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늑대(아드울프, 흙늑대) 土狼 | Aardwolf | |
| |
학명 | Proteles cristatus Sparrman, 1783 |
분류 | |
<colbgcolor=#fc6> 계 | 동물계(Animalia)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강 | 포유강(Mammalia) |
상목 | 로라시아상목(laurasiatheria) |
목 | 식육목(Carnivora) |
과 | 하이에나과(Hyaenidae) |
속 | 땅늑대속(Proteles) |
종 | 땅늑대(P. cristatus) |
아종 | |
| |
멸종위기등급 | |
|
[clearfix]
1. 개요
하이에나의 일종.영명인 아드울프(Aardwolf)의 aard는 아프리칸스어로 earth라는 뜻이다.[1] 물론 하이에나과이기 때문에 이름과는 달리 늑대나 개와는 거리가 멀다.
2. 특징
하이에나과가 분화할 때 갈라져 나온 그룹들 중 아주 초기에 분화한 종으로서 오늘날의 다른 하이에나들과는 다른 독자적인 아과에 속한다. 때문에 다른 하이에나들과 구별되는 특징이 많은 편이다.두개골. 보다시피 하이에나의 트레이드 마크인 큰 어금니대신 작고 빈약한 어금니를 가졌다. 송곳니는 그나마 잘 발달되어 있어서 이것으로 자신의 영토를 방어한다.
꼬리 제외 몸길이 55~80cm, 꼬리 길이 20~30cm, 어깨 높이가 약 40~50cm이다. 몸무게는 보통 7~10kg이며, 최대 15kg다. 남부땅늑대보다 동부땅늑대가 큰 경향이 있다.
3. 생태
건조기후의 탁트인 평야와 숲에서 산다.야행성 동물로 보통 더운 낮에는 굴 속에서 잠을 자고, 시원한 밤이 되어서야 활동을 시작한다. 다만 기온이 낮아지는 겨울이 되면 낮에 먹이를 찾고, 밤에 잠을 자는 등 생활 패턴을 바꾼다.
보통은 땅돼지나 토끼가 버린 굴을 점거하여 살지만, 마땅히 굴이 없을 경우 직접 굴을 판다.
단독생활을 하지만 번식기가 돠면 암수 한 쌍으로 지낸다.
다른 하이에나들과 달리 턱 힘이 약해서 개미핥기 마냥 흰개미(특히 Trinervitermes속 흰개미)를 주식으로 한다. 그 외에는 주로 벌레나 작은 동물을 먹는다.[2] 식육목 중에서 개과의 큰귀여우와 마찬가지로 개미나 흰개미를 먹는 데 특화된 종류. 흰개미가 주식이기 때문에 토굴도 상당히 잘 파며, 흰개미집이 없는 곳에서는 살 수가 없다. 하룻밤 만에 20만에서 30만 마리의 흰개미를 포식해 하루 필요한 단백질을 모조리 충당할 정도다.
이런 식단 때문에 사자, 표범, 흰점배무늬수리, 다른 종의 점박이하이에나 같은 포식자들에게 땅늑대는 그저 어쩌다 사냥하는 먹잇감일 뿐 경쟁 관계가 전혀 아니다.
땅늑대는 이들의 위협을 받으면 은근슬쩍 천적의 뒤로 돌아가 도망가거나, 항문선에서 악취가 나는 액체를 내뿜어 내쫒는 전략을 취한다.
번식기는 지역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가을, 봄이다. 번식기의 수컷은 암컷을 찾아다니고, 암컷은 촤대한 강한 수컷을 선택한다. 교미는 1~4.5시간 정도하며, 식육목 중에선 꽤 오래 하는 편이다.
임신 기간은 89~92일이며, 10~12월에 새끼 2~5마리를 낳는다. 눈을 뜬 채로 태어나며, 무게는 약 200~350g이다. 생후 6~8주엔 부모와 함께 굴에서 보내고, 생후 3개월이 지나면 부모의 감독하에 먹이를 찾기 시작하고, 생후 4개월이 지나면 독립하거나, 다음 번식기까지 어미와 함께 산다. 새끼는 1년 반~2년정도에 성적으로 성숙 한다.
4. 보존 현황
하이에나과 중에서 가장 번성하고 있는 종이다. 주식인 흰개미가 잡아먹기도 쉽고 양도 많고, 경쟁자도 땅돼지 정도인데다, 다른 포식자들에게 공격받는 일도 적다. 적색목록에서 가장 낮은 등급인 최소관심(LC, Least Concern) 등급에 속해있다허나 가축을 습격한다는 오해를 받아 학살 당하는 경우가 있으며, 농부들이 뿌려놓은 쥐약을 먹고 죽기도 한다. 실제 땅늑대가 오히려 목장 울타리를 훼손하는 흰개미를 잡아먹는 '이로운' 동물임을 생각하면 이는 억울한 일인 셈이다.
5. 대중매체
- 케모노 프렌즈에서는 세룰리안에게 공격받아 프렌즈화가 풀리고 동물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