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1 13:36:06

러시아 국내여권

신분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국가 발급 대상 국적별 자격별 직책별
내국인 외국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주민등록증
청소년증
시·도민증
외국인등록증
영주증
외국국적동포국내거소신고증
대한민국 여권 국가기술자격증
국가전문자격증
건설기계조종사면허
운전면허증
복지카드
국가보훈등록증
공무원증
사원증
학생증
공동인증서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미국 여권 카드
TTP 카드
(NEXUS·GE·SENTRI·FAST)
미국 영주권(그린카드)
EAD 카드
미국 여권
미국 여권 카드
강화 운전면허증
TTP 카드
강화 운전면허증
(MI·MN·NY·VT·WA)
주·속령 운전면허증
사회보장카드
DMV 발행 신분증
주·시정부 발행 신분증
(NYC, NY)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신분증명서(A4) 특별영주자증명서
재류카드
특정 등록자 카드
외국인등록증
일본 여권 일본 운전면허증
장애 수첩
개인번호카드
주민기본대장카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독일 신분증 독일 체류허가 독일 여권
독일 신분증
독일 운전면허증
(단독소지 EU 역내여행 불가)
학생증 등
QES 전자서명
(유럽연합 eIDAS)
국제 통용 여권
출국허가 인정 신분증
EEA 표준 운전면허증
국제운전면허증
국제학생증
{{{#!folding [ 그 외 지역 및 국가 - 펼치기 · 접기 ] 아시아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공민증 · 려행증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신분증 ·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신분증 ·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신분증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신분증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선거인등록증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신분증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신분증 ·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신분증
유럽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체류허가 ·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신분증 ·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신분증 ·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신분증 ·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 신분증 ·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 신분증 ·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 신분증 · 파일:지브롤터 기.svg 지브롤터 신분증 ·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신분증 ·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 신분증 ·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국내여권 ·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신분증
아메리카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선거인등록증 ·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 신분증
아프리카 파일:남수단 국기.svg 남수단 신분증 · 파일:보츠와나 국기.svg 보츠와나 신분증
}}} ||
}}}}}}}}} ||
러시아 연방 국내 여권
Паспорт граждани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Internal Passport of Russian Federation
파일:1_o6wolZOUJn8-OhRN1dUetw.jpg
<colbgcolor=#b22222><colcolor=#fff> 발급 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발급 기관 러시아 내무부
러시아어 Паспорт гражданина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영어 Citizen Passport of the Russian Federation
Russian internal passport
한국어 러시아 연방 국민 여권
러시아 국내여권
발급 대상 14세 이상의 러시아 국적자
유효 국가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국내 신분증[1], 여행 문서로서)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 (국내 신분증, 여행 문서로서, 영주)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 (여행 문서로서, 영주)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여행 문서로서, 영주)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 (여행 문서로서, 180일)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여행 문서로서, 90일)
파일:압하지야 국기.svg 압하지야 (여행 문서로서, 영주)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 (여행 문서로서, 영주)
제원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사진 성별 생년월일 주소 정보 보호
<rowcolor=#000>
35mm × 45mm

Пол
МУЖ./ЖЕН.

Дата Рождения
DD.MM.YYYY

별도기재
개인식별번호 유출안전성 문서 번호 발행일 만료일
<rowcolor=#000>
INN 선택 기재

00 00 000000

Дата выдачи
DD.MM.YYYY
×

생체정보보호 서명 발행국 코드 소지자 국적
<rowcolor=#000>
지문 미출력

자필

RUS (MRZ)

RUS (MRZ)
ICAO Doc 9303-5
기계가독부 (MRZ)
ICAO Doc 9303
파일:전자여권 검은색 로고.svg파일:EPassport_logoWhite.svg
ISO/IEC 14443
파일:컨택리스 표시.svg파일:EMV 비접촉 결제 로고 (흰색).svg
ISO/IEC 7816-2
파일:SmartCardPinout.svg
<rowcolor=#000>
ICAO Doc 9303-4 TD3
PNRUS


×

×

비고 }}}}}}}}}

1. 개요2. 역사3. 상세4. 여담5.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러시아 국내여권은 러시아 국민을 대상으로 발급되는 러시아의 신분증이다. 한국의 주민등록증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2. 역사

러시아에서 일명 국내 여권(Паспорт гражданина, 파스포르트 그라지다니나)이라고 불리는 이 제도는 러시아 제국 시절로 거슬러 올라가는 유구한 역사를 자랑한다. 원래 국내 여권은 19세기 러시아 제국에서 농노 해방 이후 농민들이 도시로 이주하거나 도시에 거주하는 것을 제한하기 위해 만든 제도였으며, 1917년 10월 혁명 이후 소비에트 정부 치하에서 "농민들의 자유를 억압한 제정 시절의 잔재"로 간주되어 폐지되었으나 1932년 이오시프 스탈린이 산업화 과정에서 국내 노동자의 이동과 거주를 통제하기 위해 재도입했다.[2] 그러다 보니 말이 "여권"이지 완전히 국내 신분증 역할을 하다 보니 가족 관계, 혈액형, 주소, 병적사항 등이 뒷면에 빼곡하게 들어갔으며, 우크라이나 · 벨라루스 · 중앙아시아 국가 등의 경우 러시아어와 자국어가 병기된 여권이 발급되었다. 이 "국내 여권" 제도는 이후 북한의 려행증 등 수많은 (전직) 공산국가에도 전파되었다.

1953년 스탈린 사후에는 통제가 완화되어 국내용 여권의 발급이 전 인민으로 확대되면서 비밀도시원자력 발전소, 군기지 같이 중요시설을 오가는 경우가 아니라면 대한민국의 주민등록증과 비슷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다만 이 때도 통제의 기능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여행이나 이사를 위해 지역을 옮길 경우 제일 먼저 지역 내무관청을 방문해 '프로피스카'라 부르는 체류, 거주허가를 얻어야 했다.[3] 만약 경찰 검문에서 여권에 체류, 거주허가가 없을 경우 해당 지역에 불법으로 체류하는 것으로 판단되어 경찰서에 수감되거나 심할 경우 간첩으로 몰리는 등 곤욕을 치를 수 있었다. 특히 굴라크나 형무소에서 형기를 보낸 죄수들은 석방 후 여권에 석방증명이 기재되어 모스크바 같은 대도시나 인근 지역에 거주가 불가능하거나 직업 선택에 있어 제한이 있었다.[4] 이로 인해 국내여권은 프로피스카와 더불어 소련인들의 거취를 직접적으로 통제하는 장치였다.

소련 붕괴 이후 러시아 연방이 출범하면서 프로피스카 제도는 거주이전의 자유를 침해한다고 판단되어 거주등록(레기스트라치야, Регистрация) 제도로 바뀌었다. 하지만 국내여권은 현재도 아직 러시아에서 신분증으로써 남아있으며 러시아인들은 장거리 교통수단(기차 등)을 탑승할 때 당국으로부터 국내여권 제시를 요구받는다.

2015년 기준으로 러시아 국내여권 발급을 거부하고 아직도 1974년에 발급된 국내여권을 사용하는 러시아 국민이 일부 존재한다. 러시아 법원과 헌법재판소에서는 소련 시민여권도 유효한 신분증으로 판결했으나 일선 행정 기관에서는 현실적인 이유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사실 소련 시민여권은 최소 2000년 이후에는 발행이 중단되어 현재 시점에서 발행일 기준으로 20년 이상 경과한 문서다. 신분증이 주기적인 갱신을 거쳐 발행되는 증명서라는 점을 생각한다면 이미 발행이 중단된 소련 여권은 여러 모로 행정처리에 어려움을 겪을 수 밖에 없으며, 무엇보다 백지가 유출된 지 오래라 조속한 개선이 필요하지만 별로 진전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5][6]

장기적으로는 2025년을 목표로 다른 나라들처럼 플라스틱 카드식 신분증으로 대체될 계획이다. 시안

3. 상세

책자 형태로 구성되어 있고 성명(성, 이름, 부칭 순), 성별, 생년월일, 출생지가 기재되며 주소는 신원정보면이 아닌 추가기재의 형태로 별도 취급된다. 국내 여행 시 제시해야 하며 일부 국제선에도 이용할 수 있다. 민족명은 기재되지 않으며[7] 국내여권 번호도 여권을 교체하면 바뀐다.#

유효기간이 따로 없으며 사진만 20세와 45세가 될 때 교체한다. 유효기간을 정하지 않아 MRZ가 <<<<<<<만 나와 있는데 사실 러시아만 이런 건 아니고 남수단 신분증에서도 똑같이 <<<<<<<로 채워넣은 것을 볼 수 있다.

성명란 MRZ는 키릴 문자라틴 문자숫자로 전자한 형태를 사용한다. 변환표는 아래와 같다.# 러시아제 문자 인코딩인 KOI8-R은 최상위 비트가 손실되었을 때 키릴 문자가 비슷한 라틴 문자로 대응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여기에서 사용했던 대응표와 상당 부분이 동일하다.
АБВГДЕЁЖЗИЙКЛМНОПРСТУФХЦЧШЩЪЫЬЭЮЯ
ABVGDE2JZIQKLMNOPRSTUFHC34WXY9678

4. 여담

5. 관련 항목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r25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r25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재외공관의 투표 등을 포함한다.[2] 당시 국내 여권도 아무나 받을 수 있는 것도 아니라서 농민들은 국내용 여권 신청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농민들에게 국내 여권이 발급되기 시작한 건 스탈린 사후 1954년이었다.[3] 오늘날 중국의 후커우(戶口) 제도가 소련 시절 프로피스카 제도를 그대로 계승한 유산이다.[4] 당시 소련에서는 과거 수형기록이나 강제이주 기록이 기재되어 소지자에게 사회적 불이익을 각인시키는 여권을 일명 "늑대표(Волчий билет)"라고 불렀다.[5] 실제로 메쇼크(Мешок) 등 현지 온라인 장터에 들어가 보면 "Чистый бланк" 즉 속이 완전히 비어 있는 여권이 고스란히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1990년대 혼란기 등을 거치며 유출된 진짜 여권 용지다. 이베이의 경우 소련 여권을 검색해 보면 백지는 없지만 실제 사용하던 여권들이 기념품(?)삼아 거래되고 있다.[6] 이유는 불명이나, 유출된 백지나 실제 사용한 여권들의 경우 거의 대다수가 우크라니아 쪽 여권이다.[7] 정확히 말해 "국적"(Национальность)이 기재된다. 소련 시절 우크라이나벨라루스 등은 형식상 다른 공화국으로 취급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