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8 08:20:26

로봇 마스터즈


||<table align=center><width=700><table bordercolor=#C10F30><colcolor=#fff><table bgcolor=#C10F30><bgcolor=#000000,#000000> 파일:Transformers Logo.webp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60px; display:inline-block"; color:#fff"
{{{#!folding [ 제너레이션 1 세계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미국 스토리라인 일본 스토리라인
<colbgcolor=#ffffff,#191919> 트랜스포머(시즌 1~2)
(1983~1986)
극장판
시즌 3
(1986)
<colbgcolor=#ffffff,#191919> 스크램블 시티
(1986)
리버스(시즌 4)
(1987)
헤드마스터즈
(1987)
- 마스터포스
(1988)
트랜스포머 V
(1989~1993)

트랜스포머 존
비스트 워즈
(1996~1998)
비스트 머신즈
(1999~2000)
비스트 워즈 세컨드
(1998)
비스트 워 네오
(1999)
트랜스포머 카로봇
(2000)
로봇 마스터즈
(2004)
프라임 워즈
(2016~2018)
WFC
(2020~2022)
}}}}}}}}}
[ 유니크론 트릴로지 ]
||<-3><bgcolor=#ffffff,#191919><table width=100%><width=2000> 아마다 / 마이크론 전설
(2002)
||<width=33%><-2><bgcolor=#ffffff,#191919> 에너존 / 슈퍼 링크
(2004)
||<width=33%><bgcolor=#ffffff,#191919><-2> 사이버트론 / 갤럭시포스
(2005)
||
[ 얼라인드 세계관 ]
||<-6><bgcolor=#000><color=#C10F30><table width=100%><width=2000> 본편 ||
트랜스포머 프라임
(2010~2013)
트랜스포머 어드벤처
(2015~2017)
외전
트랜스포머 GO
(2013)
레스큐 봇
(2010~2016)
[ 기타 세계관 ]
||<colbgcolor=#ffffff,#191919><table width=100%><width=2000> 애니메이티드
(2007~2009)
||<-2><width=50%><bgcolor=#ffffff,#191919> Q 트랜스포머
(2015)
||<-2><width=50%><bgcolor=#ffffff,#191919> 사이버버스
(2018~2021)
||
어스스파크
(2022~)
봇봇
(2022)
사이버월드
(2025~)
와일드 킹
(2025~)
}}} ||


파일:300px-Logo2004_robotmasters.jpg


1. 개요2. 특징3. 줄거리4. 구성5. 단편 애니메이션 3D
5.1. 이상한점
6. 단편 만화7. 완구
7.1. 웨이브 17.2. 웨이브 27.3. 웨이브 37.4. 웨이브 47.5. 웨이브 57.6. 웨이브 67.7. 웨이브 77.8. 로봇 마스터즈 에디션7.9. 한정판
7.9.1. 덴게키 하비 매거진7.9.2. e-하비7.9.3. 피규어 Ō 매거진7.9.4. 하비 재팬 매거진7.9.5. 하이퍼 하비 매거진7.9.6. TV 매거진
8. 기타

1. 개요

파일:800px-Robots_masters.jpg

トランスフォーマー ロボットマスターズ / Robotmasters

로봇 마스터즈는 2004년 일본의 타카라에서 만든 트랜스포머 프랜차이즈이다. 기존에 나와있던 완구 모델들을 다시 손 봐 재출시한 것이다. 2003년 미국에서 나온 트랜스포머: 유니버스 프랜차이즈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1]

2. 특징

2004년부터 2005년까지 전개됬으며, 기존에 출시되었던 장난감들의 리데코 제품과, 인기 캐릭터들을 기반으로 한 몇 개의 완전 신금형 제품들로 구성되어 있다. 라인업에 포함된 모든 금형은 최소한 한 번 이상 리데코되었으며, 미국의 유니버스 라인의 일종의 자매 브랜드로서, 더 작은 완구을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기 위해 기획된 시리즈였다.

대부분의 리데코 제품은 새롭게 디자인되었거나 일부 개수된 액세서리를 포함하고 있으며, 고전풍의 크롬 실버 총기류도 일부 포함되었다.

완전히 새롭게 만들어진 금형들은 모두 기존의 인기 캐릭터를 기반으로 한 것이며, 옵티머스 프라임, 옵티머스 프라이멀, 메가트론, 스타스크림, 스타 세이버, 빅토리 레오, 라이오 컨보이 등이 해당된다. 이들은 TV 시리즈를 연상케 하는 새로운 플레이 기능이 반영되어 특별 대우를 받았다.

스토리라인은 동봉된 단편 만화, 온라인 단편 만화, 3D 디오라마 코믹스, 그리고 일부 완구에 포함된 DVD를 통해 전개되었다.

3. 줄거리

비스트 메가트론은 시간을 뛰어넘어 2004년으로 온 뒤, 메가트론이 사라진 데스트론을 장악한다. 그의 목표는 지구의 에너지원인 솔리타륨이였다.

이에 G1 콘보이. 스타 세이버, 비스트 콘보이, 라이오 콘보이 등 사이버트론 전사들은 데스트론의 위협에 맞서 싸우게 된다.

4. 구성

로봇 마스터즈는 다음과 같은 매체들로 구성되어있다.

5. 단편 애니메이션 3D

앞서 언급했듯 애니메이션은 전 에피소드를 포함해서 2화 전부이며 두 애피소드 모두 런닝타임 15분정도이다.

액터스[2]와 스튜디오 A-켓이 제작하였으며, 일부 로봇마스터즈 완구에 DVD형태로 동봉되었다. 이 애니메이션은 여러 로봇 마스터즈 코믹스에 등장한 사건들을 간략히 재구성한 내용이며, 일부 설정에는 변화가 있다.

주로 이전 트랜스포머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캐릭터들이 나오지만, 콘보이의 전담 성우인 겐다 텟쇼비스트 콘보이의 성우 코야스 타케히토, 스타 세이버의 성우 타나카 히데유키와 같은 기존 성우는 한 명도 참여하지 않았다.

5.1. 이상한점

트랜스포머 에너존 제작 도중 급하게 만들어진 것인지, 총 러닝타임은 15분도 채 되지 않고 대부분 인적 없는 장소에서 전개된다. 특히 이상한 점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파일:800px-Robotmasters_Energon_Comparison.jpg
* G1 콘보이는 에너존 옵티머스 프라임의 머리 모델을 그대로 재활용했으며, 측면 안테나 추가와 뺨 및 이마 부분의 통풍구 약간 수정만 되어 있다.

6. 단편 만화

츠시마 나오토(津島直人)[4]가 스토리와 작화를 맡은 만화 시리즈다. 일본판 트랜스포머 G1 애니메이션 세계관을 기반으로 하며, 2004년부터 2005년까지의 시간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이 작품은 오토봇(사이버트론)과 디셉티콘(데스트론) 간의 새로운 전쟁을 다루며, 블래스터존[5]이라 불리는 차원 균열 현상을 통해 다양한 시간대와 세계관의 캐릭터들이 현대 지구로 모여들게 되는 구조다. 이를 통해 G1 은 물론, 빅토리, 비스트 워즈, 비스트 워즈 II 등 여러 작품의 캐릭터들이 한데 등장하는 크로스오버 형식을 취하고 있다. 트랜스포머 브랜드의 20주년을 기념하기 위한 일환으로 기획되었다.

7. 완구

7.1. 웨이브 1

파일:800px-RM-toy_Mirage.jpg
* RM-03 리제
파일:RM-toy_WreckerHook.jpg
* RM-04 렉커 훅
파일:RM-toy_RBlade.jpg
* RM-05 R-블레이드
파일:RM-toy_AirHunter.jpg
* RM-06 에어 헌터
파일:BoundRogue-toy.jpg
* RM-07 바운드 로그
파일:Wingstun-toy.jpg
* RM-08 윙스턴
파일:RM-toy_PsychoOrb.jpg
* RM-09 사이코-오르브
파일:RM_DVDConvoy_toy.jpg
* RM-10 G1 콘보이+DVD

7.2. 웨이브 2

7.3. 웨이브 3

파일:Smokesniper-toy.jpg
* RM-13 스모크나이퍼
파일:800px-RM-toy_GigantBomb.jpg
* RM-14 자이언트 붐

7.4. 웨이브 4

파일:RobotMasters_VictorySaber_toy.jpg
* RM-17 빅토리 세이버
스타 세이버와 빅토리 레오의 합본 사양.

7.5. 웨이브 5

파일:RoadRocket-RMtoy.jpg
* RM-18 로드 로켓
파일:DeltaSeeker-toy.jpg파일:800px-RM-toy_XGunner.jpg
델타 시커 X-거너

7.6. 웨이브 6

7.7. 웨이브 7

7.8. 로봇 마스터즈 에디션

파일:RMSkywarp_toy.jpg파일:RobotMastersThundercracker.jpg
스카이워프 썬더크래커

7.9. 한정판

7.9.1. 덴게키 하비 매거진

7.9.2. e-하비

파일:800px-RM-toy_StarSaber_Black.jpg파일:800px-RM-toy_VictorySaber_Black.jpg
스타 세이버 빅토리 세이버

7.9.3. 피규어 Ō 매거진

7.9.4. 하비 재팬 매거진

7.9.5. 하이퍼 하비 매거진

7.9.6. TV 매거진

파일:Crayola_convoy.jpg
* G1 콘보이 (럭키 드로)

8. 기타



[1] 차이점이라면 유니버스는 주로 사이버트론[7] 완구 들을 리데코해서 출시하였다면 로봇 마스터즈는 사이버트론보다 오래전에 전개된 G2, 머신 워즈의 완구 들을 리데코 했다는 차이점이 존재한다.[2] 이전에 트랜스포머 아마다트랜스포머 에너존의 애니메이션을 제작하였다.[3] 이건 구판 완구의 있던 기믹이다. 스타스크림의 원형이 되는 다이아클론의 '제트 로보' 완구가 스타스크림의 널 레이 캐논에 해당하는 파츠가 미사일로 발사하며 가지고 놀수있는 기믹이 있었다. 이후 다이아클론의 있던 완구들이 미크로맨과 같이 트랜스포머로 편입될때 제트 로보의 있던 기믹은 별다른 수정 없이 그대로 새로운 설정들을 부여받아 지금에 스타스크림이 됐다.[4] 격투요리전설 비스트로 레시피의 아티스트로 많이 알려져 있다.[5] Blastizone[일명] 파일:RM-24 리버스 콘보이.jpg
리버스 메가트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