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의 목록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인공지능 컴패니언 | 이루다 2.0 · 강다온 · 허세중 · Neuro-sama · 라디안 · 냥아지 · 쿠로냥아지 |
페르소나 채팅 플랫폼 | Character.AI · RisuAI · CAVEDUCK · Myshell.ai · Rolp.ai · zeta · 티카 · Babechat.ai · SpeakEasy · 뤼튼 · GPTRPG | |
LLMs 대화형 | ChatGPT · Microsoft Copilot · Gemini · CLOVA X · 어니봇 · YouChat · Cue: · Pi · Le Chat · 삼성 가우스 | }}}}}}}}} |
1. 개요
Conversational A.I.자연어 처리(NLP) 및 생성 기술을 통해 사용자와 인간과 같은 대화를 나눌 수 있는 인공 지능 시스템. 이러한 시스템은 고객 서비스 챗봇, 개인 비서 또는 음성 인식 비서 서비스와 같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활용될 수 있다. 대화형 인공지능의 목표는 인간과 기계 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자동화하고 개선하여 보다 직관적이고 접근하기 쉽게 만드는 것이다.
2. 종류
2.1. 챗봇
자세한 내용은 챗봇 문서 참고하십시오.2.2. 대화형 음성 인공지능
자세한 내용은 대화형 음성 인공지능 문서 참고하십시오.2.2.1. 음성 인식 비서 서비스
자세한 내용은 음성 인식 비서 서비스 문서 참고하십시오.2.3. 인공지능 컴패니언
자세한 내용은 인공지능 컴패니언 문서 참고하십시오.2.4. LLMs A.I.
대규모 언어 모델에 기반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Large language Models conversational A.I.)- 대화에 특화
- ChatGPT
- Doctor Ai (대화형 병원 진료 서비스)
- Cohere
- BlenderBot3
- Sparrow
- YaLM 2.0
- Gemini
- 통의천문(알리바바)
- 센스챗(센스타임)
- Pi
- AI 스튜디오 페르소(이스트소프트)
- Claude
- Poe
- CLOVA X(네이버)
- Q
- Microsoft Copilot[1]
- 페르소라이브[2]
- Le Chat(Mistral AI)
- 뤼튼
- GPTRPG
- 인공지능 검색 엔진
2.5. sLLM A.I
소규모 언어모델에 기반한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smaller Large Language Model)3. 여담
- 대화형 인공지능은 어디까지나 대화형 인공지능일 뿐, 백과사전이나 언론이 아니다. 각 인공지능마다 정보 데이터베이스는 차이가 나지만 대부분 인터넷을 크롤링하여 정보를 산출하는 특성상 얼마든지 실제와 다른 정보가 뒤섞일 수 있으며, 당장 실존하지는 않지만 그럴싸한 이름의 사건에 대해 물어보면 있지도 않은 사건에 대해 적당히 살이 붙은 정보가 나오는 걸 볼 수 있다. 따라서 대화형 인공지능의 답변을 인터넷 여론이 대충 어떤지 '가볍게 참고하는 정도'로는 쓸 수 있겠지만 절대로 '공신력 있는 정보'로 취급해서는 안되며, 실제로 인터넷 등지, 특히 사용자 연령층이 높은 커뮤니티나 유튜브 채널 등에서는 이를 악용해 대화형 인공지능의 작동방식을 잘 모르는 노년층을 상대로 여론을 선동하는 근거로 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공신력 있는 정보가 아니므로, 따라서 이 나무위키 내에서도 대화형 인공지능의 답변을 근거 또는 출처로 사용하는것은 부적절하다. 대화형 인공지능 답변을 그대로 복사+붙여넣기로 문서를 만들 경우 '운영 방해성 비정상적인 편집 행위'로 구분하여 제재될 수 있다.[4]
- 2022년 중반부터 화제를 모은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과 비교했을 때 일반인의 초상권을 침해하는 데이터가 비교적 적고(실존 인물 캐릭터 봇 예외), 대화형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생성 결과물을 딱히 인터넷에 올리지 않는 분위기라, ChatGPT나 테이(인공지능) 같은 일부 사례를 제외하면 관심도가 떨어져 잘 언급되지 않는다. AI가 자신들의 저작물을 학습하는 것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크게 일어났던 그림계와 달리 이쪽에서는 아직 반발이 크지 않은 것도 이유인 듯. 다만 일부 역할극(RP) 전용으로 파인튜닝된 모델을 학습시키는 데 타인의 저작물을 무단으로 가져오는 문제는 여전하다.
- RP에 사용되는 캐릭터의 정보를 담은 '봇 카드'의 이미지를 만드는 데 Novel AI 같은 이미지 생성 인공지능이 쓰이는 등, 두 분야가 깊이 연관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Character.AI 같은 개인 사용자를 겨냥한 버추얼 챗봇이나, RP에 특화된 소규모 모델 등은 묻히는 실정이다. 그래서인지 똑같이 저작권 침해 문제가 있음에도 이쪽은 가벼운 취미로 여기거나 딱히 문제 삼지 않는 이용자들이 많다. 상술한 Character.AI와 Chub(캐릭터 봇 카드 공유 사이트)와 Rolp.ai에 실존 인물 봇과 저작권 있는 캐릭터들이 무분별하게 공유되는 것이 그 예시.
[1] 빙챗이 리브랜딩 된 이름[2] 대화형 AI 비서 서비스[3] 국내 법률 특화 언어모델[4] 특히 인터넷을 크롤링해 답변을 산출하는 인공지능 답변의 경우, 인터넷 글 여기저기서 정보를 가져와 누더기처럼 기워둔 결과물이라 저작권 문제가 발생할 수 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