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1 08:45:30

동철 이음 이의어

동철이음어에서 넘어옴
1. 개요2. 예
2.1. 한국어
2.1.1. 장단음 차이2.1.2. 경음화 현상2.1.3. 둘 다 해당되는 경우2.1.4. ㄴ 첨가2.1.5. 음성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어휘
2.2. 영어
2.2.1. 굴절/품사 전성
2.2.1.1. 강세에 따른 발음 변화
2.3. 일본어2.4. 중국어2.5. 아랍어2.6. 러시아어
3. 관련 개념4. 관련 문서

1. 개요

동철 이음 이의어(, heteronym)는 글자는 같지만 소리가 다르고 이에 따라 뜻도 다른 단어를 의미한다. 주로 표기 심도가 깊은 언어에서 볼 수 있다.

2.

2.1. 한국어

2.1.1. 장단음 차이


이들 예는 오늘날 한국어의 장단음 구별 소멸 경향에 따라 동음이의어화가 진행되고 있다.

2.1.2. 경음화 현상


참고로 한자어와 고유어 그리고 혼종어(한자어와 고유어가 결합된 경우)에서 동철 이음 이의어가 여럿 나타난다. 복합어에서의 후행 음절 경음화 양상을 보면 후행 음절이 고유어일 때보다 한자어일 경우가 더 많다.[5]

2.1.3. 둘 다 해당되는 경우

2.1.4. ㄴ 첨가

2.1.5. 음성학적으로 완전히 다른 어휘

2.2. 영어

2.2.1. 굴절/품사 전성

2.2.1.1. 강세에 따른 발음 변화
주위 음소 환경에 따른 형태소의 자음 발음 변화가 심한 한국어와 대조적으로 영어는 강세에 따라 형태소의 모음 발음이 잘 변한다. 발음보다는 형태소를 보존하는 표기를 쓰는 영어의 특성상 같은 철자임에도 강세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른 동철 이음 이의어가 있다. 대개 동사일 때 강세가 뒤 음절에 위치하는 경향이 있다.

2.3. 일본어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음독으로 혼동하기 쉬운 훈독
,
,
,
,
,

같은 한자라도 훈독(+ 숙자훈), 오음, 한음, 당음, 아테지 등 어떻게 읽느냐에 따라 뜻이 달라진다. A라고 쓰고 B라고 읽는다 같은 개념도 여기서 파생된 것.

2.4. 중국어

한문을 배울 때 '왜 이 한자훈음이 두 개이지?' 하는 질문을 떠올렸을 것이다. 문백이독 참조.

2.5. 아랍어

아랍어는 아브자드의 특성상 일반적으로 단모음을 표기하지 않기 때문에[12] 철자가 같더라도 단모음 발음이 다른 경우가 많다.

2.6. 러시아어

러시아어는 강세 유무에 따라 모음의 발음이 달라진다. 따라서 철자가 같더라도 강세 위치가 다르면 발음이 달라진다.

3. 관련 개념

표기와 음성, 의미의 관계로 다음의 관련 부류를 형성할 수 있다.

아래 네 개념은 한 단어의 변이형이다.

4. 관련 문서



[1]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다.[2] 구속 영장, 군대 영장[3] 학원 원장, 유치원 원장 등[4] 회계 원장, 소송 원장 등[5] 김홍석, "후행 음절 고유어의 硬音化에 대하여 - 이음절의 同綴異音語를 대상으로 -", 한어문교육 제13집, 2005년 1월, pp.147-159. 단, 이 논문의 문제점은 다양한 음운론적 변인을 통제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예컨대, 한국어 음운론에서는 한자어에만 적용되는 'ㄹ-경음화'라는 현상이 있는데, ㄹ 뒤에 나오는 치경음을 무조건적으로 경음화하는 것이다.[6] ㄹㄴ이 ㄹㄹ로 동화함.[7] 후자는 하이픈을 넣어 re-sign으로 적을 수 있다.[8] 라는 한자를 따로 쓰기도 한다.[9] 정체자의 에 해당[10] 정체자의 에 해당[11] 정체자의 에 해당[12] 단어의 실제 의미는 자음에 있는 데다 모음이 적기 때문에 통생략해도 불편이 적은 것. 모음을 명시하는 곳은 쿠란이나 초등학교 교과서 등 한정적이다.[13] 후자는 사잇소리가 개재된 것이다. 주로 동남방언에서 자주 일어나며 동남방언에선 '금요일'도 종종 [금뇨일\]이 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