디트리히 몬슈타트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
지모네 보르하트 | 하겐 라인홀트[1] | 크리스티안 바텔트 | |||
비례 9 | 비례 10 | 비례 11 | |||
클라우디아 뮐러 | 디트마 바치 | 이나 라텐도르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3년 의원직 사퇴. 크리스티안 바텔트가 의원직 승계
<rowcolor=#000> 로스토크·로스토크군 2구 로스토크시 전체, 로스토크 군 일부[1.1]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카트린 차우 | 43,932 | 27.0% | 1위 | 47,280 | 29.0% | 1위 |
| |||||||
| 디트마어 바르치 | 29,715 | 18.2% | 2위 | 21,491 | 13.2% | 3위 |
| 비례당선 | ||||||
| 페터 슈타인 | 27,672 | 17.0% | 3위 | 23,103 | 14.2% | 2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
| 토비아스 판토 | 19,882 | 12.2% | 4위 | 20,658 | 12.7% | 5위 |
| |||||||
| 안드레아스 테셰 | 16,556 | 10.2% | 5위 | 20,941 | 12.8% | 4위 |
| |||||||
| 하겐 라인홀트 | 12,242 | 7.5% | 6위 | 14,852 | 9.1% | 6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
주자네 크레프트 | 4,744 | 2.9% | 7위 | 3,488 | 2.1% | 8위 | |
''' dieBasis ''' | |||||||
제라피네 요언 | 4,476 | 2.7% | 8위 | 3,935 | 2.4% | 7위 | |
''' 동물보호당 ''' | |||||||
| 크리스티네 두버케 | 2,131 | 1.3% | 9위 | 1,871 | 1.1% | 10위 |
| |||||||
얀-페터 뤼만 | 1,304 | 0.8% | 10위 | 854 | 0.5s% | 11위 | |
| |||||||
에릭 둔스트 | 356 | 0.2% | 11위 | 152 | 0.1% | 17위 | |
''' MLPD ''' | |||||||
- | - | - | - | 2,036 | 1.2% | 9위 | |
| |||||||
- | - | - | - | 696 | 0.4% | 12위 | |
''' NPD ''' | |||||||
- | - | - | - | 501 | 0.3% | 13위 | |
''' Volt ''' | |||||||
- | - | - | - | 408 | 0.3% | 14위 | |
''' Todenhöfer ''' | |||||||
- | - | - | - | 290 | 0.2% | 15위 | |
''' Die Humanisten ''' | |||||||
- | - | - | - | 274 | 0.2% | 16위 | |
''' ÖDP ''' | |||||||
- | - | - | - | 147 | 0.1% | 18위 | |
''' DKP ''' | |||||||
계 | 유효표 | 163,010 | 162,977 | ||||
무효표 | 2,319 | 2,352 | |||||
총 투표수 | 165,329 | 165,329 | |||||
투표율 | 74.2% | 74.2% | |||||
결과 | 획득 | 획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