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03:37:18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도쿄 스타디움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사라진 야구장에 대한 내용은 도쿄 스타디움(야구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J1리그 로고(가로형).svg
참가 구단별 홈구장 (2024)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파일:가시마 앤틀러스 로고.svg
산쿄프론티어
가시와 스타디움

파일:가시와 레이솔 로고.svg
도도로키
육상 경기장

파일:가와사키 프론탈레 로고.svg
노에비아 스타디움
고베

파일:비셀 고베 로고.svg
상가 스타디움
by KYOCERA

파일:교토 상가 FC 로고.svg
도요타
스타디움

파일:나고야 그램퍼스 로고.svg
덴카 빅 스완
스타디움

파일:알비렉스 니가타 로고.svg
에키마에 부동산
스타디움

파일:사간 도스 로고.svg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파일:FC 도쿄 로고.svg
야마하 스타디움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파일:주빌로 이와타 로고.svg
레몬 가스 스타디움
히라츠카

파일:쇼난 벨마레 로고.svg
파나소닉 스타디움
스이타

파일:감바 오사카 로고.svg
요도코 사쿠라
스타디움

파일:세레소 오사카 로고.svg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파일:도쿄 베르디 로고.svg
닛산 스타디움
* NHK 스프링 미츠자와 경기장
파일:요코하마 F. 마리노스 로고.svg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파일:우라와 레드 다이아몬즈 로고.svg
베스트 덴키
스타디움

파일:아비스파 후쿠오카 로고.svg
에디온 피스 윙
히로시마

파일:산프레체 히로시마 로고.svg
마치다
기온 스타디움

파일:FC 마치다 젤비아 로고.svg
다이와하우스 프레미스트 돔
* 삿포로 아쓰베쓰공원 경기장
파일:홋카이도 콘사돌레 삿포로 로고.svg
* 표시는 제2 홈구장
J2리그 구단별 경기장 ▶
}}}}}} ||
파일:external/www.shimizu-group.co.jp/askanri0001.jpg
파일: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로고.svg
FC 도쿄도쿄 베르디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味の素スタジアム
<colbgcolor=#27348b><colcolor=#fff> 개장 <colcolor=black>2001년 3월 10일
공식 명칭 도쿄 스타디움 (Tokyo Stadium)
소재지 일본 도쿄도 쵸후시
(東京都調布市西町376-3)
운영 도쿄 스타디움 주식회사
건설 비용 307억
그라운드 크기 105m×68m
그라운드 잔디 Hybrid Grass
디자이너 니켄세케이
홈 구단 FC 도쿄 (J1리그)
도쿄 베르디 (J1리그)
도시바 브레이브 루퍼스 도쿄 (재팬 럭비 리그 원 디비전 1)
수용 인원 49,970석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경기장 구조
2.1. 스탠드2.2. 그라운드2.3. 보조 그라운드2.4. 서경기장2.5. 기타 부속 시설
3. 교통편
3.1. 철도3.2. 버스
4. 여담5.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2001년에 개장한 일본 도쿄의 다목적 경기장.

원래 명칭은 도쿄 스타디움이나 2003년 식품기업 아지노모토명명권을 취득한 이래 현재의 명칭으로 사용되고 있다. 현재 적용 중인 계약은 2019년 3월부터 5년간 11억 5천만 엔 규모이며, AFC 챔피언스 리그 등 명명권이 인정되지 않는 국제 대회에서는 그대로 도쿄 스타디움으로 지칭된다.

사실 도쿄2002 FIFA 월드컵 한국/일본의 개최도시가 정식으로 아니었지만[1] 사실상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전용 구장이 된 국립 카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을 대체하기 위해 지어진 것이다. 건설 부지는 인접한 조후 비행장(調布飛行場)의 부지 일부를 전용한 것으로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이외에도 체육시설이 밀집한 무사시노모리 공원이 정비되었다. FC 도쿄가와사키시에서 이전해 온 도쿄 베르디가 같이 쓰는 홈구장으로 2001년 3월 10일 이들간의 더비 매치가 개장 행사로 치러졌다.

원래 육상 경기장 목적으로 건설된 시설이지만 2011년까지는 트랙이 설치되지 않아 구기장으로 활용되었다. 2013년 국민체육대회를 목표로 트랙이 설치되었으나 사실상 그 외에는 육상 트랙이 사용되지 않고 연중 인조잔디가 덮여 풋살 필드로 사용하고 있다.[2] 육상경기장 인증 또한 2017년에 만료되어서 공인 대회를 개최할 수 없다. 다만 2020 도쿄 올림픽패럴림픽 이후 주경기장인 도쿄 신국립 경기장을 구기장으로 개조할 예정이어서 아지노모토의 육상 경기장 공인을 부활시킬 가능성도 있다.

2. 경기장 구조

2.1. 스탠드

스탠드는 상층(20,600석), 하층(29,370석)의 2층으로 이루어져 합계 49,970석을 둔다. 각 층 모두 편의적으로 메인·백·남쪽·북쪽 사이드로 구분되고 있지만, 구조상은 일체화하고 있다. 스탠드 외주에는, 하층 스탠드 최상단에 직결한 개방형의 콘코스 가 설치되어, 특별히 제한을 마련하지 않는 한은 콘코스를 경유하여 스타디움을 1주할 수 있다. 또한 콩코스에서 상층 스탠드까지 총 20곳의 계단을 이용한다.

상층 스탠드의 거의 전체와 하층 스탠드의 상단은 지붕으로 덮여 있습니다. 지붕의 소재는 메인 스탠드 및 백 스탠드 부분이 반투과의 테플론 소재이지만, 남북 양쪽 사이드 스탠드 부분에는 전체 투과 폴리 카보네이트 판을 채용하여 천연 잔디에 햇빛을 확보 하고 있다 . 메인 스탠드에는 페어 시트, 초대석, 기자석 이외에 VIP실, 특별 관람실, 방송 부스, 리셉션 홀 등의 시설이 있다. 대형 영상장치는 남북 양쪽 사이드 스탠드에 2001년 개장부터 2011년까지 파나소닉제의 아스트로비전이 설치되어 있었지만, 2012년 3월부터는 미쓰비시전기제의 오로라 비전 으로 변경 되고 있다. 또, 2019년부터 메인 스탠드측과 백 스탠드측에, 세로 0.96m×가로 230.6m의 리본 비전이 설치되어 있다.

스탠드의 외측은, 주회 차로가 되어 있어, 그것에 따르는 형태로, 거의 1주가 주차장이 되고 있다. 백스탠드 아래에는 도쿄도 교육청 조후 청사가 있으며, 체육관도 있다. 정면 입구는 지하와 1층 2층으로 나뉘어 있으며, 1층 입구 옆에는 방재센터가 존재한다.

2.2. 그라운드

107m×71m의 천연 잔디 필드 주위에 400m×9레인의 전천후형 포장 트럭을 갖는다.

트럭 정비가 개시된 것은 개장으로부터 10년이 경과한 2011년의 것으로, 이것은 일본 육련의 제1종 공인을 얻기 위해서 필요한 제3종 육상 경기장 의 정비가 ​​늦었기 때문이었다 (후술). 트럭 정비에 있어서는, 우선 천연 잔디의 주위에 고정해 부설되어 있던 인공 잔디를 탈착식으로 개수해, 2012년에 도쿄 도내에서는 국립 카스미가오카 경기장 육상 경기장에 이어 2 개소 가 되는 일본 육연 제1종 공인의 육상 경기용 트럭(1주 400m, 직선 100m9레인 국제 육상 경기 연맹 <IAAF> 클래스 2 취득 예정)의 부설이 행해졌다.

육상 트럭이 정비된 후에도 육상 경기장으로 사용될 기회가 적고 평소에는 육상 트럭 위에 인공 잔디를 깔고 있다. 육상경기장으로 사용하는 경우는 트럭에 깔고 있는 인공잔디를 떼어내는데 적어도 3일간 정도(그 반대도 마찬가지)의 시간과, 인건비가 든다는 이유가 있기 때문에, 육상경기 대회를 실시하는 경우 에는 이용료가 싼 서경기장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조후시는 도쿄 신문 의 취재에 대해, 메인 스타디움은 비싸기 때문에, 시 레벨의 대회는 서브 그랜드(서경기장)로 충분하다라고 하는 한편, 도쿄도 육상 경기 협회는 국제 대회를 실시할 수 있는 경기 장소이므로, 육상 경기장으로서도 사용하기 쉽게 해 주었으면 한다”라고 하고 있다.

그 후 당 경기장은 2017년 2월 28일 한정으로 일본 육연 제1종 공인이 만료 되고 있다. 2020년 도쿄 올림픽 · 도쿄 패럴림픽 종료 후에 동 경기장에서 육상 경기용 트럭을 철거하고 구기 전용 경기장으로 개수하는 구상이 있어, 그 경우에 당 경기장의 제1종 공인을 부활시키기 위한 재정비를 하는 방안이 보도되고 있다.

2.3. 보조 그라운드

메인 스타디움의 동쪽에 2001년 개장. 명명권에 의해 아미노 바이탈 필드라고 호칭되고 있다.

원래는 일본 육연 제3종 공인 육상 경기장으로서 정비 예정이었지만, 용지 확보가 곤란해진 것으로부터 구기 전용이 되어, 현재는 미식 축구 경기장으로서의 사용을 염두에 전면 인공 잔디의 구 기장 되어 있다.

2019년 11월부터 AC 밀란 아카데미 도쿄의 메인 그라운드가 되고 있다.

2.4. 서경기장

메인 스타디움의 서쪽에 2012년 4월 1일 에 개설된 육상 경기장.

일본육상경기연맹 제3종 공인
트럭:400m×8레인(전천후형 포장)
필드:106m×69m(천연잔디)
관객석:메인 스탠드 약 800석, 백 스탠드 잔디석 있음
조명:4기
메인 스탠드동에는 남북에 각각 탈의실과 대회 본부를 설치할 수 있는 회의실·덕아웃이 설치되어 있다.
천연잔디의 피치를 가지고, 적당한 관객석수이기 때문에 일본 축구 리그 , 간토 대학 축구 리그 , 일본 여자 축구 리그 , 관동 축구 리그 등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2012년도부터 닛테레 베레사 , 스피다 세타가야 FC 등이 경기를 개최하고 있다. 2019년에는 2020년 도쿄 올림픽의 근대 5종 경기 리허설 대회 근대 5종 월드컵 ( 영어판 ) 파이널의 펜싱 보너스 라운드, 장애 비월과 레이저 런이 행해졌다.

2003년의 아지노모토 주식회사에 의한 명명권 취득에 의해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서경기장의 명칭이 주어지고, 아지 스타 서의 약칭이 이용되고 있었다. 나중에 국립 니시가오카 축구장 (도쿄도 기타구 )도 아지노모토가 명명권을 취득해 아지노모토 필드 니시가오카의 명칭을 이용하게 되어, 이쪽의 약칭이 아미피니시가 된 것으로 혼란 스러워 졌다 3] 때문에, 아미 피니시(니시가오카)를 소관하는 국립 스포츠 과학 센터 가 방문자에게 주의 환기를 하고 있었다. 또한, 본 경기장의 명칭은 2018년 10월의 명명권 계약 갱신시에, 2019년 3월 이후의 명명권 명칭을 AGF 필드로 하게 되었다.

2.5. 기타 부속 시설

포켓 가든(음식점을 둔 푸드 코트)
풋살 용 시설(미즈노 풋살 플라자 조후, 동미의 소 스타디움으로서 운영)
다목적 광장 아지펜 광장(스타디움 북측, 2022년 3월까지는 오니기리마루 광장, 그 이전의 2019년 6월까지는 브렌디 광장이라고 칭하고 있었다. )
이벤트 시에는 임시 버스 승강장이 설치되어 셔틀 버스가 운행되는 경우가 있다. 이 광장에는 오토바이 주차장도 설치된다.
다목적 광장 아지판다 광장(스타디움 남쪽, 2013년 2월까지는 칼피스 광장이라고 칭하고 있었다.)
상업 시설 건물
유로 스포츠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가게가 입주. FC 도쿄와 도쿄 V의 공인 상품도 판매하고 있다.
주차장(본체 아래에 보통 승용차 400대, 북측에 동 440대가 주차 가능)

3. 교통편

3.1. 철도

신주쿠역에서 케이오선을 탑승, 토비타큐역에서 하차하면 된다. 토비타큐역에서 도보로 5분이면 도착한다.

세이부 타마가와선을 탑승하면 타마역(도쿄외대)에서 하차하면 된다. 도보로 약 30분 소요된다.

3.2. 버스

게이오 조후역 북쪽 출구 및 세이부 타마가와선 다마역에서 게이오 버스 동쪽「조 33」 「비 01」 계통에서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입구」 「아지노모토 스타디움 남쪽 출구」버스 정류장 하차 바로.
게이오 조후역 북쪽 출입구 및 JR 동일본 중앙선 무사시 코가네이역 남쪽 출구에서 게이오 버스 중앙 '타케 91' 계통으로 '하기노하라 주택' '정수장' 버스 정류장 하차, 도보 약 6분(약 500m).
게이오 조후역 북쪽 출입구, JR 동일본 중앙선 ·세이부 타마 가와선 무사시 사카에역 남쪽 출입구 및 오다큐 에에역 북쪽 출구에서 오다큐 버스 “경계 91” 계통으로 “하기노하라 주택”“정수장” 버스 정류장 하차, 도보 약 6분(약 500m).

이벤트 개최시에는 게이오 버스 히가시·오다큐 버스가 키치죠지역 (JR 동일본 중앙선 · 게이오 이노 카시라 선 ), 미타카역 ( JR 동일본 중앙선 ), 무사시 사카이역, 에에역, 무사시 코가네이 역, 조후역, 다마역의 각 역과 셔틀 버스가 운행될 수 있다. J리그 공식전 개최 시에는 스타디움에서 신주쿠역까지의 직통 버스가 운행된다(경기 종료 후만, 사전판매·정원제)

4. 여담

파일:external/blog-imgs-11.fc2.com/2011060600462748c.jpg

5. 둘러보기

파일:2019_Rugby_World_Cup_logo.png
2019 럭비 월드컵 일본 경기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요코하마 시즈오카 쵸후 토요타
파일:Nissan Stadium_(Yokohama).jpg
파일: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외부 이미지.jpg
파일:external/www.shimizu-group.co.jp/askanri0001.jpg
파일:stadium-07.jpg
<rowcolor=#5D6266> 요코하마 국제경기장
(72,327석)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50,889석)
도쿄 스타디움
(49,970석)
도요타 스타디움
(45,000석)
삿포로 오이타 고베 히가시오사카
파일:삿포로돔1.jpg
파일:1024px-OitaStadium1.jpg
파일:kobe_wc.jpg
파일:Higashiosaka_Hanazono_Rugby_Stadium.jpg
<rowcolor=#5D6266> 삿포로 돔
(41,410석)
오이타 스타디움
(40,000석)
고베 미사키 스타디움
(30,132석)
하나조노 럭비장
(24,100석)
구마모토 쿠마가야 후쿠오카 카마이시
파일:에가오 겐코 스타디움.jpg
파일:구마가야 럭비 그라운드.jpg
파일:LEVEL-5 stadium_spo_02.jpg
파일:2019.06.27droneDJI_0024mini_R.jpg
<rowcolor=#5D6266> 구마모토 스타디움
(32,000석)
쿠마가야 럭비장
(24,000석)
후쿠오카 하카타노모리 스타디움
(20,049석)
카마이시 우노스마이 부흥 경기장
(16,020석)
◀ 2015 2023 ▶
}}}}}}}}}}}} ||

파일:2020 도쿄 올림픽 로고.svg
2020 도쿄 올림픽 축구 경기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요코하마시 도쿄도 사이타마시
요코하마 국제종합경기장
(72,327석)
도쿄 스타디움
(49,970석)
사이타마 스타디움 2002
(63,700석)
가시마시 미야기현 삿포로시
이바라키현립 가시마 사커 스타디움
(42,000석)
미야기 스타디움
(49,133석)
삿포로 돔
(41,484석)
}}}}}}}}} ||



[1] 공동 개최국인 대한민국은 상징적 의미를 강화하기 위해 대회 단독 유치를 추진할 때부터 애시당초 서울특별시를 개최도시로 결정했고 우여곡절 끝에 서울월드컵경기장을 지었다. 반면 일본은 수도인 도쿄를 배제하는 대신 도쿄 인근 도시인 요코하마시에서 결승전을 치르기로 하고 닛산 스타디움을 건립했다.[2] 인조잔디를 깔거나 걷어내는 데 3일이 걸린다고 한다. 삿포로 돔이 축구와 야구 레이아웃을 오가는 데 10~15시간이 걸리는 데 비해서도 극히 오래 걸리는 것인데, 물론 이는 삿포로 돔이 초기 설계부터 상시 전환을 고려해 관리되고 있기 때문에 효율이 높기 때문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