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9:31:40
유희왕 의 상급 효과 몬스터 카드.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데스 볼스트걸프, 일어판명칭=デス・ヴォルストガルフ, 영어판명칭=Des Volstgalph, 레벨=6, 속성=땅, 종족=드래곤족, 공격력=2200, 수비력=1700, 효과1=①: 이 카드가 전투로 상대 몬스터를 파괴하고 묘지로 보냈을 경우에 발동한다. 상대에게 500 데미지를 준다., 효과2=②: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자신 또는 상대가 일반 / 속공 마법 카드를 발동할 때마다\, 턴 종료시까지 이 카드의 공격력은 200 씩 올린다.)] ①의 효과는 상대 몬스터를 전투로 파괴시 효과 데미지를 주는 유발 효과 . 데미지 화력은 파이어 볼 수준이라 미묘하다. ②의 효과는 일반 마법 / 속공 마법을 발동할 때마다 턴 종료시까지 공격력을 강화하는 지속 효과 . 상승 수치 역시 미약하긴 마찬가지인데다, 턴 종료시까지밖에 유지되지 않으므로 매우 불안정하다. 원래 공격력 자체도 그리 높지 않아 ②의 효과를 1번도 발동해두지 않으면 상급 몬스터의 공격력 표준치인 2400에도 못 미친다. 반대로 원래 하급 몬스터 정도라면 충분히 상대가 가능하니 강화 효과가 도움이 안 되는 수준까지는 아니다. 본토인 일본에서는 듀얼리스트의 투혼 을 통해 호루스의 흑염룡 이 등장하기 전까지 카이저 글라이더 와 함께 드래곤 덱에 투입되는 경우가 있었다고 한다. 릴리스 하나로 나올 수 있는데다가, 하급 어택커 라인이었던 1900을 전투로 파괴가 가능한 공격력을 가진 드래곤족이 귀중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현 시점으로 보자면 효과가 여러모로 미묘해서 실전 가치는 낮다. 몬스터를 파괴해 주는 대미지도 짜고, 파괴한 몬스터가 제외되면 대미지를 줄 수 없다. 공격력도 상급치곤 불안하고 마법 카드 한 장 발동해야 겨우 2400으로 싸울 만해진다. 거기에다 화이트 혼즈 드래곤 이 공격력과 종족, 레벨이 같고 효과는 더 우수하다. 한국에는 오랫동안 정발되지 못했다가, 대회의 참가 증정 팩에서 첫 수록. 이후 스타터 덱 강화팩 재록으로 쉽게 찾아볼 수 있게 되었다.유희왕 시리즈의 원작자인 타카하시 카즈키 가 직접 디자인한 몬스터 중 하나로, 원작 코믹스에 직접 등장한 적은 없지만 코믹스판 29권에서 이 몬스터의 러프 일러스트가 실린 적이 있다. 일러스트의 배색은 암흑 마족 길퍼 데몬 과 비슷하다.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노아 편 에서는 어둠의 유우기 가 죠노우치 카츠야 와 함께 한 BIG5 와의 듀얼에서 딱 한 번 사용했다. 카드 파괴 로 묘지로 간 버스터 블레이더 를 제외하여 특수 소환된 암석의 정령 타이탄 을 릴리스해서 소환한 뒤에 성스러운 방어막 거울의 힘 을 세트해놓고는, 상대인 오오타 소이치로 가 함정 카드라는 걸 눈치 채고 무심코 태풍 을 발동시키도록 유도했다. 함정이 없어졌다고 좋아라 하면서 기계왕 으로 공격하지만, 이 카드의 효과로 공격력이 2400이 되면서 기계왕은 파괴당하고 총 600데미지를 준다. 그리고 다음 유우기 자신의 차례에 직접 공격을 해서 BIG5 의 라이프 포인트를 크게 깎아내렸다. 다음 턴에 나선 다이몬 코고로 가 욕망의 항아리 를 발동하자 다시 공격력이 2400으로 오르지만, 바로 다음에 소환한 주사천사 리리 의 효과로 인해 공격력 3400이 되어 바로 전투 파괴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 다크니스 편 에서는 미스터 T 가 유우키 쥬다이 와의 3차전에서 사용. 소환되지 않고 미래융합-퓨처 퓨전 의 효과로 스피어 드래곤 , 레어메탈 드래곤 , 헬 드래곤 , 스피릿 드래곤 등 다른 4마리의 드래곤족과 함께 묘지로 보내진 뒤, 용의 거울 로 F·G·D 의 융합 소재가 되며 제외되었다. 수록 시리즈 2001-12-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6-01 | 遊戯王デュエルモンスターズ6 エキスパート2 予約特典カード 2007-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03-JP001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7 Vol.3 2014-03-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T14-JPA02 | STARTER DECK 2014 スターターデッキ強化パック 2005-08-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JC-EN002 | SHONEN JUMP Championship 2005 2005-12-17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T1-EN002 | PHARAOH TOUR 2005 2009-04-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GLD2-EN002 | GOLD SERIES 2009 2014-03-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GLD-EN061 | PREMIUM GOLD 2014-07-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S14-ENA02 | SUPER STARTER SPACE-TIME SHOWDOWN Power-Up Pack 2006-03-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03-KR001 | 토너먼트 팩 Vol.3 2014-07-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T14-KRA02 | 스타터 덱 2014 강화 팩
한글판 명칭 데스 볼스트걸프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デス・ヴォルストガルフ 영어판 명칭 Des Volstgalph 효과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6 흙마족 드래곤족 2200 1700 적의 필드의 몬스터 1장을 파괴, 적에게 500의 직접 데미지 효과를 가졌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7 결투도시전설 에서부터 등장. 상대 필드에서 가장 공격력이 높은 몬스터를 파괴하고, 상대 라이프에 500 포인트 데미지를 주는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에서 어둠의 유우기 가 사용했던 것과는 달리 유우기가 아닌 시몬 무란 을 통해 입수할 수 있다.3. 관련 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