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5bb02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 | |||
[[틀:대전광역시의 급행·광역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c0000; font-size: 14px; color: #fff"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5bb025><colcolor=white> 1권역 | 116 | 117 | 121 | |
2권역 | 212 | ||||
3권역 | 313 | 317 | |||
6권역 | 606 | 614 | 620 | 622 | |
7권역 | 712 | ||||
9권역 | 911 | 912 | 916 | 918 | |
맞춤버스 | 특구1 | ||||
모든 노선 환승 대기시간 60분 적용 |
1. 노선 정보
대전광역시 지선버스 특구1번 | |||||
| |||||
기점 |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한국과학기술원북문) | 종점 | 대전광역시 유성구 구성동(한국과학기술원북문) | ||
종점 행 | 첫차 | 06:00 | 기점 행 | 첫차 | |
막차 | 22:00 | 막차 | |||
배차간격 | 40분(1일 24회) | ||||
운수사명 | 대전운수 | 인가대수 | 3대(예비 1대) | ||
노선 | 한국과학기술원북문 → 원자력안전기술원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 대덕중학교 → 신세계백화점 → DCC종점 → 신세계백화점 → 국립중앙과학관 → 대전지방기상청 → 한국과학기술원본관 → 한국과학기술원 → 월평역 → 충남대학교 → 유성온천역 → 구암역 → 유성시장 → 충남대학교 → 유성구청 → 한국과학기술원본관 → 한국과학기술원북문 |
2. 개요
대전광역시청 과학산업과에서 주관하는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순환하는 버스 노선. 무선충전 전기버스 올레브의 기술 기반인 무선충전 기술의 실증을 위하여 규제 샌드박스의 실증 특례인 2년 한정으로 운영된다.[A] 운영사 공모에서 낙찰된 대전운수에서 운행한다. (노선도)3. 역사
- 2021년 7월 20일에 개통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코로나19 확산세가 심각해지며[2] 대전시 거리두기 단계가 격상됨에 따라 개통식이 연기된 후 2021년 8월 23일에 개통식을 열고[3] 2021년 8월 24일 정식 개통했다.[4][5]
- 2023년 7월 15일부로 1차 사업이 종료되고 2차 사업이 시작되었다. 2차 사업 역시 2년간 시행될 예정.[6] 2차 사업 시행과 함께 노선도 개편될 예정이었으나, 노선 확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우선 1차 사업과 같은 노선으로 계속 운행중이다.
- 2023년 6월에 카이스트 학생들을 대상으로 노선 변경안 설문이 진행되었다. 기존 노선에 대한 불만이 많았던 만큼 대덕특구와 도심을 연결하는 기능으로 단순화시켜 운행하는 안이 계획되었다.
- 기본적으로 카이스트 후문 (기종점지) → 카이스트 정문 → 카이스트교 → 갑천대교네거리(월평동) → 월평역 → 정부청사역 → 대덕대교 → 연구단지네거리(도룡동) → 승적골삼거리(신성동) 의 노선으로 구성되며, 2안은 대덕대교를 건넌 후 과학공원네거리에서 우회전하여 대전신세계 Art & Science를 거쳐 컨벤션센터(DCC)네거리에서 좌회전하여 스마트시티을 경유하여 다시 과학공원네거리에서 연구단지네거리로 향하는 노선이다. 즉, 대덕특구 → 카이스트 → 월평역 → 정부청사역 → (스마트시티) → 대덕특구로 이어지는 단순 노선으로 바뀔 예정이다. 유성고속버스터미널 쪽으로 진출하기 위해 길어진 노선을 줄여서 월평역에서 정부청사역으로 향하면서 자연스럽게 둔산시외버스정류장(대전청사)으로 고속/시외버스 연계성을 개편한다. 기존 노선과 다르게, 카이스트 후문에서 대덕특구 방향으로 나가던 것에서 이제는 대덕특구에서 카이스트 후문으로 들어오는 코스로 바뀌게 된다.
- 다만 설문 결과 카이스트 학생들의 경우 1, 2안 모두 선호하지 않는다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학생들이 많이 향하는 궁동 및 봉명동 일대를 거치지 않게 되며, 신세계백화점까지도 월평역과 정부청사역을 거쳐 둘러가게 되기 때문. 설문 조사 결과를 통보받은 대전시청 측에서는 기존 노선에서 구암역 부근을 단축한 노선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노선 1안 (운행시간 49분, 배차간격 28분) | 노선 2안 (운행시간 59분, 배차간격 30분) |
4. 특징
- 국내 최초로 우진산전의 아폴로 900 기반의 무선충전 전기버스인 올레브로 운행되며 카이스트의 학내 회사인 와이파워원에서 무선충전 기술을 제작하여 무선충전 전기버스 실증을 주관한다.
- 카이스트 내에서 셔틀버스로 5년 이상 운행되어온 무선충전 기술이 적용되는 시내버스 노선이다.[7]
- 앞서 2013년경 구미시의 180번, 195번에서 주파수 20 kHz를 사용하는 무선충전 전기버스 실증을 마친 적이 있다.[8][9] 대전의 경우는 기존 주파수보다 높은 85 kHz를 무선충전 기술에 활용하는 것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ICT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임시 실증 특례를 받아 전파법 규제가 일부 면제되어 2년 한정으로 실증하는 시범 사업이다.
- 한국과학기술원 내의 버스 정류장 2곳에 무선 전력 송수신 장비를 매설해 전기버스의 무선충전을 할 수 있다.
- 대전광역시의 모든 시내버스와 같이 현금 승차가 불가능하고 교통카드로만 탑승 가능하다.[A] 한편, 대전광역시는 2022년 7월 1일부터 현금 승차 폐지 시범 운영기간을 거쳐 2022년 9월 1일부로 모든 대전광역시 시내버스에서 현금통 비치를 중단하여 교통카드만으로 승차 가능하도록 하였다.
- 특구1 버스는 대전광역시 시내버스뿐만 아니라 이 노선과 일부 운행 구간이 겹치는 계룡시의 48번 시내버스 및 세종특별자치시의 655번 시내버스와도 무료 환승이 가능하다.[11]
- 기점인 한국과학기술원북문은 카이스트 내부로 N23 연구실 바로 앞이다. 원래 북문은 후문(동문) 근처에 나있는 출입구인데 한동안 폐쇄되어 사람만 드나들다가 문을 떼고 도로까지 영역을 넓혀 버스 충전소를 개설했다. 과학로 대로변으로 나있는 길은 여전히 막혀있어서 자가용은 물론 버스도 해당 길로 드나들 수 없다. 한때는 이곳에서 ZET가 킥보드를 관리하기도 했다. 기점에서 승차할 경우 동문을 통해 신성동 방향으로 나가고 대전신세계 Art & Science를 거쳐 DCC(대전컨벤션센터)까지 간 후 다시 돌아오기 때문에 월평역이나 유성 방면으로 가고 싶은 승객들은 대강당, 본관 또는 오리연못에서 승차해야 한다.
- 수요가 매우 저조하다. 해당 기사가 나온 시점보다는 수요가 늘긴 했지만 여전히 1회 평균 승차 인원이 15명이 안 되고 그나마 수요가 많은 퇴근 시간대에도 30명~40명 수준에 불과하다. 연구단지에서 수요가 많이 나오는 둔산동 대신 DCC에서 차를 돌리기 때문.[12]
- 정류장에 붙어 있는 노선도의 바탕색과 LED의 특구1 노선 표기는 지선 색깔인 연두색이 아니라 노란색으로 표시된다.
4.1. 시간표
대전광역시 지선버스 특구1번 시간표 2022년 3월 30일 기준 | |
순번 | 한국과학기술원북문 |
1 | 06:00 |
2 | 06:40 |
3 | 07:15 |
4 | 07:55 |
5 | 08:37 |
6 | 09:22 |
7 | 10:05 |
8 | 10:53 |
9 | 11:35 |
10 | 12:22 |
11 | 12:57 |
12 | 13:37 |
13 | 14:22 |
14 | 15:12 |
15 | 16:02 |
16 | 16:46 |
17 | 17:32 |
18 | 18:05 |
19 | 18:40 |
20 | 19:20 |
21 | 20:05 |
22 | 20:40 |
23 | 21:20 |
24 | 22:00 |
4.2. 노선
대전광역시 지선버스 특구1번 |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정류장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공동관리아파트 43150 | ← | SK뷰아파트 43130 | |||
대덕중학교 43110 | ↓ |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43100 | |||
신세계백화점 43240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43080 | |||||
대전컨벤션센터 43270 | ↓ | ↑ | KT북대전지사 43400 | |||
스마트시티5단지 43310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43070 | |||||
스마트시티2단지 43290 | ↓ | ↑ | 시민천문대 43050 | |||
DCC종점 45320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2800 | |||||
한빛탑 43260 | ↓ |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42820 | |||
신세계백화점 42440 | 원자력안전기술원 42860 | |||||
국립중앙과학관 42930 | ↓ | ↑ | 한국과학기술원교수회관 41850 | |||
보건환경연구원 42910 | 기점 | 한국과학기술원북문 41620 | ||||
대전지방기상청 42890 | 한국과학기술원교수회관 41860 | |||||
한국과학기술원대강당 41930 | ↓ | ↑ | 한국과학기술원대강당 41940 | |||
한국과학기술원본관 45110 | 한국과학기술원본관 45120 | |||||
한국과학기술원오리연못 45390 | ↓ | ↑ | 한국과학기술원오리연못 45750 | |||
카이스트 42840 | 유성구청 42770 | |||||
월평역 32770 | ↓ | ↑ | 궁동 42690 | |||
유림공원 45290 | 충남대학교 46470 | |||||
다솔아파트 42680 | ↓ | ↑ | 유성초네거리 42090 | |||
충남대학교 42600 | 유성시장 42020 | |||||
온천교 41350 | ↓ | ↑ | 구암역 82170 | |||
유성온천역6번출구 41320 | 봉명네거리 41180 | |||||
→ | ||||||
유성온천역5번출구 41290 |
{{{#!wiki style="margin:-0px -11px -5px" {{{#!folding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5px;margin-bottom:-11px" | 중앙로(카이스트내부도로) | |
카이스트 ▼ | ▲ 한국과학기술원본관 | |
대학로 | 카이북로(카이스트내부도로) | |
둔산대로 | ▲ 한국과학기술원대강당 | |
갑천도시고속도로 | 과학로 | |
월평중로 | 대학로 | |
월평역 ▼ | ▲ 국립중앙과학관 | |
한밭대로 | 엑스포로 | |
충남대학교 ▼ | ▲ 한빛탑 | |
대학로 | 엑스포로97번길 | |
유성온천역5번출구 ▼ | ▲ 스마트시티2단지 | |
계룡로 | 엑스포로123번길 | |
유성시장 ▼ | ▲ 스마트시티5단지 | |
유성대로 | 엑스포로 | |
충남대학교 ▼ | ▲ 신세계백화점 | |
한밭대로 | 대덕대로 | |
궁동 ▼ | ▲ 공동관리아파트 | |
대학로 | 가정로 | |
한국과학기술원오리연못 ▼ |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
중앙로(카이스트내부도로) | 과학로 | |
한국과학기술원대강당 ▼ | ▲ 원자력안전기술원 | |
카이북로(카이스트내부도로) | ||
한국과학기술원교수회관 ▼ | ▲ | |
유레카길(카이스트내부도로) | ||
한국과학기술원북문 ▼ | ▲ 한국과학기술원북문 |
5. 연계 철도역
- 대전 도시철도 1호선: 월평역, 유성온천역, 구암역
[A] 대덕특구 순환버스 시범운행 운송사업자 선정 공고, 2020-12-03, 대전광역시[2] 당시 모 학원 발 관련 확진자가 100명을 넘는 등 대전 내 코로나 상황이 매우 안 좋았다.[3] 대덕특구 달리는 무선충전 버스 '올레브', 2021-08-23, 뉴시스[4] 무선충전 버스 ‘올레브’…대전 대덕특구서 시범운행, 2021-08-24, 아시아경제[5] 원래대로 7월 20일에 개통하였다면 2021년 대전광역시 시내버스 노선도에 나올 수 있었으나 2021년 8월 23일로 개통이 연기되어 2021년 노선도에 못 나왔다.[6] 출처: 카이스트 학부 총학생회 8월 활동 보고[7] 카이스트 달리면서 충전하는 전기자동차 기술, 세계가 인정, 2013-02-14, 머니투데이[8] 온라인 전기버스 구미서 첫 주행, 2013-01-10, 세계일보[9] 잔고장으로 2021년 12월에 운행이 중단되었다.[A] [11] 대전광역시청 버스운영과에 구두 확인, 2022-12-16[12] 연구단지-둔산동 구간을 운행하는 604번은 퇴근 시간대에 사람이 너무 많아 승차 거부가 일어나기도 할 정도로 혼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