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01 15:23:31

듀얼! 패러렐룬룬 이야기

듀얼! 패러렐룬룬 이야기 (1999)
デュアル!ぱられルンルン物語
파일:듀얼!페러렐룬룬이야기_애니.jp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folding 작품 정보 ▼
장르 SF, 러브 코미디, 하렘
원작 카지시마 마사키
감독 아키야마 카츠히토
조감독 코바야시 타카시(小林孝志)
시리즈 구성 쿠로다 요스케
캐릭터 디자인 오쿠다 아츠시
총 작화감독
메카닉 디자인 테라오카 켄지(寺岡賢司)
메카 총 작화감독 무라키 야스시
미술 감독 사토 마사루(佐藤 勝)
카토 히로시(加藤 浩)
색채 설계 시나지 나나에(品地奈々絵)
촬영 감독 사토 히토시(佐藤 均)
편집 우에마츠 준이치(植松淳一)
음향 감독 키쿠타 히로미(菊田浩巳)
음악 나가오카 세이코우
애니메이션 제작 AIC
제작 파이오니아 LDC
방영 기간 1999. 04. 08. ~ 1999. 07. 01.
1999. 12. 22.14화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WOWOW / (목) 19:00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4화
국내 심의 등급 심의 없음
}}}}}}}}} ||

1. 개요2. 카지시마 마사키 테이스트3. 프롤로그4. 등장인물5. 주제가6. 회차 목록

[clearfix]

1. 개요

카지시마 마사키 원작의 TV 애니메이션. 제작은 AIC. 감독은 아키야마 카츠히토. 방영은 WOWOW. 1999년 4월 ~ 1999년 7월 방영. 방영 당시에는 드물었던 디지털화로 만들어진 애니메이션이었으며, 전 화수는 14화지만 첫 방영시에는 13화까지만 되고 14화는 따로 나중에 방영되었다. 그후 AT-X에서 14화까지 전부 방영된다.

2. 카지시마 마사키 테이스트

낯선 세계에서 어쩔 수 없이 전쟁에 휩쓸린 주인공의 주변에 미녀들이 나타난다. 어떻게든 원 세계로 돌아가려는 주인공과, 미녀들의 공동생활을 코믹하게 그리고 있는 전통적인 카지시마 마사키 테이스트

평행세계, 유적에서 나온 초고대문명의 유산. 특정한 파일럿밖에 움직일 수 없는 결전병기, 사람이 죽지 않는 의례적인 전쟁등의 설정에서, 하렘이 전개되는 본 작품은 1쿨이라는 기간내에 설정의 대부분을 살리지 못하고 끝났으나, 가벼운 러브 코미디로서는 꽤 완성도 높게 되어 있다.

다른 작품(특히 에반게리온)과의 유사성을 지적 받은 것에 대해서는 원작자인 카지시마 마사키는, 동인지에서 당초에는 26화 예정으로 구성되어 있던 내용을 전 13화의 작품으로서 성립시킬 수 없었기 때문에 "이야기를 만든다는 점에서, 필연성과 물질적인 사양을 고려한 결과, 일부는 다른 작품과 유사하다고 해도 신경쓰지 않고 하기로, 결론이 났다"고 답했다.

"천지무용! 양황귀"와의 관계에 대해서는, DVD의 작품해설에서 카지시마 마사키 본인이 설명해 주고 있으며, 여기서 등장하는 발굴병기 진브(ZINV)는 광응익을 쓰기도 하며 나중에 방영된 "천지무용! GXP"에서 발굴병기 진브(ZINV)와 유사한 거대로봇 "카미다케"(카미타케의 한자표기인 神武는 진부로 읽을수도 있다)가 등장하기도 한다.[1] 소설판 제3권에서도 연관성을 명시하고 있다. 심지어 듀얼의 주인공인 카즈키와 다른 인물들이 나오기도 한다.

그리고 GXP소설판은 2부 구성으로 만들어 지는데, 이 2부 분량에서는 본격적으로 천지무용 시리즈와의 연계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것들로 인해, "동일세계관(대선사문명)에서 분기된 패러렐 월드"로서 두 작품을 나누고 있음이 팬들사이에서는 암묵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천지무용 GXP 소설판 13권에서 D의 입으로 직접 언급이 되는데, 듀얼!의 시간대는 천지무용 시리즈의 세계관에서 약 10억년 전의 세계라고 한다. 즉 패러렐 월드가 아니라 시간대가 다른 동일 세계라는 것.

실제로 천지무용 OVA 5기에서 야마다 세이나에게 연관된 하렘멤버 중 일부가 이 듀얼의 인물들의 전생체라는 설정인데 실제 담당 캐릭터들의 성우 역시 듀얼 때의 성우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어쨌든 이렇게 연관되는 내용들 때문에 과거에는 각 작품간의 연관성과 연결고리를 찾으려는 팬들이 많았으나[2], 현재는 세계관 통합으로 인해 각 세계들이 모두 3명의 정신(와슈, 츠나미, 토키미)이 만든 세계라는 공통점과 10억년이라는 간극으로 인해 그냥 대충 넘어가는 분위기가 되어버렸다.[3]

문제는 이렇게 세계관 대통합을 이루며 자신만의 세계를 창조한 것은 좋은데, 정작 작가 본인이 통합 세계관의 작품을 제작하는게 너무 느리다는 점일 것이다. 뭐 소설은 그렇다 쳐도 애니메이션의 경우엔 제작비 문제 등으로 쉽게 만들긴 힘들테니 이해를 못 할 부분은 아니겠지만, 팬들 입장에서는 이제나 저제나 새 내용 나오는 거 없을까 하며 기다리는 고통이 상당한지라...

3. 프롤로그

주인공 요츠가 카즈키의 부친으로 짐작되는 공사장 일꾼("요츠가"라고 불린다)이 건물 터파기 공사 중에 유적을 발견하는데, 일본도 그다지 다르지 않은지, 귀찮게 됐다며 현장소장은 유적을 무시하라고 지시한다. 여기서, 출토된 유적의 열쇠를 챙기는 요츠가, 유적의 열쇠를 흙을 실어내는 덤프트럭에 던져버리는 요츠가가 나뉜다. 그리고 22년 후, 열쇠를 버린 요츠가의 시대에서 요츠가 카즈키는 환상을 본다.

고교생인 요츠가 카즈키는 자신에게만 보이는 거대로봇의 환영때문에 그것을 인터넷 소설로 쓰고 있었고 주변에서는 이상한 사람 취급을 받고 있었다. 그러던 어느날, 그런 별난 소문을 들은 사나다 미츠키의 눈에 들고, 어쩌다 보니 패러렐 월드, 아마도 22년 전에 열쇠를 챙긴 요츠가의 세계로 날아가게 된다.

패러렐 월드에서 고생하다가, 패러렐의 사나다 박사를 만나 도움을 청하는 카즈키. 그러나 이쪽의 사나다 박사는 전쟁 때문에 연구를 진척시키지 못했다.

결국 전쟁을 끝내기 위해서 어쩔 수 없이, 똑같이 이쪽 세계로 날아온 미츠키와 함께, 카즈키는 싸우기 시작한다.

4. 등장인물

5. 주제가





OP 「DUAL」
ED 「Real」



「BS디지털 페어에서 다나카 리에토요구치 메구미의 라이브 버전.」

6.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 각본 콘티 연출 작화감독 방영일
Act.1 ライフシンパシィ
라이프 심파시
쿠로다 요스케 아키야마 카츠히토 벳쇼 마코토 키타지마 노부유키
(北島伸幸)
사토 미치오
(佐藤道雄)
1999.04.08.
Act.2 マイ・ホーム
마이 홈
와다 헤이사쿠
(わだへいさく)
사카이 신지
(酒井伸次)
이토 요시아키
(伊藤良明)
1999.04.15.
Act.3 イリーガル・ガイ
일리걸 가이
시라네 히데키
(白根秀樹)
스즈키 토시마사 모리오카 히데유키 1999.04.22.
Act.4 ノーディスガイズ
노 디스가이즈
코바야시 타카시
(小林孝志)
이와사키 요시아키 노나카 타쿠야
(野中卓也)
핫토리 켄지 1999.04.29.
Act.5 キャンパス・ライフ
캠퍼스 라이프
나카노 무츠미
(中野 睦)
키무라 신이치로 사카이 신지 코하라 마코토
(小原 充)
1999.05.06.
Act.6 イントリーグ
인트리그
시라네 히데키 아키야마 카츠히토 코마이 카즈야
(駒井一也)
이토 요시아키
키타지마 노부유키
1999.05.13.
Act.7 ハードケース
하드 케이스
코바야시 타카시 스즈키 토시마사 타나카 마사키
(田中誠輝)
코노 요시타카
(河野悦隆)
1999.05.20.
Act.8 MITSUKI 쿠로다 요스케 벳쇼 마코토 사토 미치오 1999.05.27.
Act.9 エスケープ
이스케이프
나카노 무츠미 이와사키 요시아키 와다 헤이사쿠 시키시마 히로히데
(敷島博英)
타카오카 준이치
(高岡淳一)
1999.06.03.
Act.10 リパトリエート
리버트리에이트
시라네 히데키 사카이 신지
아키야마 카츠히토
사카이 신지 사토 미치오
핫토리 켄지
1999.06.10.
Act.11 リアル
리얼
코바야시 타카시 키무라 신이치로 요네다 미츠히로
(米田光宏)
코하라 마코토
이토 요시아키
1999.06.17.
Act.12 アーデント・デザイア
어덴트 디자이어
나카노 무츠미 마키노 유키히로
(牧野行洋)
와다 헤이사쿠
이즈미 아키히로
(泉 明宏)
와다 헤이사쿠
타카오카 준이치
벳쇼 마코토
1999.06.24.
Act.13 ザ・ワールド
더 월드
쿠로다 요스케 아키야마 카츠히토 오쿠다 아츠시
사토 미치오
1999.07.01.
Act.14 ファイナル・フロンティア
파이널 프론티어
아키야마 카츠히토
와다 헤이사쿠
와다 헤이사쿠
이즈미 아키히로
코노 요시타카
키타지마 노부유키
벳쇼 마코토
1999.12.22.


[1] GXP의 10여년 후를 다룬 소설인 파라다이스 워에서는 대놓고 ZINV라고 부르고 있다[2] 예를 들자면 등장하는 특정 문양이나 장식의 유사성, 듀얼의 기체들과 이세계의 성기사 이야기의 기체들의 조종간 모양, 로봇형 머신의 파일럿들은 대부분 여성이라는 점 등등.[3] 문양이나 장식의 유사성이야 같은 신들이 만들었으니 그런거고, 다른 작품들과는 달리 이세계의 성기사 이야기에서 여성 파일럿이 많은 이유는 그냥 과거의 전쟁에서 남성 성기사들이 너무 많이 죽어서 수가 급감해 버린 탓이지 여성만 파일럿이 되는 것도 아니라는 것이 밝혀졌고, 조종간의 경우엔 그냥 과거 판타지 요소를 포함한 로봇 애니메이션에서 자주 쓰이던 원형 조종간을 사용한 것 뿐(심지어는 리얼 로봇계의 터줏대감인 건담 시리즈에서도, 극장판 역습의 샤아 중 암 레이커라는 원형의 조종간이 등장. 이쪽은 설정이 다르긴 하다) 작품간의 유사성을 위해 나온 것은 아니라고 한다.[4] 정확한 이름은 언급하지 않지만, 각각 미키 슈타인베크와 키르셰로 보이는데, 이 둘은 각각 아스트랄(영혼)이 생겨 인권을 인정받은 인공지능 들이다. D역시 아스트랄을 바이오로이드에 봉인하고 있다는 걸 생각하면...[5] 미키 슈타이베크(사나다 미츠키), 키르셰(라라 미츠키)는 아스트랄을 가진 A.I, 후쿠(야요이 슈바엘)는 함선제어용 컴퓨터유닛 융합형 인공생명체, D는 오리지널 D의 유사인격 A.I[6] 천지무용 본편에선 하쿠비 와슈를 맡았는데 각 작품간에 거의 없다시피 한 겹치기 출연자다.[7] 원작자인 카지시마 마사키의 작품에서 나이 많은 여성들이 자주 이러는 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