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가 구단별 홈구장 (2024)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 가고시마시 시라나미 스타디움 | 야마나시현 JIT 리사이클 잉크 스타디움 |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 | 쇼다 쇼유 스타디움 |
트랜스코스모스 스타디움 나가사키 * 피스 스타디움 커넥티드 바이 소프트뱅크 | 간세키 스타디움 도치기 * 도치기 그린 스타디움 | 나루토·오오츠카 스포츠 파크 포카리스웨트 스타디움 | 에히메현 닌지니아 스타디움 | |
후쿠다 전자 아레나 | K's 덴키 스타디움 미토[br] | 유아텍 스타디움 센다이 | IAI 스타디움 니혼다이라 | |
아키타현 소유 스타디움 | ND 소프트 스타디움 | 유신 미라이후 스타디움 | 후지에다시 후지에다 축구장 | |
오이타현 레조낙 돔 오이타 | 시티 라이트 스타디움 | 하와이안즈 스타디움 이와키 | NHK 스프링 미츠자와 경기장 | |
* 표시는 제2 홈구장 | ||||
◀ J1리그 구단별 경기장 | J3리그 구단별 경기장 ▶ |
로아소 구마모토 | |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 えがお健康スタジアム | |
<colbgcolor=#cc0000><colcolor=#fff> 위치 |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히가시구 히라야마마치 2776 |
개장 | 1998년 3월 |
소유 | 구마모토현 |
운영 | 구마모토현 스포츠진흥사업단 |
그라운드 | 천연잔디 (107× 70m) |
피치크기 | 105m × 68m |
조명 | 4기 |
전광판 | 오로라 비전 |
설계자 | 니켄세케이 |
홈팀 | 로아소 구마모토 (J리그) |
수용인원 | 32,000명 |
[clearfix]
1. 개요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 히가시구 히라야마마치 구마모토현민 종합운동공원 내에있는 육상 겸 구기 경기장이다. 구마모토시 히가시구에 본사를 두고 에가오가 명명권을 취득하여 2017년 2월부터 "에가오 겐코 스타디움"의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1998년에 준공된 일본육상경기연맹 제 1종 공인 경기장으로, 당시 일본육상선수권대회의 경기장으로 사용되고 다음 해인 1999년 제 54회 국민체육대회[1]의 주경기장으로 사용되었다.
2015년 3월 2일에 2019 럭비 월드컵의 개최 구장으로 발표되었다.
2016년 4월 14일부터 발생한 구마모토 지진으로 인해 경기장이 구호 물자 집적 거점으로 지정되며 일시적으로 경기를 치를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지진으로 경기장 자체도 조명 시설, 관중석 일부가 손상을 입었다. 같은 해 7월에 안전 확인 작업이 완료돼 다시 경기가 가능해졌지만 일부 시설은 제한이 있었다. 애칭은 KKWING 이다.
2. 둘러보기
2019 럭비 월드컵 일본 경기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요코하마 | 시즈오카 | 쵸후 | 토요타 |
<rowcolor=#5D6266> 요코하마 국제경기장 (72,327석) | 시즈오카 스타디움 에코파 (50,889석) | 도쿄 스타디움 (49,970석) | 도요타 스타디움 (45,000석) | |
삿포로 | 오이타 | 고베 | 히가시오사카 | |
<rowcolor=#5D6266> 삿포로 돔 (41,410석) | 오이타 스타디움 (40,000석) | 고베 미사키 스타디움 (30,132석) | 하나조노 럭비장 (24,100석) | |
구마모토 | 쿠마가야 | 후쿠오카 | 카마이시 | |
<rowcolor=#5D6266> 구마모토 스타디움 (32,000석) | 쿠마가야 럭비장 (24,000석) | 후쿠오카 하카타노모리 스타디움 (20,049석) | 카마이시 우노스마이 부흥 경기장 (16,020석) | |
◀ 2015 | 2023 ▶ |
[1] 현재는 국민스포츠체전으로 이름이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