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align=center><width=700><table bordercolor=#C10F30><colcolor=#fff><table bgcolor=#C10F30><bgcolor=#000000,#000000>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margin: 0px; min-width: 160px; display:inline-block"; color:#fff" {{{#!folding [ 제너레이션 1 세계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미국 스토리라인 | 일본 스토리라인 | ||||
<colbgcolor=#ffffff,#191919> 트랜스포머 (1983~1986) | ||||||
극장판 (1986) | <colbgcolor=#ffffff,#191919> 스크램블 시티 (1986) | |||||
리버스 (1987) | 헤드마스터즈 (1987) | |||||
- | 마스터포스 (1988) | |||||
트랜스포머 V (1989~1993) 트랜스포머 존 | ||||||
비스트 워즈 (1996~1998) | ||||||
비스트 머신즈 (1999~2000) | 비스트 워즈 세컨드 (1998) | |||||
비스트 워 네오 (1999) | ||||||
트랜스포머 카로봇 (2000) | ||||||
로봇 마스터즈 (2004) | ||||||
프라임 워즈 (2016~2018) | ||||||
WFC (2020~2022) |
- [ 유니크론 트릴로지 ]
- ||<-3><bgcolor=#ffffff,#191919><table width=100%><width=2000> 아마다
(2002) ||<width=33%><-2><bgcolor=#ffffff,#191919> 에너존
(2004) ||<width=33%><bgcolor=#ffffff,#191919><-2> 사이버트론
(2005) ||
- [ 얼라인드 세계관 ]
- ||<-6><bgcolor=#000><color=#C10F30><table width=100%><width=2000> 본편 ||
트랜스포머 프라임
(2010~2013)트랜스포머 어드벤처
(2015~2017)외전 트랜스포머 GO
(2013)레스큐 봇
(2010~2016)
- [ 기타 세계관 ]
- ||<colbgcolor=#ffffff,#191919><table width=100%><width=2000> 애니메이티드
(2007~2009) ||<-2><width=50%><bgcolor=#ffffff,#191919> Q 트랜스포머
(2015) ||<-2><width=50%><bgcolor=#ffffff,#191919> 사이버버스
(2018~2021) ||어스스파크
(2022~)봇봇
(2022)
트랜스포머 와일드 킹 Transformers: Wild King / トランスフォーマー ワイルドキング | |||
<nopad> | |||
{{{#212529,#e0e0e0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212529,#e0e0e0> 장르 | ||
원작 | |||
캐릭터 원안/원작 일러스트 | |||
총감독 | |||
감독 | |||
부감독 | |||
조감독 | |||
시리즈 디렉터 | |||
시리즈 구성 | |||
캐릭터 디자인 | |||
미술 감독 | |||
색채 설계 | |||
촬영 감독 | |||
편집 | |||
음향 감독 | |||
음악 | |||
프로듀서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
애니메이션 제작 | |||
제작 | |||
방영 기간 | 20○○. ○○. ○○. ~ 20○○. ○○. ○○. | ||
방송국 | |||
편당 러닝타임 | 6분 | ||
화수 | 14화 | ||
시청 등급 | 정보 없음 | ||
시청 등급 | 미정 | ||
관련 사이트 |
1. 개요
공식 완구 & 애니메이션 홍보 영상 |
타카라토미에서 공개한 신규 완구 라인업이자 애니메이션 시리즈.
2. 특징
비스트 워즈 네오와 동일하게 오토봇 쪽은 현생 동물[1]로 구성되며, 디셉티콘은 공룡을 비롯한 고생물[2]으로 이루어져 있다.
3. 등장인물
4. 완구
4.1. 제품 목록
4.1.1. 와일 도킹[3] 세트
파일:WKS-01 옵티머스 프라임 & 라이트 롱.jpg | |
WKS-01 옵티머스 프라임 & 라이트 롱 | WKS-02 메가트론 & 캡틴 볼카 |
4.1.2. 에너지 마스터
| |
WKM-01 옵티머스 프라임 | WKM-02 메가트론 |
4.1.3. 에너지 비스트
4.1.3.1. 웨이브 1
| |
WKB-01 라이트 롱 | WKB-02 하이드로펀트 |
| |
WKB-03 캡틴 볼카 | WKB-04 리프백 |
4.1.3.2. 웨이브 2
| |
WKB-05 이그나이트 레오 | WKB-06 스피리추언 |
| |
WKB-07 드릴노혼 | WKB-08 썬더비크 |
4.1.4. 한정판
* 에너지 웨폰 세트
기간 내 매장에서 와일도킹 제품 5000엔 이상 구매시 한정 증정되는 제품.
5. 용어
- 엘리멘트로스
에너지 비스트들의 고향 행성.
- 에너지 마스터
6. 기타
- 같은 년도의 공개된 시리즈중 트랜스포머: 사이버월드가 있으며 이쪽은 해즈브로가 단독으로 전개하는 라인업이다.
- 삼중합체 트랜스포머 GO! 이후 처음으로 제작한 일본산 애니메이션이다. 다만, 여전히 TV판이 아니며, 잡지 부록으로 나온 GO와 달리 웹 애니메이션으로 나왔다. 1편당 분량은 짧은 편.
- 파워 오브 더 프라임의 컴바이너들 이후로 7년만에 도입된 합체 시스템이 주인 시리즈이며, 옵티머스 프라임의 경우, 콘보이 그랜드 프라임 이후로 간만에 5단합체가 가능한 형태로 나오고, 메가트론의 경우, G1 기반 디자인의 메가트론들중 최초로 5단합체가 가능한 형태로 나온 작품이기도 하다. 일본에서 단독으로 전개한 트랜스포머 시리즈인 만큼 일본인들이 선호하는 특성 맞게 합체라는 키위드를 중점으로 두고 제작되었다[4].
7. 외부 링크
[1] 라이트 롱: 기린, 하이드로펀트: 코끼리, 드릴노혼: 코뿔소, 이그나이트 레오: 사자, ???: 들소.[2] 캡틴 볼카: 티라노사우루스, 리프백: 트리케라톱스, ???: 스테고사우루스, 스피리추언: 스피노사우루스, 썬더비크: 프테라노돈.[3] 제목의 와일드 킹과는 촉음(ッ)의 차이가 있다.[4] 반대로 미국쪽은 합체보다는 변신 특히, 자동변신과 자동변신과 연관된 특수기믹에 중점을 두는 경우가 많다. 당장 사이버월드만 해도 컴바이너는 안나오고 있으며, 트랜스포머 프라임때도 합체전사가 없는 탓에 일본에서는 인기가 저조해지는 원인중 하나로 적용되고 말아 시즌2에서 급하게 마무리 짓고, 시즌3인 비스트 헌터 대신 삼중합체 트랜스포머 GO!를 독자적으로 전개하고, 합체시스템을 메인 키워드로 두고 제작되었기 때문에 일본의 합체로봇에 대한 선호도가 높다는걸 증명한적도 있긴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