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마라톤
1. 개요
대구광역시에서 개최하는 마라톤 대회이다.집결지는 대구스타디움이다.
2026년 대회는 2026. 2. 22.(일) 예정이다.
1.1. 홍보 영상
대구마라톤 홍보 영상 |
2. 상세
대구광역시와 대한육상연맹이 주최하며, 대구광역시체육회가 주관한다.2001년 9월 23일 1회 대회(마스터즈 하프, 10km, 5km, 3km)를 개최한 후 매년 대회 규모가 성장하며,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2009년 국제육상연맹(IAAF) 인증 대회로 처음 지정되었으며, 2013년부터 7년 간 실버 라벨 대회로 공인받고, 2023년 대회부터 골드 라벨 대회로 승격되었으며, 2025년 대회까지 3년 연속 골드 라벨 대회로 지정되었다.
국내 최초이자 세계육상연맹(WA)이 공인하는 현재 국내에서 유일한 골드 라벨 대회이다.
세계 메이저 마라톤 지정을 목표로 2024년부터 마라톤 우승 시상금은 16만 달러(남녀 각각)로 세계 최대 상금 타이틀을 가지게 되었다. (기존 세계 최대 우승 상금은 보스턴 마라톤의 15만 달러)
2025년 대회부터 매년 2월 4번째 일요일에 개최한다.
2.1. 2025년 대회
2025 대구마라톤 하이라이트 |
2025년 2월 23일 09시 출발한다. (대구스타디움)
1위 상금은 최고 16만 달러. 기록에 따라 시상금 페널티 적용 규정이 있어 남자부 2시간 05분 초과 시 13만 달러, 2시간 06분 초과 시 10만 달러, 여자부 2시간 20분 초과 시 13만 달러, 2시간 21분 초과 시 10만 달러가 지급된다. (남/여 부문 별도 시상)
2025년 대회는 엘리트 부문(정상급 엘리트 선수)과 마스터즈 부문 40,130명(풀코스 13,023명, 하프코스 6,924명, 10km 14,203명, 건강달리기 5,980명)으로 역대 최대 참가 인원을 경신했다.
특히, 마스터즈 부문은 국내 마라톤 중 2024년까지 최대 규모였던 서울 마라톤을 뛰어넘는 최다 참가 인원으로 대한민국 4대 마라톤(동마, 제마, 춘마, 대마)이다.
남자부에서는 두 선수가 대회기록(2시간 5분 33초)을 깼다. 탄자니아의 가브리엘 제럴드 게이 선수가 2시간 5분 20초로 우승했다. 에티오피아의 아디수 고베나 선수가 2시간 5분 22초로 준우승했다.
여자부에서는 에티오피아의 메세레 베레토 토라 선수가 2시간 24분 8초로 우승했다.
남자부 가브리엘 제럴드 게이 선수는 13만 달러(2시간 5분 초과 기록으로 인한 시상금 페널티 규정 적용)와 대회신기록 1만 달러가 지급됐으며, 여자부 메세레 베레토 토라 선수는 10만 달러의 우승 상금을 수령했다.
국내 남자 선수 중에서는 코오롱의 박민호 선수가 2시간 12분 19초로 1위(전체 12위)를 기록했다. 국내 여자 선수 중에서는 충남도청 최정윤 선수가 2시간 32분 20초로 1위(전체 6위)를 기록했다.
2025 대구마라톤 엘리트 중계 |
2.2. 2024년 대회
2024 대구마라톤 하이라이트 |
2024년 대회에는 엘리트 부문 17개국 160명의 정상급 엘리트 선수와 마스터즈 부문 55개국 28,532명(풀코스 7,847명, 하프(릴레이) 1,538명, 10km 12,277명, 건강달리기 6,870명)으로 역대 최다 인원이 참가했다.
엘리트 부문 남자부 1위 스테픈 키프롭(카냐), 루티 아가 소라(에티오피아) 선수는 각각 10만 달러의 상금을 수령했다.
1위 상금은 최고 16만 달러이지만,
대구마라톤 시상금 페널티 적용 규정에 따라
남자부 2시간 05분 초과 시 13만 달러, 2시간 06분 초과 시 10만 달러
여자부 2시간 20분 초과 시 13만 달러, 2시간 21분 초과 시 10달 달러가 지급된다.
한편 현재 세계신기록은 남자부 2시간 00분 35초(켈빈 킵툼/케냐), 여자부 2시간 09분 56초(루스 체픈게티/케냐)이다.
엘리트 부문
남자부 1위 : 스테픈 키프롭 (케냐, 2시간 07분 04초) 마라톤 풀코스를 처음으로 완주한 이번 대구마라톤에서 우승했다.
여자부 1위 : 루티 아가 소라 (에티오피아, 2시간 21분 07초) 2017, 2018 베를린 마라톤 준우승을 기록한 선수이다.
국내 남자부
1위 : 이동진 (대구광역시청, 2시간 18분 04초) (전체 19위)
2위 : 심종섭 (한국전력공사, 2시간 19분 30초) (전체 20위)
3위 : 신현수 (한국전력공사, 2시간 20분 03초) (전체 21위)
국내 여자부2위 : 심종섭 (한국전력공사, 2시간 19분 30초) (전체 20위)
3위 : 신현수 (한국전력공사, 2시간 20분 03초) (전체 21위)
1위 : 정다은 (K-워터, 2시간 34분 31초) (전체 12위)
2위 : 이숙정 (K-워터, 2시간 35분 13초) (전체 13위)
3위 : 한지혜 (경기도청, 2시간 40분 28초) (전체 14위)
2위 : 이숙정 (K-워터, 2시간 35분 13초) (전체 13위)
3위 : 한지혜 (경기도청, 2시간 40분 28초) (전체 14위)
2024 대구마라톤 엘리트 중계 |
3. 코스
풀코스 중후반부 범안로 범안대교를 지나는 구간이 있는데 해당 도로는 자동차전용도로로 요금소가 있어 선수들이 고모 요금소의 하이패스 통로를 뛰어서 통과하는 이색적인 모습이 연출된다.
풀코스 후반부 연호네거리부터 삼성라이온즈파크를 지나는 구간은 대구마라톤의 시그니처인 오르막으로 보스턴마라톤의 하트브레이커 언덕의 명성 만큼 악명 높은 난이도를 자랑하는 명성으로 자자하다.
지점 | 도로명 | 경사 | 방향 |
대구스타디움앞 | 유니버시아드로 | 평지 | 출발 |
대구농업마이스터고앞 | 내리막 | ||
대구시지고등학교앞 | - | 유턴 | |
대구농업마이스터고앞 | 오르막 | ||
대구스타디움앞 | 평지 | ||
대구어린이천문대앞 | 야구전설로 | 내리막 후 평지 | 우회전 |
대공원삼거리 | 달구벌대로 | 평지 | 우회전 후 유턴 |
연호네거리 | 내리막 | ||
대륜고등학교앞 | 오르막 | ||
만촌네거리 | 내리막 | ||
수성구청역 | 평지 | ||
범어네거리 | 동대구로 | 내리막 | 좌회전 |
수성구민운동장역 | 오르막 | ||
황금역 | 오르막 | ||
수성못오거리 | 무학로 | 내리막 | 우회전 |
상동네거리 | 수성로 | 평지 | 우회전 |
중동네거리 | 내리막 | ||
대구은행네거리 | 달구벌대로 | 내리막 | 좌회전 |
경대병원역 | 오르막 | ||
반월당네거리 | 평지 | ||
신남네거리 | 달성로 | 평지 | 우회전 |
동산네거리 | 달성로 | 내리막 | |
달성네거리 | 태평로 | 오르막 | 우회전 |
대구역네거리 | 태평로 | 오르막 | |
동인네거리 | 태평로 | 평지 | |
신천네거리 | 동부로 | 오르막 | |
동대구역네거리 | 동대구로 | 오르막 | 좌회전 |
동대구역앞 | 내리막 | ||
파티마삼거리 | 아양로 | 내리막 | 우회전 |
큰고개오거리 | 내리막 | ||
아양교역 | 오르막 후 내리막 | ||
입석네거리 | 동촌로 | 내리막 | 우회전 |
방촌네거리 | 평지 | ||
반야월삼거리 | 안심로 | 평지 | 우회전 |
율하네거리 | 범안로 | 평지 | 우회전 |
범안대교 | 평지 | ||
고모요금소 | 평지 | 오르막 | |
연호네거리 | 달구벌대로 | 오르막 | 좌회전 |
대공원삼거리 | 야구전설로 | 오르막 | 우회전 |
대구어린이천문대앞 | 유니버시아드로 | 오르막 | 좌회전 |
대구스타디움앞 | 평지 | 우회전 | |
대구스타디움 트랙 | - | 평지 | 종료 |
대구마라톤 코스 |
4. 연혁
대회 | 개최일자 |
25회 | 2026년 2월 22일(예정) |
24회 | 2025년 2월 23일 |
23회 | 2024년 4월 7일 |
22회 | 2023년 4월 2일 |
21회 | 2022년 3월 25일 ~ 4월 30일 (언택트레이스) |
20회 | 2021년 4월 1일 ~ 4월 30일 (언택트레이스) |
- | 코로나-19 팬데믹으로 대회 취소 |
19회 | 2019년 4월 7일 |
18회 | 2018년 4월 1일 |
17회 | 2017년 4월 2일 |
16회 | 2016년 4월 3일 |
15회 | 2015년 4월 5일 |
14회 | 2014년 4월 6일 |
13회 | 2013년 4월 14일 |
12회 | 2012년 4월 8일 |
11회 | 2011년 4월 10일 |
10회 | 2010년 4월 11일 |
9회 | 2009년 4월 12일 |
8회 | 2008년 4월 13일 |
7회 | 2007년 4월 15일 |
6회 | 2006년 4월 16일 |
5회 | 2005년 4월 17일 |
4회 | 2004년 4월 18일 |
3회 | 2003년 4월 20일 |
2회 | 2002년 4월 21일 |
1회 | 2001년 9월 23일 |
5. 역대 우승자
연도 | 남자부 | 여자부 |
2026 | ||
2025 | 게브리엘 제럴드 게이(탄자니아) 2:05:20(CR) | 메세레 베레테 토라(에티오피아) 2:24:08 |
2024 | 스테픈 키프롭(케냐) 2:07:04 | 루티 아가 소라(에티오피아) 2:21:08(CR) |
2023 | 밀키사 멍그샤 톨로사(에티오피아) 2:06:49 | 아얀투 아브레 디미세(에티오피아) 2:25:44 |
2023년 4만 달러에서 2024년부터 대구마라톤은 우승 상금을 16만 달러로 올려 기존 세계 최대 15만 달러인 보스턴 마라톤 대회보다 많은 상금을 걸게 되었다. 대회 명성에 비해 상금이 크지만, 2024년 상금 인상 이후 플래티넘, 골드 라벨의 다수 선수들이 초청에 응하고 매년 2년 연속 대회 신기록을 경신했다.
엘리트 국제부 카테고리가 처음 진행된 2009년 대회 남자부를 우승한 지영준을 빼면 2010~2025년 대부분 대회에서 케냐와 에티오피아 국적의 선수가 우승을 번갈아 우승했고, 2022년 에리트레아 국적의 나즈렛 웰두와 2025년 탄자니아 국적의 게브리엘 제럴드 게이 선수만 앞서 언급한 케냐, 에티오피아 외 다른 나라 선수가 우승한 기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