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05:48:44

데이비드 모라비아

이름 데이비드 모라비아
David Moravia
출생 미상
스코틀랜드 왕국 하이랜드 모레이 지방
사망 1326년 1월 10일 또는 1월 20일 (향년 미상)
스코틀랜드 왕국 하이랜드 모레이 지방
형제 보스웰 영주 윌리엄 모레이
직위 모레이 주교

1. 개요2. 생애

1. 개요

스코틀랜드 왕국주교. 제1차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에서 잉글랜드 왕국의 지배로부터 스코틀랜드의 독립을 쟁취하기 위해 헌신한 종교적 지도자다.

2. 생애

스코틀랜드 북동부 모레이 지방의 영향력 있는 귀족 가문 출신으로, 보스웰 영주 윌리엄 모레이의 형제이자 1297년에 시작된 스코틀랜드의 잉글래드 지배에 대한 반란을 이끈 지도자 중 한 명인 앤드류 모레이의 삼촌이다. 그가 성직자로서 경력을 시작한시기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 없다. 1299년 초 여러 성직자를 재치고 베드녹 영주 존 코민 3세, 캐릭 백작 로버트 브루스와 함께 스코틀랜드 수호자 후보로 거명되었을 때, 잉글랜드 북부 노샘프턴셔주에 있는 클라이즈데일과 보스웰의 사제였으며, 엘긴 대성당의 캐논(Canon: 성가대 지휘자)이었다. 당시 스코틀랜드 교회는 교황청에 직접 종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는 자신의 선출을 확인하기 위해 로마 교황청으로 여행했다.

그러나 교황 보니파시오 8세는 알려지지 않은 부정 행위로 인해 선거가 무효라고 선거했다. 데이비드는 사임한 뒤 교황에 의해 모레이 주교로 선임되었고, 1299년 6월 28일 마테오 다콰스파르타 추기경에 주교로 성임되었다. 같은 날, 교황은 캔터베리 대주교 로버트 윈첼시에게 보내는 교황 칙서 <스키무스 필리(Scimus Fili)>를 발표해 잉글랜드 왕국의 스코틀랜드 강점을 비난했다. 1304년 스코틀랜드 귀족과 성직자 대부분이 잉글랜드 국왕 에드워드 1세에게 복종했지만, 데이비드 역시 복종했는지는 기록이 미비해 알 수 없다.

1306년 2월, 캐릭 백작 로버트 브루스는 그와 함께 스코틀랜드 수호자를 역임한 적이 있었던 베드녹 영주 존 코민 3세를 살해했다. 그 해 3월, 그는 스콘에서 스코틀랜드 국왕 로버트 1세로서 대관식을 거행했다. 데이비드는 대관식에 참석한 주교 중 한 명이었다. 이후 데이비드는 설교를 통해 로버트 1세에 대한 지지를 열렬히 촉구하면서, 로버트 1세와 함께 잉글랜드에 맞서는 것은 예루살렘사라센과 싸우는 것만큼 중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1306년 6월 메스번 전투에서 로버트 1세가 참패한 뒤, 로버트 1세는 스코틀랜드 서부로 피신했다가 헤브리디스 제도에 은거했고, 데이비드는 북쪽으로 달아나 당시 노르웨이의 지배를 받고 있던 오크니 제도에 숨었다. 데이비드가 다스리던 모레이 주교령은 잉글랜드에 귀순한 로스 백작 윌리엄 2세에 의해 철저히 약탈되었다.

1306년 8월, 에드워드 1세는 데이비드가 존 코민 3세 살인 사건에 연루되었다고 규탄했다. 1307년 3월, 에드워드 1세는 노르웨이 국왕 호콘 5세에게 데이비드를 넘기라고 요구했지만 거부당했다. 1307년 로버트 1세가 스코틀랜드로 돌아와서 잉글랜드 토벌대를 성공적으로 격파하면서 영역을 확장하자, 데이비드는 즉시 돌아와서 로버트 1세를 적극적으로 지지했다. 1308년, 로버트 1세는 스코틀랜드 북부 대부분을 장악했고, 로스 백작도 10월에 귀순했다. 데이비드는 패배한 로스 백작에게 모레이 주교령을 약탈한 데 대한 보상을 줄 때까지 파문하겠다고 위협해 보상을 받아냈다. 1309년 3월, 데이비드는 로버트 1세가 스코틀랜드 국왕으로서 처음으로 소집한 새인트앤드루스 의회에 참석했다. 1312년, 그는 1266년에 체결된 노르웨이와 스코틀랜드의 퍼스 평화 협약을 갱신한 인버네스 조약에 서명했다.

데이비드는 1313년부터 자기 교구에 있는 가난한 학생 4명이 파리 대학교에서 공부하는 데 드는 비용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기로 했다. 1325년 자기 개인 재산을 사용하여 프랑스 그리시쉬르센 인근의 토지를 취득하고 이에 상응하는 기부금을 냈다. 그 결과 파리의 콜레주 데 에코세 학교가 탄생했다. 1310년대 말, 교황 요한 22세는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사이에 현재 진행 중인 전쟁을 빝판했다. 1319년 11월, 데이비드는 교황으로부터 1320년 5월 1일까지 교황청에 출두하여 덤프리스 교회에서 존 코민 3세를 살해해 파문당했던 로버트 1세를 지지한 이유를 설명하라는 요구를 받았다. 그는 다른 주교들과 마찬가지로 요청을 무시했고, 1320년 6월 16일 세인트앤드루스 주교 윌리엄 램버튼, 둔켈드 주교 윌리엄 싱클레어와 함께 교황에 의해 파문되었다. 이 교회 처벌은 1323년에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사이에 장기 휴전이 체결된 후인 1324년에 해제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그는 1326녀 1월 10일 또는 1월 20일에 사망했다고 전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