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9 11:48:32

렛-두로 씨리즈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1a1748>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두산 베어스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1a1748><colcolor=#fff> 기본 문서 두산 | 두산 베어스 | OB 베어스 | 두산 베어스 2군
세부 문서 팀 컬러 | 선수단 | 등번호 | 역대 감독 | 역대 주장 | 역대 시즌 | 유니폼 | 응원단 | 응원가 | 상대 전적
경기장 1군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 | 2군 베어스 파크
이전 대전공설운동장 야구장 · 청주 야구장 · 동대문야구장
역사
<colbgcolor=#1a1748><colcolor=#fff>
우승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파일:KBO 한국시리즈 트로피.svg
1982년 한국시리즈(V1) | 1995년 한국시리즈(V2) | 2001년 한국시리즈(V3) | 2015년 한국시리즈(V4) | 2016년 한국시리즈(V5)
2019년 한국시리즈(V6)
현재 시즌
2025년 시즌
영구결번
21 박철순 | 54 김영신
팬덤 정보 응원가(승리를 위하여 · 선수 응원가) | 응원단장 | 곰들의 대화 | 두산 베어스 갤러리 | BEARS TV
라이벌전 잠실 시리즈 | 싸대기 매치 | 단군 매치 | 경부선 시리즈 | VS SSG 랜더스
지역 연고 경기고등학교 | 경동고등학교 | 덕수고등학교 | 배명고등학교 | 배재고등학교 | 서울고등학교 |
서울디자인고등학교 | 선린인터넷고등학교 | 성남고등학교 | 신일고등학교 | 장충고등학교 |
중앙고등학교 | 청원고등학교 | 충암고등학교 | 휘문고등학교 | 제주고등학교 | 우신고등학교
기타 사건·사고 | 두나쌩·두상바 클럽 | 우동수 트리오 | 김거김 | KILL 라인 | 2016년 판타스틱 4 | 머갈툴순 | 어우두 | 렛-두로 씨리즈 | 상대 전적
선수단 코칭스태프 | 투수 | 포수 | 내야수 | 외야수 | 군 입대 선수 | 등록선수 | 육성선수 }}}}}}}}}
파일:두산 렛두로시리즈 로고.jpg
1. 개요2. 역사3. 특징4. 여담

1. 개요

두산 베어스에서 진행하는 이벤트 시리즈. 레트로의 향수가 주목받은 시기에 저격해서 편성된 이벤트로, 어린이날 시리즈 못지 않게 두산 베어스 팬들의 흥행을 이끌고 있다.

명칭은 레트로와 두산 베어스의 '두'를 합성해 만들어졌다.

2. 역사

2023년 7월 7~9일 키움전에서 처음으로 진행되었으며, 반응이 좋아 동년 9월 8~10일 삼성전에서도 진행했다.

2024년에도 진행되며 2024년 5월 17~19일 롯데전에 편성되었고 2024년 8월 23~25일 한화전에서도 진행되었다.

2025년에는 2025년 5월 23일~25일 NC전에서 진행된다. 이 시즌부터 공식 유니폼 디자인 변경으로 인해 레트로 유니폼이 사라지면서 이 시리즈부터는 3연전 내내 올드 유니폼만 착용하게 된다.

7월 4~6일 주말시리즈 잠실 kt전에서도 진행하며, 이때는 클래식 유니폼을 입고 경기에 출전한다. 여담으로 마지막 날인 6일에는 김재호의 은퇴식이 예정되어 있는데 개인적으로는 신인 시절의 클래식 유니폼[1]을 입고 은퇴를 하게 되었다.

키움전 3연승 스윕, 삼성전 3승 1패[2], 롯데전 1승 1무 1패로 통산 7승 1무 2패로 시리즈 승률도 꽤 좋았지만 2024년 8월 23~25일 한화전 스윕패로 인해 깨졌다. 하지만 2025년 7월 4~6일 kt전 위닝을 통해 팬들에게 렛두로 시리즈에 대한 좋은 인상을 다시 한 번 심어 주었다.

3. 특징

모든 선수들의 등장곡이 '렛-두로'라는 컨셉에 맞게 옛날 노래로 바뀐다. 선수가 직접 노래를 선택하며, 보통 본인의 어린 시절 인기곡을 선택한다. 예시로 1987년생인 양의지god촛불 하나(2000년), 2001년생인 최승용은 드라마 꽃보다 남자의 OST인 파라다이스(2009년)을 선택하는 식이다. 원래 등장곡이 렛-두로 컨셉에 맞다면 그대로 쓰기도 하고, 선택한 곡이 마음에 드는 선수들은 시리즈가 끝나도 계속 사용하기도 한다. 응원가는 변경되지 않는다.

KBO 리그 응원가 저작권 사태로 인해 들을 수 없게 된 예전 응원가의 원곡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다. 편곡으로 인해 터진 사태라서 편곡 없이 그대로 재생되는 등장곡에는 저작권 이슈가 걸리지 않기 때문이다. 특히 정수빈의 옛 응원가로 사용된 비치 보이스Surfin' U.S.A.는 매번 고정적으로 재생되는 시리즈의 트레이드마크가 되었다. 본인도 동료들이 등장곡을 고르고 있을 때 별 관심 없는 것마냥 '어차피 그거'라는 식으로 넘기는 게 일상이다. 이젠 바꾸고 싶어도 못 바꾼다고. 저작권 탓에 구단 응원단 측에서 따로 유도를 할 수는 없지만, 두산 팬이라면 다들 알고 있는 수준이라 응원단이 뭘 하든 말든 팬들은 시원하게 옛 응원가를 열창한다.

이 시리즈에서는 레트로 유니폼이나 혹은 때에 따라선 올드 유니폼을 착용[3]한다. 이상하게 그 중간의 2000년대 입었던 클래식 유니폼[4]은 입지 않았으나 2024년 8월 24일 한화전에서도 착용했고 2025년 7월 kt전에도 착용했다.

치어리더들도 평상시 입는 정복 대신 복고 컨셉의 의상을 입는다. 공수교대 등을 할 때의 공연도 최신 가요가 아닌 10~30년 전 인기곡으로 한다.

2024년에는 구단 측에서 등장곡으로 따로 플레이리스트를 만들어 유튜브에 업로드했다. #

다만 등장곡과 정수빈의 옛 응원가를 부르는거 말고는 큰 차별점을 느낄 수 없어서 아쉽다는 의견도 존재한다.

4. 여담


[1] 물론, 데뷔 시즌인 2004년에는 작은 반달이였으며 큰 반달은 2001년까지 입었다.[2] 2023년 9월 9일 경기가 더블헤더로 편성되어 4연전이었다.[3] 이 유니폼의 경우 렛두로 시리즈 뿐만 아니라 일요일 홈경기 등에도 착용한다.[4] 2017년 홍성흔 은퇴식 때 입은 1999 시즌 유니폼을 모티브로 한 이른바 반달곰 클래식 유니폼을 뜻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