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13 11:58:31

헐크

로버트 브루스 배너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의미}}}에 대한 내용은 [[헐크(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헐크(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헐크(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의미: }}}[[헐크(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헐크(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헐크(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어벤져스 초기 멤버
캡틴 아메리카
스티브 로저스*
아이언맨
토니 스타크
토르
토르 오딘슨
헐크
브루스 배너
앤트맨
행크 핌
와스프
재닛 반 다인
* #4부터 합류

<colcolor=#fff><colbgcolor=#008000,#008000> 마블 코믹스의 등장인물
헐크
Hulk
파일:8d914a23ad9db8f0b35dc7ef0b5a2158.jpg
캐릭터 창조 정보
출판사 마블 코믹스
최초 등장 인크레더블 헐크 #1
1962년 3월 1일
([age(1962-03-01)]주년) [dday(1962-03-01)]일
창조자 스탠 리, 잭 커비
캐릭터 설정 정보
본명 로버트 브루스 배너
Robert Bruce Banner
이명 헐크(Hulk)
[출판상 다른 이름]
인크레더블 헐크(Incredible Hulk)
이모탈 헐크(Immortal Hulk)
스타쉽 헐크(Starship Hulk)
배너 헐크(Banner Hulk)
오메가 헐크(Ωmega Hulk)
새비지 헐크(Savage Hulk)
[기타 별칭]
녹색괴물(Green One)
조 픽싯(Joe Fixit)
그레이 헐크(Grey Hulk)
프로페서 헐크(Proffesor Hulk)
머지드 헐크(Merged Hulk)
워(War)
데이비드 배너(David Banner)[1]
그린 스카(Green Scar)
월드 브레이커(World Breaker)
사카아르선(Sakaarson)
클러(Kulh)
닥터 그린(Dr. Green) 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00,#008000> 인간 관계
소속 <colcolor=#373a3c,#ddd>없음
[탈퇴]
야쿠자
코스믹 어벤져스
챌린저스
핸드
일루미나티
어벤져스
S.H.I.E.L.D.
T.I.M.E[2]
시크릿 어벤져스
헐크 패밀리
워시
파커 인더스트리(지구-11638)
호라이즌 랩스
워바운드
디펜더스
헐크버스터스
판테온
타이탄 쓰리
뉴 판타스틱 포
시크릿 디펜더스
마이티 어벤저스
묵시록의 4기사
원탁의 원자 기사들
가족 관계 베아트리체 배너 (조상)
사무엘 스턴스 1세 (조상)
브라이언 배너 (아버지)
리베카 배너 (어머니)
베티 로스 (전 아내)
케이에라 (아내, 사망)
제니퍼 월터스 (사촌)
스카 (아들)
히로-카라 (아들)
라이라 (딸)
생사 관련
현실 지구-616
출생 미국 오하이오주 데이턴
개인 정보
신분 공개
비공개 (조 픽싯)
종족 인간 (강화 인간)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직업 핵 물리학자, 모험가
[전직]
쉴드 요원, 교회 관리인, 전사, 사카아르 왕, 반군 지도자, 검투사/노예, 기계공, 엔지니어, 판테온의 지도자, 은행가, 선원, 농장주, 철강 노동자, 웨이터, 광부, 건설 노동자, 관리인, 석탄 광부
학력 핵물리학을 포함한 세 가지 분야의 박사
근거지 유동적
[이전 근거지]
우타, 알파인
뉴멕시코, 헐크버스터 베이스
스타크 타워
네바다, 섀도우 베이스
쉴드 헬리케리어
뉴욕시 맨해튼, 어벤져스 맨션
뉴욕시 맨해튼, 백스터 빌딩
사카아르
신체 특징
성별 남성
신장 178cm (배너)
228cm→(분노에 따라) 최대 250cm (헐크)
198cm (그레이 헐크)
229cm (머지드 헐크)
체중 58kg (배너)
521kg→(분노에 따라) 최대 635.03kg (헐크)
408.2kg (그레이 헐크)
521.63kg (머지드 헐크)
갈색 (배너)
초록색 (헐크)
회색 (그레이 헐크)
모발 갈색 (배너)
초록색 (헐크)
검은색 (그레이 헐크)
}}}}}}}}}

1. 개요2. 설정3. 작중 행적4. 능력
4.1. 헐크4.2. 브루스 배너
5. 관련 인물6. 멀티버스
6.1. 코믹스6.2. 실사화6.3. 애니메이션6.4. 게임
7. 시리즈8. 비유9. 기타10. 관련 문서

1. 개요

<nopad>
마블 코리아 설명 영상
마블 코믹스의 대표적인 슈퍼히어로 캐릭터. 1962년 인크레더블 헐크 #1에서 최초로 등장했다.

2. 설정

파일:Bruce_Banner_(Earth-616)_from_Incredible_Hulk_Vol_1_1_0005.jpg
감마폭탄을 제작하던 브루스 배너 박사가 감마폭탄 제작 과정의 폭발 사고로 인해 감마선에 노출되어 그 영향으로 분노하면[3] 괴력의 녹색 거인으로 변신하는 능력을 지니게 되어 이 변신한 모습은 '헐크'라고 불리게 되었다.

어벤저스가 창설되는 계기이자 창립 멤버이기도 하다. 하지만 입장상 얼마 못 가서 탈퇴하고 만다.

모티브는 《지킬 박사와 하이드》의 주인공인 '헨리 지킬'과 그의 또다른 인격인 '에드워드 하이드'. 지킬 & 하이드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 중에서는 가장 유명한 캐릭터다.[4] 또한 스탠 리가 밝힌 바로는 프랑켄슈타인도 헐크의 모티브라고 한다. 실제로도 과학의 산물로 태어난 존재로서, 외로움을 타지만 사회에서 배척받고 사냥당하며 인간을 증오하게 된 괴력의 거인이라는 점에서 작중에서 보이는 모습이 프랑켄슈타인과 유사한 부분이 있기도 하다.

'Hulk'라는 영어 단어 자체는 낡고 큰 폐선이라는 뜻을 가지나 또 주체할 수 없을 정도로 거대한 사람이라는 의미도 있다. 추상적으로 원래는 속이 차있었으나 현재는 속이 비고 남은 큰 껍데기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 의미는 여러 종교나 신화의 내용까지 접목해가며 이모털 헐크에서 상징적으로 집요하게 파고든다.

사실 초기 코믹스에서의 처음 설정은 회색이었으며 녹색 헐크는 인쇄 실수에서 나온 것. 하지만 오히려 이 쪽이 더 인기를 끌게 되어서 공식 설정이 되었다. 회색 헐크는 이후 최초의 헐크고 녹색 헐크보단 머리는 좋지만 힘이 달려서 인격 싸움에서 대부분 밀리는 바람에 녹색 헐크가 주도권을 훨씬 많이 잡게 된 것으로 결론 났다. 덕분에 먼저 나온 비슷한 캐릭터 솔로몬 그런디와 차별화에 성공했고 솔로몬 그런디처럼 시체가 살아 움직이는 것 같은 느낌이 아닌 인간이 무지막지한 괴물로 변했다는 느낌을 제대로 살렸다.
파일:external/e.blogs.elcomercio.pe/bruce_banner.jpg
파일:external/static.comicvine.com/3946036-bruce+banner.jpg
브루스 배너의 모습. 외견만으로는 헐크 상태와의 대비를 위해 마른 몸집에 초췌한 인상의 중년으로 그려진다.

이모털 헐크 기준 헐크/배너의 심상 인격은 브루스 배너[5] / 조 픽싯[6] / 새비지 헐크[7] / 그린 스카[8] / 마왕 헐크[9] / 교수 헐크[10] 등으로 나뉜다.

3.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헐크/작중 행적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헐크/작중 행적#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헐크/작중 행적#|]]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능력

작중 보여준 능력들은 일부분이나마 여기서 볼 수 있다. 마블 공홈
능력치 브루스 배너 헐크
지능 ■■■■■■□ ■□□□□□□
■□□□□□□ ■■■■■■■
속도 ■□□□□□□ ■■■■■□□
체력 ■□□□□□□ ■■■■■■■
에너지 투사 ■□□□□□□ ■■■■■□□
전투 기술 ■□□□□□□ ■■■■□□□
과학자 브루스 배너는 감마폭탄 제작 과정중 감마폭탄 폭발 사고로 인해 대량의 감마선에 노출되었고, 통제 불가능한 괴력을 가진 녹색 거인 '헐크'로 변하게 되었다. 첫 등장 당시에는 모티브인 지킬 박사와 하이드처럼 밤만 되면 자기도 모르게 헐크가 된다는 설정이었으나 이후 분노하면 헐크가 된다는 식으로 바뀌었다.

4.1. 헐크

파일:헐크-썬더클랩1.jpg파일:헐크-썬더클랩2.jpg
박수로 우주를 붕괴시키는 헐크
무력을 보면 마블의 히어로들 중에서 최상위권에 속할 정도로 강하다. 특히 순수한 완력만 따지면 마블 히어로 중에선 최강이라고 볼 수 있다. 대표적인 능력은 분노할수록 강해지는 것.
파일:external/www.incrediblehulkonline.com/secretwarsstrength.jpg
1,500억 톤 바위산을 들어올리는 헐크
파일:헐크-재생.jpg
다른 감마 기반 초인의 감마 에너지를 흡수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분노 정도와 무관한 헐크의 힘이 상승한다.

4.2. 브루스 배너

5. 관련 인물


보다시피 주변 인물이 헐크 비스무리한 괴인이 되는 일이 잦다. 주적으로는 어보미네이션, 리더 등.
여담이지만 엑스맨의 울버린도 1974년작 인크레더블 헐크에서 헐크를 추적하는 캐나다 요원으로 출연했었다. 지금은 엑스맨 소속으로 완전히 빠졌지만.

6. 멀티버스

6.1. 코믹스

6.2. 실사화

6.3. 애니메이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헐크/애니메이션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헐크/애니메이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헐크/애니메이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4. 게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헐크/게임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헐크/게임#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헐크/게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시리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헐크 시리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헐크 시리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헐크 시리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비유

9. 기타

10. 관련 문서


[1] 드라마판인 두 얼굴의 사나이 헐크에서 쓰인 이름으로 2003년판 헐크에서는 아버지의 이름으로도 쓰인다.[2] Temporal Irregularity Management and Eradication[3] 초기에는 모티브가 된 작품에서처럼 밤이 되면 헐크로 변하고 해가 뜨면 다시 배너의 모습으로 돌아오는 설정이었고, 해당 설정은 후술할 이모털 헐크 시리즈에서 다시 차용된다.[4] 이 캐릭터의 유명세 덕에 설정이 오히려 원작 2차 창작 쪽으로 역수출되어, 지킬과 하이드를 실사화하면 하이드가 덩치가 더 커지는 것으로 묘사된다. 하지만 원작에서 하이드는 지킬보다 훨씬 덩치가 작다. 헐크가 워낙 인지도가 높다 보니 생긴 대표적인 오해.[5] 과학을 담당. 특히 감마 관련해서 자타공인 최고의 지식을 갖춘 과학자.[6] 그레이 헐크. 최초의 헐크이고 다른 헐크들보다 이성적인 판단은 잘 하는 편이지만 통상 근력은 약한 편이다.[7] 어휘력이 낮은 유아기 헐크. 참을성이 약하지만 순수하다.[8] 플래닛 헐크~월드 워 헐크.[9] 브루스를 누구보다 사랑하여 브루스를 위해서라면 살인도 서슴지 않는 무서운 인격. 이모털 헐크의 메인 인격이다.[10] 머지드 헐크 즉 통합 헐크라고도 불린다. 작중 시점에서는 심상 세계에서 잠적하여 보이지 않는다.[11] 헐크는 다 같은 헐크처럼 보여도 아주 많은 인격이 있으며, 그 인격들 중 힘싸움으로 주도권을 잡은 인격이 헐크라는 몸을 통제한다. 따라서 지적 능력이나 통상 상태에서의 근력 등이 작품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날 수 있다.[12] 단 분노하지 않았을 때의 통상적인 전투력 총합은 토르나 실버 서퍼에게 밀리고 블랙 볼트와 센트리, 씽에게 패배한 적이 있다. 작가가 묘사하는 바에 따라 달라지며 헐크는 분노할수록 힘이 더 강해진다는 설정이 있어서 원한다면 월드 워 헐크처럼 토르가 가장 강력하게 나온 룬 킹 토르 정도를 빼면 토르의 모든 버전을 압도할 정도로 강력해지거나 토바 헐크라는 압도적으로 강력한 버전도 있다.[13] 최근 이모탈 헐크에서 밝혀진 사실로는 헐크가 원 어보브 올의 다른 일면인 원 빌로우 올의 아바타로, 만약 그렇다면 이론 상으로는 그 원 어보브 올의 반대격인 만큼 원 어보브 올 정도가 아니고서야 그 어떤 존재도 상대가 안된다.[14] 상단의 사진이 바로 당시 장면을 묘사한 코믹북 표지다. 출처. 당시 헐크의 몸을 브루스 배너의 인격이 차지한 상태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는 이성이 분노를 압도하여 이론상 헐크 몸의 전력을 쓸 수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분노의 상한선이 낮아 다 쓸 수는 없었는데, 여기서는 극도의 위기상황과 더불어 리드 리처즈의 의도적인 인신공격에 브루스 배너가 매우 분노하여 원래 헐크의 힘을 제대로 쓸 수 있었다.[15] 일명 썬더클랩. 애니메이션 '헐크와 스매쉬 군단 시즌 1' 8회에서는 이 손뼉치기로 갤럭투스에게 타격을 주었다. 참고로 이 대결에서 헐크는 갤럭투스를 이길 수 있었는데 지구의 안전을 위해서 일부러 져주었다. 가끔 소닉클랩이라는 명칭을 쓸 때도 있다.[16] 헐크에게 부탁해 일부러 헐크의 주먹 여러대를 맞고 얼굴이 피투성이가 되는 장면이 있어 최상의 몸 상태가 아니라는 이야기도 있지만, 그보다는 자신의 공격력을 최고로 끌어내기 위해서 일부러 헐크에게 부탁해서 헐크의 주먹을 여러대 맞았다는 것이 좀 더 논리적으로 설득력이 있어 보인다. 실제로 이후 봉인된 능력이 완전히 풀려 한동안 헐크를 압도적으로 두들겨 팼었다.[17] 그리고 진실이 밝혀지자 엄청난 배신감 때문에 다시 헐크가 되었을 때는 방사능이 줄줄 새고 힘이 더 세져서 땅이 서 있는 것만으로 초록빛을 내며 땅이 박살날 정도였기에 이때는 확실히 통상 상태의 센트리보다는 강했다.[18] 타노스조차도 노 아이템 상태에서 어벤져스 멤버들이 한꺼번에 달려들자 제대로 저항도 못 하고 일방적으로 두들겨 맞은 적이 있을 정도였다.[19] 헐크가 토니 스타크의 '헬리오스' 초강력 레이저를 일부러 맞고 이 과학연구소로 끌려오게 되었다고 원작 '이모털 헐크: 아니면 둘 다인가'에 나온다. 미국 정부가 실험들을 통해 헐크의 모든 것들을 알아낸다면 실험 현장에 있는 헐크도 자신에 대한 모든 것들을 알 수 있기 때문.[20] 헐크의 몸이라도 브루스 배너의 인격을 갖추고 있다면 정신적으로 타격을 주기는 쉽다. 시크릿 워즈(1984)에서 인챈트리스가 건 유혹 마법이 당시 헐크의 몸을 통제하던 브루스 배너의 인격(인텔리전트 헐크)에게 별다른 노력 없이 들어갔다. 인텔리전트 헐크 당시 정신계 저항력이 너무 낮아진 나머지 닥터 스트레인지의 적, 나이트메어가 헐크 인격이 봉인되자 마자 옳다구나 하고 드디어 닥터 스트레인지와 더불어 디펜더스의 원년 멤버 중 하나인 헐크를 조종할 수 있게 되었다며 조금씩 악몽을 꾸게 해 헐크의 봉인이 풀리는 순간을 앞당겼고, 나이트메어 본인도 도박수였지만 돌아온 직후의 헐크 인격까지 악몽을 통한 암시를 걸 수 있어 닥터 스트레인지에게 적대감을 심고 민간인이라도 보이기만 하면 학살하는 헐크를 만든 적이 있다.[21] 새비지 헐크(2014)에서 자비에르 교수와 브루스 배너의 정신이 연결된 상황에서 관전자 상태로 있으려는 자비에르 교수도 인격 다툼에 타격을 입을 정도로 정신계의 물리법칙이 강력하다.[22] 보통 시기당 하나의 인격이 주도하지만 어쨌든 주도권을 잡은 인격은 일단 배너하고 대립각을 세우는 경우가 많으며 종종 여러 인격이 동시에 등장해 발생하는 예상치 못한 재미도 있다.[23] 보통 전반적인 지능 1등은 리드 리처즈, 미래를 잘 읽고 멀티태스킹에 능한 공학도 1등은 토니 스타크, 생화학과 에너지 응용에 대해서 1등은 브루스 배너 정도로 좁혀진다.[24] 흔히 마블 세계관의 최고의 천재로 인정되는 미스터 판타스틱의 연구소를 해킹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해 노트로 적어 자신의 은신처에 두었고, 이걸 아마데우스 조가 입수해서 미스터 판타스틱의 연구소 자료를 해킹하는데 성공하게 된 일화가 <플래닛 헐크>에 나온다.[25] <CIVIL WAR 2 - FALLOUT>에서 토니 스타크가 다차원적 열역학 차이가 해소되지 않아 공간 이동 관련 네거티브 존의 미세한 시간 지연 제거 문제를 몇 년째 해결하지 못하고 있을 때, 브루스 배너가 이 문제를 해결해 주어 토니를 감탄시킨 적이 있다.[26] 그린 고블린 등이 연재가 진행되며 미친 듯한 괴물로 성장하는 데 반해 얼티밋 유니버스의 분위기가 변화하면서 헐크의 막장성은 전보다는 축소되어 갔다.[27] 방사선 거미에 물려 스파이더맨이 되는 대신 감마 폭탄에 피폭되어 헐크가 된다.[28] 자기 말로는 자기에게 맞춰줄 여자가 쉬헐크밖에 없는데 어쩌라는 투로 말하면서 로건을 패는 장면이 있다. 그러나 자기 아들들이 헐크 상태로 매춘업소를 드나드는 장면이 나오는 것을 보면 본인이 힘조절을 못했거나 그냥 미쳐서 저지른 듯 하다.[29] 대표적으로 진 그레이같은 경우[30] 피닉스 포스의 경우 다중인격이라고 하긴 그렇지만 기존의 인물이 가지고 있는 인격과는 다른 인격이 된다는 것은 동일하다.[31] 물론 차이는 있다. 센트리는 헐크와는 달리 기본 상태에서도 충분히 강하고, 감마선에 노출되어 생겨난 헐크 인격과는 달리(다만 이 부분은 작가에 따라 감마선 노출 이전에 이미 배너 속에 헐크 인격이 생겨났다고 묘사하는 작가들도 많다.) 리전은 자신이 처음부터 가지고 있던 주체할 수 없는 힘이 인격을 가지고 마구 날뛰는 격이며 피닉스 포스의 호스트는 브루스 배너의 안에서 생겨난 헐크 인격과는 달리 피닉스 포스라는 우주적 존재가 깃든 상태다.[32] 하우스 오브 M자기가 싫어하는 것 중 하나로 인칭대명사를 드는 장면이 있을 정도.[33] 헐크의 감마선, 저거너트의 사이토락 잼.[34] 전에도 체스터가 1호에게 사용된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