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bordercolor=#707070><tablebgcolor=#707070> | 선거구 제15구 Wahlkreis 15: Vorpommern-Rügen – Vorpommern-Greifswald I | }}} | |||
| ||||||
<colbgcolor=#707070><colcolor=#ffffff> 선거인 수 | 237,079명 (2025) | |||||
상위 주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
하위 행정구역 |
| |||||
연방의원 | | 다리오 자이퍼트 |
1. 개요
독일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주의 연방하원 선거구.현재 이 지역구 의원은 AfD 소속의 다리오 자이퍼트(Dario Seifert)다.
2. 상세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은 동독으로 편입되었다가 1990년 독일 재통일로 선거구가 신설되었다. 선거구 신설 이래 앙겔라 메르켈 총리가 2021년까지 선거구를 차지하였으며, 은퇴를 선언한 이후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 독일 사회민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에서는 AfD에게 지역구 의석이 넘어갔고, 비례대표 정당투표도 마찬가지로 AfD가 1위를 차지했다.
3. 역대 연방의원
4. 역대 선거 결과
4.1. 제21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2구 | 13구 | 14구 | 15구 | 16구 |
라이프 에릭 홀름 | 크로스토프 그림 | - | 다리오 자이퍼트 | 엔리코 콤닝 | |
17구 | |||||
울리케 쉴케-치징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
필립 암토어 | 지모네 보르하트 | 게오르크 귄터 | |||
비례 1 | |||||
클라우디아 뮐러 | |||||
비례 1 | 비례 2 | ||||
디트마 바르치 | 이나 라텐도르프 | ||||
비례 1 | 비례 2 | ||||
렘 알라발리-라도반 | 프랑크 융에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rowcolor=#000> 포어포메른·뤼겐-포어포메른·그라이프스발트 1구 포어포메른·뤼겐 일부, 포어포메른·그라이프스발트 일부 | |||||||
후보 | 지역구 | 비례대표 | |||||
정당 | 득표수 | 순위 | 득표율 | 득표수 | 득표율 | 순위 | |
| 다리오 자이퍼트 | 68,842 | 37.3% | 1위 | 65,647 | 35.5% | 1위 |
| |||||||
| 게오르크 귄터 | 39,235 | 21.2% | 2위 | 32,675 | 17.7% | 2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비례당선 | ||||||
| 안나 카사우츠키 | 26,883 | 14.6% | 3위 | 19,150 | 10.3% | 4위 |
| |||||||
| 헤니스 헤어프스트 | 24,635 | 13.3% | 4위 | 23,214 | 12.5% | 3위 |
| |||||||
| 클라우디아 뮐러 | 9,064 | 4.9% | 5위 | 11,466 | 6.2% | 6위 |
| 비례당선 | ||||||
로베르트 가벨 | 6,200 | 3.4% | 6위 | 3,844 | 2.1% | 8위 | |
''' 동물보호당 ''' | |||||||
| 홀거 루츠만 | 4,979 | 2.7% | 7위 | 2,130 | 1.2% | 9위 |
| |||||||
| 니클라스 바그너 | 4,814 | 2.6% | 8위 | 6,204 | 3.4% | 7위 |
| |||||||
- | - | - | - | 18,772 | 10.1% | 5위 | |
| |||||||
- | - | - | - | 1,372 | 0.7% | 10위 | |
''' Volt ''' | |||||||
- | - | - | - | 472 | 0.3% | 11위 | |
''' 독일 연합 ''' | |||||||
- | - | - | - | 134 | 0.1% | 12위 | |
''' MLPD ''' | |||||||
계 | 유효표 | 184,652 | 185,080 | ||||
무효표 | 1,784 | 1,356 | |||||
총 투표수 | 186,436 | 186,436 | |||||
투표율 | 78.6% | 78.6% | |||||
결과 | 획득 | 획득 |
4.2. 제20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12구 | 13구 | 14구 | 15구 | 16구 |
림 알라발리-라도반 | 프랑크 융에 | 카트린 차우 | 안나 카사우츠키 | 에릭 폰 말로트키 | |
17구 | |||||
요하네스 아를트 | |||||
비례 1 | 비례 2 | 비례 3 | 비례 4 | 비례 5 | |
라이프-에릭 홀름 | 엔리코 콤닝 | 울리케 실케-치징 | 필립 암토어 | 디트리히 몬슈타트 | |
비례 6 | 비례 7 | 비례 8 | |||
지모네 보르하트 | 하겐 라인홀트[1] | 크리스티안 바텔트 | |||
비례 9 | 비례 10 | 비례 11 | |||
클라우디아 뮐러 | 디트마 바치 | 이나 라텐도르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 니더작센 · 라인란트팔츠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 바덴뷔르템베르크 · 바이에른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 ||브란덴부르크 · 브레멘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 자를란트 · 작센 · 작센안할트 · 튀링겐 · 함부르크 · 헤센
[1] 2023년 의원직 사퇴. 크리스티안 바텔트가 의원직 승계
<rowcolor=#000> 포어포메른·뤼겐-포어포메른·그라이프스발트 1구 포어포메른·뤼겐 일부, 포어포메른·그라이프스발트 일부 | |||
후보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아나 카사우츠키 | 40,429 | 1위 |
| 24.3% | 당선 | |
| 게오르크 귄터 | 33,903 | 2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20.4% | 낙선 | |
| 레이프-에릭 홀름 | 33,025 | 3위 |
| 19.9% | 비례 | |
| 커스틴 카스너 | 22,767 | 4위 |
| 13.7% | 낙선 | |
| 클라우디아 뮐러 | 12,199 | 5위 |
| 7.3% | 비례 | |
| 제바스티안 아들러 | 11,005 | 6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6.6% | 낙선 | |
로버트 가벨 | 5,083 | 7위 | |
''' 동물보호당 ''' | 3.1% | 낙선 | |
쥘피오 슈멜러 | 2,805 | 8위 | |
''' 풀뿌리민주당 ''' | 1.7% | 낙선 | |
| 하이델린트 홀투젠 | 1,835 | 9위 |
| 1.1% | 낙선 | |
| 마르크 페터 피스토어 | 1,782 | 10위 |
''' 당 ''' | 1.1% | 낙선 | |
| 프리드리히 스뮈라 | 1,094 | 11위 |
| 0.7% | 낙선 | |
칼 하인츠 슐체 | 226 | 12위 | |
''' 마르크스-레닌주의 당 ''' | 0.1% | 낙선 | |
계 | 유효표 | 166,153 | 획득 |
무효표 | 2,769 | ||
총 투표수 | 168,922 | ||
투표율 | 70.1% |
4.3. 제19대 독일 연방의회 선거
<rowcolor=#000> 포어포메른·뤼겐-포어포메른·그라이프스발트 1구 포어포메른·뤼겐 일부, 포어포메른·그라이프스발트 일부 | |||
후보 | 득표수 | 순위 | |
정당 | 득표율 | 당락 | |
| 앙겔라 메르켈 | 73,746 | 1위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 44.0% | 당선 | |
| 레이프-에릭 홀름 | 32,173 | 2위 |
| 19.2% | 비례 | |
| 커스틴 카스너 | 26,650 | 3위 |
| 15.9% | 비례 | |
| 소냐 스테펜 | 19,515 | 4위 |
| 11.6% | 비례 | |
| 패트릭 마인하르트 | 5,229 | 5위 |
[[자유민주당(독일)| 자유민주당 ]] | 3.1% | 낙선 | |
| 클라우디아 뮐러 | 5,081 | 6위 |
| 3.0% | 비례 | |
로버트 가벨 | 2,161 | 7위 | |
''' 동물보호당 ''' | 1.3% | 낙선 | |
| 아르민 파겔 | 1,576 | 8위 |
| 0.9% | 낙선 | |
우도 파스퇴르스 | 976 | 9위 | |
''' 국가민주당 ''' | 0.6% | 낙선 | |
칼 하인츠 슐체 | 407 | 10위 | |
''' 마르크스-레닌주의 당 ''' | 0.2% | 낙선 | |
게오르크 차머-오스텐 | 148 | 11위 | |
| 0.1% | 낙선 | |
계 | 유효표 | 167,662 | {{{#!wiki style="display: inline; background-color: currentcolor;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font-size: .9em" 유지 |
무효표 | 1,866 | ||
총 투표수 | 169,528 | ||
투표율 | 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