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3 04:59:23

대학 서열화/국가별


[주의!] 특정 분야 편집지침에 따라 대한민국 및 해외에 소재하는 모든 대학교에 대한 서술은 아래의 규정을 적용받습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다.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은 금지한다.[1]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대학 서열화


대학평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colbgcolor=darkslategray><colcolor=#ffffff> 파일:세계 지도_White.svg 국제 파일:QS 랭킹 로고.svg
QS
파일:ARWU 로고.svg
ARWU
파일:THE 랭킹 로고.png
THE
파일:US News Logo.png
USN & WR
파일:nature INDEX.png
네이처 인덱스
파일:레이던_랭킹_로고.png
CWTS
파일:CWUR 로고.png
CWUR
파일:URAP.jpg
URAP
파일:geurs_LOGO.png
GEURS
파일:rur-ranking.png
RUR
파일:ㅈ듀ㅐㅡㄷㅅ.png
Webometrics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파일:중앙일보 로고.svg
중앙일보 대학평가
파일:한국경제신문 로고.svg
한경 이공계 대학평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파일:hiRes_CC_logo_v4.jpg
카네기 분류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파일:CUG 로고.png
CUG
파일:더 가디언 로고.svg
더 가디언
파일:더 타임스 로고.svg
더 타임스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중국교우회망.jpg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 파일:맥클린스 로고.svg파일:맥클린스 로고 화이트.svg
맥클린스
}}}}}}}}} ||

1. 중남미

1.1.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와 타 대학의 차이가 굉장히 심하다. 이는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4명이나 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대학 입학은 어느 대학이든 원서만 넣으면 합격인 데다[2] 등록금 역시 한푼도 내지 않는다.[3] 낙제는 있지만 성적 미달에 의한 퇴학도 없다. 문제는 제때 졸업하는 학생들보다 낙제하는 학생들이 훨씬 많다는 것. 부에노스아이레스 대학교 기준으로 낙제율은 75%에 달한다.# 원서 접수와 동시에 입학이며 등록금이 공짜인 대신 낙제율이 높아 아르헨티나의 대학생들은 "웃으면서 입학하고 울면서 졸업한다"고 말한다. 말이 대학이지 실제로는 졸업까지 걸리는 평균 기간은 8~9년에 달한다.

첨언하자면 높은 낙제율은 어지간하면 다 들어갈 수 있는 대학 입학 시스템상 학생들의 필터링이 제대로 되지 않기 때문이다. 당장 한국 상위권 대학 좋은 과 들어갈만한 사람 데려다가 놔둬보면 어지간한 레벨의 학생들은 올킬하고도 남는다.

심지어 공교육이 개판인 남미 국가들 특성 상, 학생들의 평균 레벨은 훨씬 더 아래다. 아르헨티나 대학 졸업에 관한 악명은 교수들에게 부여된 지나친 권한과, 체계적 교육의 부재로 인한 약한 학문적 기반과, 놀기 좋아하는 남미의 문화와 제대로 필터링이 안된 학생들이 모여 낸 시너지로 인해 일어나는 일이라고 보는 게 더 맞다.

2. 북미

2.1. 미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 서열화/국가별/미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캐나다

미국과 영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캐나다도 언론사들이 대학 랭킹을 메기며, 캐나다의 대표적인 잡지인 맥클린스에서 1991년부터 대학 랭킹을 발표하고 있다. 중앙일보가 한국에서 최초로 대학평가를 실시한 해가 1993년인데, 이보다 2년 빠른 것이다.

보통 캐나다의 대표적인 명문대라고 하면 서부 쪽은 브리티시 컬럼비아 대학교, 동부 쪽은 토론토 대학교, 맥길 대학교를 꼽는다. 각각 캐나다의 3대도시인 밴쿠버, 토론토, 몬트리올에 위치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현재 맥길 대학교가 18년 연속으로 맥클린스 캐나다 대학 랭킹 1위를 하고 있다. # QS맥클린스 기준 이 대학들은 특정 분야만이 아니라 거의 대부분의 분야에서 캐나다 내 3위, 못해도 6위 안에는 위치한다.

그 외에는 앨버타 대학교, 맥마스터 대학교, 퀸스 대학교가 잘 알려져 있다. 특히 앨버타 대학교간호학으로 유명하며, 맥마스터 대학교는 의대 지망생들이 선호하는 학과인 보건학(Health Science)로 유명하다.[4]웨스턴 대학교퀸스 대학교경영학과로 유명하고, 종합적인 랭킹에서는 약세이나 컴퓨터 과학공학 쪽으로는 부동의 원탑으로 인정받는 워털루 대학교가 유명하다.

또 캐나다 대학교들이 특이한 점은 공립/사립 구분이 무의미하다는 거다. 90%의 대학교들이 공립이기 때문에. 웬만큼 좋다고 평가받는 대학교들은 하나도 빠짐없이 공립이다.

3. 아시아

3.1. 일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 서열화/국가별/일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90여개 대학이 있는 일본은 150개 정도의 국공립대학이 있고, 590여개 사립대학이 존재한다. 자세한 내용은 대학 서열화/국가별/일본 문서 참조.

3.2. 중화권

3.2.1. 중국

중국 역시 대학 서열화가 되어 있는 나라다. 한국의 SKY처럼 여러 대학을 묶어서 서열화하기보다는, 구교연맹, 985공정, 211공정, 쌍일류(双一流)등 정부의 공식적인 대학 발전 프로젝트에 소속돼있는가를 통해 대학의 수준을 판단하는게 매우 보편적이다. 또한 매년 공개되는 QS 세계 대학 랭킹, THE 세계 대학 랭킹, 중국교우회망 대학평가의 최신 랭킹은 항상 각 언론사 및 대학들의 최대 관심사다.

물론 북경 및 상해 선호현상이 존재하나, 수도권 일극 현상이 없는 덕분에 명문대학이 전국 곳곳에 골고루 분포돼있어 한국처럼 무작정 "지방대학 = 뒤떨어지는 대학"이라는 인식이 전혀 존재하지 않는 대신, 웬만한 종합대학은 다 국가 직속 혹은 지역 인민정부 소속인 공립대학이라 "사립대학 = 수준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대학"이라는 공식이 통해서 사립대학을 뜻하는 "민판대학(民办大学)"라는 단어가 "지잡대"와 비슷한 뉘앙스로 쓰인다. 한국의 대학 서열화 현상과는 정반대인 셈. 더 많은 내용은 지잡대/국가별 문서 참조.

그 밖에 예지다쉐(野鸡大学)라는 단어가 자주 쓰이는데, 본래는 실제로 존재도 하지 않는 가짜대학, 혹은 학위남발대학을 뜻하나, 수준이 낮은 부실대학, 무명대학을 지칭하는 용도로도 쓰인다.

3.2.2. 홍콩

홍콩대학, 홍콩중문대학, 홍콩과기대학, 홍콩성시대학, 홍콩이공대학, 홍콩침회대학 등의 8개 대학이 있으며 모두 명문이다.[5] 수준 낮은 학교는 상상도 못하는 교육 선진국으로 대신 국내 대학 진학이 그만큼 어려워 80%가 넘는 고딩들이 미국, 영국, 호주, 캐나다, 뉴질랜드 등 영미권 국가로 유학을 떠난다. 물론 도피유학은 아니다. 학생 개개인은 실력이 뛰어나서 토플 점수도 평균이 IBT100점이며[6] 이 정도면 싱가포르와 함께 아시아 최고 수준이다.

그리고 굳이 대학을 안 가는 사람도 많아서 대학 진학률이 18%에 불과하다. 홍콩 경찰, 홍콩 소방처, 세관, 이민국 등의 신입직원들은 일부 대졸을 요구하는 간부급 지위의 특수직종을 빼면 모두 신입직원이 만 18-19세 정도로 고등학교 졸업하자마자 입직한다. 한국에서와 달리 홍콩에서 9급 공무원은 고졸자들이 입직한다.[7] 고등학교만 나와도 곧잘 영어를 하고, 사회생활에 아무 문제가 없다. 연봉의 차이가 있을 뿐이다.

즉 홍콩에서는 굳이 대학을 진학하지 않아도 먹고사는 데 지장이 없어서 대학 진학률이 한국보다 훨씬 낮으며, 단지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을 전부 수용하지 못할 뿐이다. 지잡대 같은 수준 낮은 대학이 발 붙일 틈이 없다. 애초에 그런 대학을 지을 땅도 없다.

홍콩은 땅이 부족하다 보니 대한민국 방송통신대학교에 해당하는 오픈 유니버시티(개방대학)가 많다. 조슈아 웡은 성적이 좋지 않아 오픈 유니버시티로 진학했다가 중국 정부의 심각한 견제[8]로 인해 1년만에 자퇴하였다. 오픈 유니버시티는 당연하 홍콩에서 별로 좋은 취급을 못 받지만, 그래도 홍콩에서 대학 교육을 받을 수 있는 몇 안 되는 통로이다.

3.2.3. 대만

나라 인구 2300만명 중에 대학 진학률은 55% 수준인데, 대학 개수는 어마어마하게 많고 대학 정원이 한국 대학 정원의 75% 수준으로 많아서, 국립대 마저도 지잡대 소리를 듣는 나라다.

국립대만대학이 최고 대학이며, 이과에는 국립칭화대학,[9] 문과에서는 국립정치대학이 2인자고, 이후로 국립성공대학, 국립양명교통대학 등 순이다. 최상위권 국립대 - 상위권 국립대 - 상위권 사립대 - 중위권 국립대 - 중위권 사립대 - 기타 이런 식으로 입결이 짜여져 있고, 소위 아웃풋도 입결 순서대로 간다. 대한민국과 전혀 다르지 않은 부분이다.[10] 차이점이 있다면 사립대보다 국립대가 더 경쟁력이 있다는 점이랑 대학이 비교적 전국 각지에 잘 분포되어 있다는 점이다. 최상위권 대학들 중 종합대보다 특정 학과에 편중된 대학들[11]이 더 많은 것도 대만 대학들의 큰 특징이다.

3.3. 싱가포르

사실상 거의 모든 대학이 국립대학이다. 서울특별시 면적밖에 안되는 이 도시국가에서 종합대학은 싱가포르 국립대학밖에 없다. 난양이공대학은 이공계 스페셜리스트 대학교이고, 싱가포르 경영대학은 경영학에 특화된 대학교이다. 세 학교 모두 국립으로 운영되고 사실상 같은 레벨로 취급되지만 실상 대접이 가장 좋은 데는 싱가포르 국립대학이다. 아예 입사 지원서에는 이 세 개 대학 출신인지 아닌지를 적게 돼 있고 외국인의 경우 출신 대학을 트집잡아 취업 비자를 안 내준다는 경우도 있다.

학생 비자도 학교에 따라서 각자 다른 조건으로 나온다. 위 상기된 세개의 국립대들은 4년 재학기간과 졸업 후 취업기간까지 고려해서 4년 반의 비자가 나온다. 풀타임 학생에 한해서 일주일 14시간 미만의 파트타임 일도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리고 졸업 후 취업하면 웬만해선 가장 높은 티어의 취업비자를 발급해준다. 국립대학 교환학생의 경우 더 골때리는 점이 있다면 원 소속 대학에 따라 인턴 및 파트타임이 가능하다. 한국의 경우 SKY, 카이스트, 포스텍 정도가 인정받는 정도.

사립대학의 경우 학기 중에만 비자가 발급되며 방학이거나 졸업하면 얄짤 없이 본국으로 되돌아가야 된다.

그래도 한국과는 달리 대학 진학에 대해 엄청나게 목숨을 걸 정도로 경쟁이 과열된 건 아니다. 고졸 학력을 가지고 있어도 공무원이 되거나 다국적 은행에 취업하는 데 딱히 큰 문제는 없기 때문.

4. 오세아니아

4.1. 호주

대학간의 서열이 상위권 대학들을 중심으로 존재한다. 시드니 대학교, 멜버른 대학교 등을 포함한 Go8으로 대표되는 8개의 대학들이 주로 거론된다. 대학 관련 호주 언론의 기사를 찾아보면, Go8 대학들에 'top', 'best', 'prestigious' 등의 수식어가 붙는 것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다만, 한국과 다른 것은 호주 사회에서 대학은 먹고 사는 데에 꼭 결정적으로 중요하진 않다는 것이다.

다른 서방 국가들의 사정과 마찬가지로 호주의 대학들은 전반적으로 상향평준화 되어있는 것으로 평가되며, 따라서 한국만큼의 "명문대"와 비명문대의 구분이 강하게 존재하진 않는다. 하지만 정치·경제·법·사회 분야에서 고위층으로 갈수록 Go8 대학 출신이 아닌 인사를 찾기 어려울 만큼 Go8에 소속되어 있는 대학들이 명문대로 인정 받는다. 그래도 한국과는 달리 호주에서는 Go8에 속하지 않는 학교들에 대한 차별적 시선이 높지 않다. 비Go8 대학일지라도 고학점으로 졸업한다면 충분히 좋은 기업과 Go8 대학원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

호주에는 TAFE라는 각 주 정부가 운영하는 직업학교가 있으며 한국의 전문대, 기술학교 포지션에 속한다.

4.2. 뉴질랜드

한국과 같은 뚜렷한 대학 서열은 없으며, 학교마다 간판 학과가 다르다. 특성화가 잘 되어 있다. 하지만 종합대학 수가 총 8개[12]밖에 되지 않으며, 사립대학이 없다. 폴리텍이라 불리는 전문대학까지 다 끌어모아도 30개를 넘지 않는다. 전체 인구도 서울시 인구의 절반조차 안된다. 무엇보다 국민들이 대학 진학 자체에 그리 큰 의미는 두지 않는다. 부모가 물려준 땅과 재산을 바탕으로 가업을 잇는 경우가 많기 때문.

대학 숫자와 인구, 그리고 학연에 따른 폐해가 적어서 여기 거론된 국가 중엔 가장 수직성이 덜한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게다가 뉴질랜드는 전통적으로 농축산업과 관광업 등 부존자원에 의존하는 경향이 강한 국가이기에 한국처럼 인적 자원에 큰 비중을 두지는 않는다.

뉴질랜드 대학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뉴질랜드/교육 문서를 참조.

5. 유럽

5.1. 유럽 대륙 전반

일단 유럽은 한국만큼 대학 진학률이 높지 않다. 4년제 대졸자 비율이 청년층 인구에서 우리나라만큼 큰 비중을 차지하지는 않는다. 보통 만 18세에 중등교육을[13] 마치면 구직 활동을 하는 경우도 많다.

영국과 일부 특수교육기관(그랑제꼴 등)을 제외하면 유럽 국가에서는 대학이 평준화되어 있으므로, 한국의 4년제 대학에 해당하는 연구중심대학(EQF Level 6)의 학위를 취득하였다면 대학 간의 서열 같은 것은 사실상 없다시피 하다. 그러므로 취업 등에선 당연히 어느 대학을 나왔는지보다는 대학 졸업 여부와 전공 과목, 학점, 인턴십 경험 등이 더 중요히 여겨진다. 박사 같은 경우도 대학 간판보다 어떤 교수에게 사사했는지를 중요시한다. 이 경우 스승을 독일어 기준으로 Doktorvater(직역하면 박사 아버지)라고 하며 그런 계보를 죽 이어서 족보처럼 생각하기도 한다.

유럽 대륙에서는 대학 전의 공부는 학문적이지 않고, 대학 공부부터가 진짜 학문적 공부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며, 대학생을 일종의 직업으로 취급하고 호칭도 예를 들어 수학과라면 학부 때부터 '수학자'로 호칭한다. 다른 나라들과 달리 대학 이름의 중요성은 거의 없기에 대학 간에도 별로 우열의식이 없으며, 대학 진학자들은 커리큘럼, 주거지와의 거리, 인프라 등을 고려하여 알맞게 선택한다. 그냥 한 대학이 위치한 어떤 도시가 마음에 들어서 그 도시의 대학으로 간다던지 하는 것은 드물지 않다.

다만 유럽은 애초에 전문대학과 연구중심대학에 진학할 수 있는 학생의 수 자체가 적고, 이를 졸업하는 학생의 수는 훨씬 적다. 네덜란드의 경우 전체 인구 중 전문대학과 연구중심대학에서 학사 이상을 취득한 인구가 32.5%에 불과하고, 연구중심대학을 졸업한 거의 모든 학생이 취득하게 되는[14] 석사 학위 이상을 취득한 사람은 11%에 불과하다. 또한 직업학교를 포함한 모든 최상위 교육 기관[15]에서 수학하는 인구 중 연구중심대학에서 수학하는 비중은 22.7%에 불과하다. 즉, 유럽에서는 애초에 상위권 학생들만이 대학에 진학하므로 대학의 진정한 평준화가 이루어질 수 있었던 것. 반면 인구의 70%가 대학에 진학하는 한국에서는 애초에 유럽이라면 대학 진학 자체가 불가능했을 소위 지잡대로 불리는 대학에 입학한 학생들까지 동일한 4년제 대학 졸업자로 취급되므로, 대학 졸업장만을 가지고는 대학 졸업자의 수준을 보장할 수 없기에 부득이하게 수능이라는 지표를 통해 학교의 수준을 나눈 것을 바탕으로 지원자의 수준을 평가할 수 밖에 없는 사정이 있다.

2000년대 들어 독일의 경우 연방 정부에서 대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우수대학육성정책이라는 엘리트 대학 육성 프로그램을 도입하였다. 이전에는 명시적으로 대학 서열이나 우열을 가르지 않았던 독일 대학 정책의 패러다임을 바꾸게 된 프로그램으로, 대학의 연구, 교육 발전 전략을 평가해 선정된 대학에 연방 예산을 집중 배정하는 프로그램이다. 2005년 첫 선정 이후 2019년 세번째 선정이 이루어졌으며 매번 선정마다 7-11개 정도의 대학 혹은 대학 연합이 선발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그동안 평준화된 탓에 국제 랭킹이나 연구 경쟁력에서 미국, 스위스 등에 뒤쳐지는 독일 대학 간의 경쟁을 유도하기 위한 목적이 다분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과 같은 개념의 대학 서열화를 정착시키지는 않았다. 엘리트 대학으로 선정된 학교는 많은 예산을 배정 받아 교육, 연구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것은 맞지만, 엘리트 대학 졸업자가 취업 시장에서 대학 이름값만으로 우대를 받는 혜택은 딱히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하기에 여전히 독일의 많은 학생들은 집과 먼곳에서 대학을 다니려고 하기보단 적당히 나쁘지 않은 집 근처 대학을 가는 것을 선호한다.

5.2. 영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학 서열화/국가별/영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3. 프랑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프랑스/교육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마크롱 대통령 취임 이후 대학 개혁에 착수 했다.


[1] 예: (A대학, B대학, C대학이) 탑3다, 탑5다, 업계에서 인정받는 대학이다, A대학보다 낫다, B대학이 강세이다, 학교 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몇 개씩 묶어 부르는 행위, 상급 학교 진학 실적 등[2] 단, 외국인의 경우 스페인어 인증시험을 치른다. 결과적으로 스페인어를 할 줄만 알면 다닐 수 있다.[3] 학교 운영비는 졸업생들의 기부금으로 이루어진다.[4] 캐나다는 한국과 달리 의예과(Pre-med)가 없고 미국처럼 학부생때 아무 학과에 들어간 후 필요 과목을 수강하고 졸업한후 의과대학원에 들어가는 방식이다. 따라서 어떤 학과에 진학하든 의대에 지원함에 있어서 문제는 없으나 맥마스터의 보건학과는 캐나다 전체에서 가장 의대 합격생을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캐나다에서 제일 들어가기 어려운 학과로 꼽히기도 했다. # #[5] 당연히 그럴 수밖에 없는게 인구 730만 대도시에 대학이 단 8개 있다. 게다가 대부분의 대학들이 한국 기준으로는 중소 규모에 해당하는 대학이다. 애당초 인구 숫자 대비 대학 입학 정원이 한참 적은 것이다.[6] 물론 영어가 공용어로 쓰여서 그렇기도 하다. 홍콩은 다중 언어 시스템을 채용해 영국식 영어표준 중국어가 대외 통용어이고 모국어는 광동어이다, 즉 영어+중국어의 이중 언어 체계인 셈.[7] 한국도 90년대 중반까지는 그랬었다. 오히려 9급 공무원은 대졸 출신이 더 적었었다.[8] 시험날 조슈아 웡이 출석시험을 보러 가는 중에, 대학 입구에서 중국 공산당이 조슈아 웡을 납치한 일이 있었다. 결국 이 사건으로 조슈아 웡은 결석 처리되어 F학점을 받았고, 조슈아 웡은 더 이상 못 버티겠다며 1년만에 자퇴했다.[9] 대륙에 있는 동명의 대학과는 다르다. 정확히는 대륙의 칭화대 교수와 학생들 중에서 반공 성향의 사람들이 국부천대 당시에 대만으로 달아나서 똑같은 이름의 대학을 세운거다. 자세히 알아보려면 재대복교 문서 참고.[10] 대한민국도 인풋이 그대로 아웃풋이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대학 수가 많아서 지잡대 중에는 국립대인 경우도 꽤 있다.[11] 이과는 국립청화대학이랑 국립양명교통대학, 문과는 국립정치대학.[12] 2000년 AUT가 종합대로 승격되기 전까지는 7개.[13] 대개 기술을 배우는 학교이다.[14] 유럽 연구중심대학은 학석사 구분이 없었으나, 미국식 교육 제도와의 호환을 위해 부득이하게 3 + 1 ~ 2년을 기준으로 서류상 학사와 석사를 구분하고 있는 것이라 연구중심대학에 들어간 학생들은 중도 탈락자를 제외하면 사실상 모두가 석사 과정을 밟은 뒤 졸업한다.[15] MBO(직업학교, 1 ~ 4년제) + HBO(전문대학, 4년제) + WO(연구중심대학, 3년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