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0 13:53:46

누루

{{{#!wiki style="margin: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
<table bgcolor=#e32525><table bordercolor=#e32525>
파일:미라큘러스 로고.png
[[콰미|{{{#!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efefe; font-size: 1em;"]]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43434>
노블
프라이머리
파일:ㅌㅋ.jpg
파일:플랙!.jpg
파일:ㄴㄹ.jpg
파일:Trixx_Square.png
파일:웨이즈1.jpg
티키 플랙 누루 트릭스 웨이즈
<rowcolor=#343434>
프라이머리
조디악
파일:폴렌!.jpg
파일:틀두수.jpg
파일:물로1.jpg
파일:스톰프1.jpg
파일:ㄹㅇㄹ.jpg
폴렌 두수 물로 스톰프 로아르
조디악
파일:플러프1.jpg
파일:롱1.jpg
파일:칼키1.jpg
파일:지기1.jpg
플러프 사스 칼키 지기
<rowcolor=#343434>
조디악
논외
파일:오리코1.jpg
파일:Barkk2.jpg
파일:ㄷㅇㅈ.jpg
파일:기미.jpg
슈푸 오리코 바크 데이지 기미 }}}}}}}}}
전파의 요정[1]
누루
파일:누루2.jpg
<colbgcolor=#79d><colcolor=#369> 영문명 Nooroo[2]
형상 나비[3]
성별 남성에 가까운 무성[4][5]
변신체 호크모스 (Hawk Moth)
섀도우모스 (Shadow Moth) (+두수)
블랙섀도우 (Shadownoir) (+플랙, 두수)
모나크 (Monarch) (+α)[6]
모나버그 (Monarbug) (+티키)
베터플라이(Betterfly)[7]
레이디 플라이 (Lady Fly)
크리살리스 (Chrysalis)
부작용[8]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파리 전체를 파괴할 엄청난 크기의 빌런/영웅을 만들 것으로 추정된다.
스톤 브로치[9]
무기 지팡이 검
먹이 [10]
주인 정식 소유: 중국 수호자 사원 → 마스터 푸 → 소실 → 가브리엘 아그레스트라일라 로시
평행세계에서: 가브리엘 아그레스트(베터플라이)
성우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정미라

[[미국|]][[틀:국기|]][[틀:국기|]] 벤저민 디스킨

[[프랑스|]][[틀:국기|]][[틀:국기|]] 마르시알 르 미누
나이 3500주기 이상
"누루, 빛의 날개를 펴라!"
"Nooroo, Light Wings Rise!"
선한 목적으로 사용했을 때, 작중 베터플라이의 변신 주문이다.
"누루, 어둠의 날개를 펴라!"
"Nooroo, Dark Wings Rise!"
악한 목적으로 사용했을 때, 작중 호크모스의 변신 주문이다.

1. 개요2. 능력3. 성격4. 작중 행적5. 어록6. 여담

[clearfix]

1. 개요

미라큘러스에 등장하는 전파(傳播)의 요정.[11] 오행 중 쇠를 상징한다.

속성은 추정상 쇠의 속성을 가진 듯 하다. 시즌 1~5의 주인이 변신한 악당의 이름은 호크모스. 다른 사람에게 검은 나비로 능력을 부여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이를 나쁜 의도로 사용하려는 호크모스의 계획을 탐탁지 않게 여기나 현재 나비 미라클스톤의 소유자인 호크모스에게 어쩔 수 없이 복종하고 있다. 이것으로 보아 콰미들은 미라클스톤 소유자가 나쁜 마음을 먹을 경우, 그것을 말로 말리는 것 이상으로 저항하지는 못하는 듯. 자신의 생일에는 슬쩍 다른 콰미들이 열어준 자신의 생일파티에 가려고 하지만 호크모스에게 걸려 빌런들처럼 고통을 받다가 구속당한다. 여담으로 누루가 정말 변신을 싫어하는 이유는 주인이 빌런이기 때문에 변신이 사악한 용도로 쓰이기 때문이다. 근데 미래에도 호크모스가 있다는 걸 보면 누루의 고생은 미래까지 이어지는 듯하다.[12] 시즌 6부터 주인이 바뀌어 새 악당인 크리살리스로 활동하고 있다.

2. 능력

시리즈의 메인 빌런 답게 능력이 매우 많다. 주인공 레이디버그의 요정인 티키 이상으로 많지만, 그 중 여러 개는 다른 능력에서 파생된 능력이라 핵심능력은 검은 나비 빌런화/영웅화 및 감정감지.

기호 구분 ▼
* ☆ - 선한 목적으로 사용했을 때의 능력
  • ★ - 악한 목적으로 사용했을 때의 능력(또는 그런 것으로 추정되는 능력)
  • ♠ - 호크모스만 사용했던 능력
  • ◆ - 크리살리스만 사용했던 능력

3. 성격

상당히 여리다. 그래서 가브리엘에게 호통을 들으면 겁내거나 놀라는 등 꽤 소심한 모습을 보여준다. 하지만 누루는 아무리 가브리엘이 무서워도 할 말은 하는 편.[21][22]

원래 착한 성격이었으나 주인인 가브리엘이 악한 마음을 먹고 누루를 사용하자 누루는 결국 고생하게 된다. 그래서 가브리엘이 변신할 때면 비명을 지르며 브로치로 빨려들어간다. 하지만 새 친구 두수가 생기고 나서는 비명을 지르며 들어가지 않는다. 그리고 시즌 5에서도 혼자 변신을 할 때가 있었으나 다른 요정들이 있어서 그런지 이번에도 비명을 지르지 않았다.[23][24]

새 주인인 라일라도 가브리엘 못지 않는 악인이기 때문에 또 고생한다. 특히 라일라가 가브리엘 이상으로 치밀한 계획을 새우는데, 누루는 그때마다 라일라에게 그건 좀 과하지 않냐고 말리지만, 그때마다 라일라가 닥치라면서 누루를 마법으로 봉인한다. 가브리엘이 누루에게 닥치라고 하면 그냥 입만 움직일 수 없을 뿐인데, 라일라가 하면 누루가 그냥 돌처럼 굳어버린다.

악의 목적으로 이용당하면서도 본인의 심성이 착하기 때문에 자신의 주인이 실패하면 오히려 기뻐하는 모습을 보인다. 다만 그 모습은 주인이 좋아할 일이 없기 때문에 항상 고생한다.

4. 작중 행적

시즌 4부터 속눈썹이 생겼다.

미래의 호크모스가 라일라 로시라는 추측이 굉장히 많았는데, 시즌 5 26화 <최후의 날 2> 편에서 라일라가 가브리엘이 떨어뜨린 나비 브로치를 착용하므로서 정식으로 2대 호크모스가 되었다.

5. 어록

그 부정적인 감정이 아드님의 감정 아닐까요? 함께 시간을 더 보내세요.
누루 | 하지만 미라클스톤을 나쁜 데에 사용하면 큰일이 난다고요!
가브리엘 | 난 그 신과 같은 힘이 필요해! 네 미라클스톤은 나에게 들어왔다. 이제부터 난 너의 주인이다. 복종하라, 나의 종이여!
누루 | 네... 주인님.
가브리엘 | 누루, 어둠의 날개를 펼쳐라!
누루 | 꺄아야아악!
― 시즌 1 14화 <탄생! 레이디버그 1> 편 中.
하지만 주인님 오늘은 제 생일이에요! 저는...
― 시즌 2 19화 <악몽을 부르는 샌드보이> 편 中.[25][26]

6. 여담



[1] 프랑스 코믹스에서는 관대함을 상징한다고 서술했으나 후에 트위터에서 토마스 아스트뤽이 전파(transmission)의 요정이라고 밝혔다.[2] 콰미들은 영문명에 같은 알파벳이 반복된다.[3] 프랑스어 Papillon은 나비, 나방 둘 다로 해석이 가능한데, 한국판에서는 변신명인 '호크모스'가 박각시 나방을 의미하는 점 때문인지 '나방'으로 번역하여 혼선을 빚었으나 나비가 맞다.[4] 콰미들은 모두 성별은 없으나, 남성체나 여성체로 구분할 수 있다.[5] 누루는 공식적으로 남성을 지칭하는 He/Him을 대명사로 사용하기에 남성체이다. 그러나 영미판 더빙, 한국어 더빙에서 모두 여성에 가까운 목소리라서 여성체라고 착각하는 팬들도 많다. 프랑스어 더빙에서는 남성의 목소리다.[6] 가브리엘이 소유하고 있는 모든 콰미와 합체 가능. 합체는 변신체 디자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얼라이언스 모나크가 되기 전(시즌 5 1~3화, 파리 스페셜)에는, 합체 변신하면 모나크 가슴쪽에 있는 스테인드 글래스같이 생긴 색깔 디자인이 불이 들어오는 것으로 어떤 능력을 사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할 수 있었다. 얼라이언스 반지를 사용한 후는 파악할 방법이 없다. 애초에 얼라이언스 모나크는 얼라이언스에 콰미의 능력을 담아 써서 부작용 없이 합체 변신의 효과를 낼 수 있을 뿐 실제로는 나비 미라클스톤 단일 변신체이며 합체 변신 주문도 외우지 않는다. 가브리엘 상태에서도 얼라이언스 능력은 사용이 가능하므로 둘은 완전히 별개의 능력인 셈.[7] 프랑스판은 히스페리아(Hesperia).[8] 주인 없이 혼자 능력을 발동할 때 생기는 부작용을 의미한다.[9] 로켓 펜던트의 역할도 해서 안에 에밀리 아그레스트의 사진이 들어있다. 위장 모드에서는 펜던트가 아닌 원형의 보석이다.[10] 꽃술로 추정된다.[11] 영어: Kwami of Transmission[12] 누루의 능력 자체가 빌런에게 악용되어 사용될 가장 좋은 미라클스톤이기에 스토리상 어쩔 수 없는 것도 있다.[13] 한국어 자막판에서는 하얀 나비라고 나오지만, 일단 색이 명백하게 보라빛이라 "하얀" 나비라고 부르는건 이상하고, 하얀 나비는 보통 "검은 나비가 되기 전 상태의 나비"를 지칭하기 때문에, 본 문단에서는 "선한 나비"라는 번역을 사용했다.[14] 닭 미라클스톤과 달리 다른 콰미가 가진 능력도 부여할 수 있으나, 소원같은 능력은 무리다.[15] 다만 꼭 부정적인 감정을 가진 자만 지배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일반적으로는 부정적인 감정이 사라지면 검은 나비가 더 이상 다가가지 않게 되지만, 처음부터 악당의 편이라면, 아니면 미라클스톤을 가지고 있는 장본인이라면, 부정적인 감정 없이 자발적으로 빌런이 되는 건 가능하다.[16] 본래는 나비가 따로 필요한 것으로 추측되었으나, 시즌 6 예고에서 잠시 공개된 정황을 보면 인위적으로 나비를 창조하는 것도 가능한듯.[17] 한국에서는 메가 나비로 번역되었다.[18] 호크모스는 자신의 비밀기지에서 하얀 나비를 대량으로 양식하고 있어서 그냥 보내지만, 베터플라이는 사용한 하얀 나비를 회수하고 소드스틱의 끝부분에 저장한다.[19] 베터플라이와 호크모스는 보라색, 스칼릿모스는 붉은색, 섀도우모스는 바이울렛색, 모나크는 청색. 크리살리스는 그림체 변화 때문인지 더 사실적인 나비의 형상을 하고 있다.[20] 다만 이는 "탄생, 레이디버그"에선 딱 한 번 나왔다. 다른 화에서는 레이디버그가 빠짐없이 정화를 했거나 호크모스 본인이 제거했기 때문이다.[21] 그러나 가브리엘은 누루가 반항하면 주인이라는 이유로 누루가 말을 하지 못하도록 입을 막아버린다.[22] 영화 각성에서는 그 반대이다.[23] 참고로 시즌 5 3화 <숨겨 놓은 단서> 편 이후로는 누루 혼자 변신되고, 남은 미라클스톤은 얼라이언스로 전송된다.[24] 아니면 소리지르기 귀찮아서 그런지도 모른다.[25] 여기서 가브리엘이 누루의 말을 끊고 '"넌 나한테서 떨어지면 안 돼! 외부인과 소통해서도 안 돼! 예외는 없다!"라고 말한다. 그 후 누루가 무슨 말을 하려고 "하지만 주인님..."이라고 말하려는데 가브리엘이 누루의 입을 막아 버린다.[26] 자신의 생일날에도 밖으로 못 나가는 것이 이 사람과 똑같다.[27] 만약 나비 미라클스톤이 정의를 위해서 사용했다면 굳이 화를 다스려서 검은 나비를 회피하는 주문을 만들 필요가 없다.[28] 혹은 이전 사용자가 영웅이었지만 빌런으로 타락했을 수도 있다.[29] 모든 미라클스톤이 정의나 악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쪽은 특히 악한 일을 하기에 더 수월한 모양.[30] 다른 미라클스톤에는 공통적으로 능력을 사용한 후 5분 타이머로 작용되는 시계 디자인이 있다. 시간을 다루어서 애초에 변신이 풀릴 일이 없는 버닉스나 성인이라서 5분 페널티가 없는 마유라도 미라클스톤에 그런 디자인이 제대로있다. 공작 미라클스톤의 경우 미성년자인 필릭스가 사용했으나 작중 변신이 풀리는 경우를 보여주지 않았다.[31] 이는 시즌 6에서 청소년인 라일라 로시가 나비 미라클스톤을 정식으로 소유하게 되면서 타이머의 모습이 나올 가능성이 높아졌다. 혹은 악의 힘으로 안전 장치를 해제하거나 시즌 5 23화의 레이디버그와 블랙캣처럼 5분 페널티를 해제하는 방법을 터득할 수도 있다. 그러나 나비 미라클스톤이 토끼 미라클스톤처럼 시간 제한이 없을 수도 있다. 검은 나비를 만드는 것까지가 능력을 사용하는 것인지 검은 나비가 잠식되고 정화하기 전까지가 능력을 사용한 것인지 애매하기 때문이다. 시즌 5 18화에서 필릭스도 상상괴물 레드문을 만들고 능력을 사용했는데 5분 페널티가 나타나지 않았다. 검은 나비가 정화되지 않는 이상은 능력을 사용하는 중이라고 인식되는 것일 수도 있다.[32] 시즌 2에서 번역 오류로 "어둠의 날개를 펼쳐라"로 번역된 적이 있다. 시즌 3부터 제대로 번역됐다.[33] 직역하면 "신의 아들"이라는 뜻이지만, "신내림 받은 자" 또는 "신을 섬기는 자"라고 해석할 수 있다. 공교롭게도 일본에서도 이미 "神子"를 칭호로 사용하는 캐릭터가 있다. 다만 이쪽은 "카미코"가 아닌 "미코"(=무녀)로 읽는다. 神子가 무녀의 의미로 사용했을 때 대체로 "미코"라고 읽으나, Miko가 그래도 좀 알려져 있는 말이다 보니 神子의 한자표기만 따와서 그대로 Kamiko로 부른 것으로 보인다.[34] 다만 베터플라이의 세계와 같이 무당벌레, 고양이 미라클스톤 사용자가 빌런인 세계가 파리 스페셜 편에 등장한 여러 평행세계 중 하나뿐이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저 세계를 제외한 다른 세계에서의 누루는 원작과 매한가지로 계속 고통받고 있을(...)가능성이 높다. 왜 나 누루는 햄보칼 수가 업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327
, 5.2.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32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