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8 08:27:24

대한한의사협회


파일:보건복지부 MI_좌우_White.svg
보건복지부 소관 특수법인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한국건강관리협회 대한구강보건협회 사회복지공동모금회 한국자활복지개발원 인구보건복지협회
대한간호협회 대한의사협회 대한조산협회 대한치과의사협회 대한한의사협회
대한안마사협회 대한물리치료사협회 대한방사선사협회 대한안경사협회 대한의무기록협회
대한임상병리사협회 대한작업치료사협회 대한약사회 대한한약사회 대한영양사협회
한국사회복지공제회 대한노인회 어린이집안전공제회 한국어린이집 총연합회 한국장례문화진흥원
한국사회복지사협회 대한약업사협회 한국의약품유통협회 한국한약유통협회 대한미용사회중앙회
한국이용사회 대한숙박업중앙회 한국목욕업중앙회 한국세탁업중앙회 한국건물위생관리협회
대한치과기공사협회 대한치과위생사협회 한국제약바이오협회 대한화장품협회 한국의약품수출입협회
한국글로벌의약산업협회 한국지역자활센터협회 한국효문화진흥원 한국보육진흥원 아동권리보장원
한국생명존중희망재단 중앙사회서비스원 }}}}}}}}}
대한한의사협회
Association of Korean Medicine (AKOM)
大韓齒科醫師協會
파일:대한한의사협회 로고.svg
<colbgcolor=#244ca3> 국가 <colbgcolor=#f5f5f2,#1c1c16>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분류 의료인 단체
설립 1898년 10월 대한의사총합소
설립근거 의료법 제28조
협회장 윤성찬
주소 서울특별시 강서구 허준로 91 (가양동)
외부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nopad>


1. 개요2. 의협과의 관계3. 의료 정책에 대한 입장4. 사건사고5. 같이 보기

1. 개요

한의사의 권익옹호사업과 의료질서 확립에 기여하기 위해 설립된 대한민국 보건복지부 소관 특수법인이다. 이 단체의 설립 근거는 의료법 제28조에 기초한다.

대한민국의 한의학 분야 최고의 이익집단이기도 하다.

2. 의협과의 관계

대한의사협회와 앙숙으로 오랜 기간 의료일원화와 관련하여 마찰을 빚어 왔다. 심지어 영문명 표기를 놓고서도 소송전이 벌어진 적도 있다. 대한한의사협회는 본래 영문명을 Association of Korean Oriental Medicine으로 써왔으나 동양 비하적인 Oriental을 삭제하여 현재와 같은 명칭으로 변경했는데, 대한의사협회에서 한의사의 의사 따라하기라며 소송을 건 것. 결과는 대한한의사협회의 승리로 끝나서 현재의 영문 명칭이 사용되고 있다. 다만 영문 약칭은 과거 명칭에서 유래한 AKOM을 쓰고 있다.

2018년 9월 대한의사협회에서 한방 치료를 받다가 부작용이 생긴 환자는 앞으로 치료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다.

1990년대에 약사한약 취급과 관련해서 대한약사회와 마찰을 빚기도 했으나 최근에는 의협에 대항하기 위해 두 단체가 협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3. 의료 정책에 대한 입장

대한의사협회와 반대로 문재인 케어를 지지한다. 해당 문서 참고.

의료일원화와 관련해서는 한의사들 사이에 의견이 분분하나 젊은 한의사들을 중심으로 점점 찬성 의견이 많아지고 있는 듯하다. 2018년 최혁용[1] 대한한의사협회장은 중국식 의료일원화를 2020년까지 실현해내겠다고 공언했다.# 최근 한의사에게 2년의 추가 교육을 통한 의사 면허 취득의 기회를 주자는 입장을 보이기도 했다. #

의료일원화를 이뤄내기 위해 최근 한의협은 의사와 한의사 면허를 모두 가지고 있는 의료인들이 설립한 한국의사한의사 복수면허자협회를 우군으로 끌어들이려 하는 모습을 보이지만, 복수면허자협회는 사안별로 협력하면서도 일방적으로 편을 들려고 하지는 않아서, 두 단체가 동상이몽(...)을 하고 있다는 시각이 있다. 관련 기사. 참고로 이 기사는 꽤 오래된 기사(2010년도)라서 사단법인인 현재의 복수면허자협회가 아니라 사단법인이 아니던 시절의 전신인 동서의학회를 언급하고 있다.

의대 증원과 관련해서는 찬성 입장을 보이고 있다. 한의대 정원을 줄인 만큼 의대로 이전하자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간호법과 관련해서는 찬성 입장을 보이고 있으며, 그 배경에는 한의사 단독법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4. 사건사고

5. 같이 보기


[1] 한의사 출신으로 변호사까지 된 인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