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7 15:47:37

김연경/2018-19 시즌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엑자시바시 비트라/역대 시즌]]{{{#!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
파일:김연경 로고.png
김연경 구단 경력
2017-18 시즌 2018-19 시즌 2019-20 시즌

1. 개요2. 경기 하이라이트3. 총평4. 둘러보기

1. 개요

파일:엑자시바시 No.18.jpg
엑자시바시 No. 10[1]
파일:eczacibasisporkulubu_1.jpg 파일:eczacibasisporkulubu_2.jpg

2. 경기 하이라이트

파일:2019 터키컵 결승.jpg
파일:181205 vs Supreme Chonburi.jpg 파일:eczacibasisporkulubu_51582998_1163238073850018_2992136103964126144_n.jpg
12월 5일 VS 슈프림 촌부리 MVP CEV 챔피언스 리그
3월 13일, 코네글리아노와의 1차전 경기 이후 인터뷰

3. 총평

기대와는 다르게 아쉬움이 남았던 2018-19 시즌 (ft. 브라질의 차해원)

2018년 국가대표 시즌 내내 VNL, 아시안 게임, 세계 선수권을 거치면서 차해원[2] 감독의 이해 불가 전략, 전술, 그리고 스피드 배구 타령으로 내내 고통받던 팬들에게 엑자시바시 비트라로의 이적 소식은 한 줄기 빛과 같았다.

사실 김연경이 지난 7년 동안 헌신해 온 페네르바흐체CEV 챔피언스 리그 우승컵을 들어올린 2011-12 시즌 이후 모기업 페네르바흐체의 비리 사건과 계속되는 재정 악화로 명문 구단이라는 타이틀에 빛이 바랬다. 스폰서도 없는 시즌이 대부분이었고[3] 팀 스쿼드도 라이벌 바키프방크와 엑자시바시에 비하면 한참 약했다. 김연경이 터키 시즌 내내 소녀가장 역할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었는데, 덕분에 팬들은 스쿼드가 강하고 구단의 지원이 넘치는 팀에서 뛰길 간절히 바랬다.

몇 년 동안 엑자시바시를 포함한 여러 구단에서 오퍼가 들어왔을 때도 의리를 생각해서 페네르바흐체에 잔류하기를 선택했었는데 한 시즌간 중국에서 뛰고 난 2018-19 시즌이 이적하기에 좋은 타이밍이었다. 그럼으로 검증된 실력의 레프트 미국의 조던 라슨[4]과 당시 세계에서 제일 잘하는 아포짓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세르비아의 티아나 보스코비치[5]가 버티고 있는 엑자시바시로의 이적 소식은 마른 가뭄에 단비였다. 거의 최강이라고 할 수 있는 윙 스파이커 삼각편대에 팬들은 트레블[6] 까지 기대하며 김칫국을 마시는 상태였다.

결국 2018-19 시즌 동안 우승 컵 두개(터키 컵과 터키 슈퍼 컵)를 들면서 팀 자체의 성적은 나쁘지 않았지만[7], 김연경 본인은 자신의 퍼포먼스에 아쉬움이 남아 있는 듯하다. 이제는 팀에서 최다 득점을 올려야 하는 책임감은 오포짓 스파이커 티아나 보스코비치 덕분에 벗어났지만 여전히 팀 내 두 번째로 최다 득점에 리시브 시도 수도 제일 높다. 올라운드 플레이어다 보니 공격뿐만 아니라 수비, 연결 등 그 외적인 부분에도 많은 신경을 쓰는 듯 보인다. 본인 말에 따르면, 경기에서 더욱 공격적으로 가고 싶어하는데 감독 마르코 모타는 김연경에게 수비적인 롤을 더 강조한다고 한다.

다음 시즌 엑자시바시내의 김연경의 역할에 어떤 변화가 있을지는 지켜볼 부분이다.

4. 둘러보기

파일:김연경 로고.png
김연경의 선수 경력
파일:잡지_스포츠2.0 08년 3월.jpg
파일:잡지_더스파이크 18년 6월.jpg
핑크빛 거포에서 배구 여제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통산 선수 경력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구단 경력
2005-06 2006-07 2007-08 2008-09
2009-10 2010-11 2011-12 2012-13
2013-14 2014-15 2015-16 2016-17
2017-18 2018-19 2019-20 2020-21
2021-22 2022-23 2023-24 2024-25
국가대표 경력
2005 2006 2007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2018 2019 2020 2021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통산 부상 내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2006년 5월: 2005-06 시즌 종료 이후 오른쪽 무릎 뼛조각 제거 수술
  • 2007년 5월: 2006-07 시즌 종료 이후 왼쪽 무릎 연골판 파열 및 수술 #
  • 2008년 4월: 2007-08 시즌 종료 이후 오른쪽 무릎 관절 파열 및 수술로 인해 베이징 올림픽 아시아 예선전 불참 #
  • 2012년 8월: 런던 올림픽 본선에서 오른쪽 무릎 반월상 연골판 파열 #
  • 2013년 9월: 2013 아시아 선수권에서 어깨 탈구 부상 #
  • 2015년 8월: 2015 월드컵에서 발뒤꿈치 부상(전치 3주)#
  • 2016년 11월: 2016-17 시즌 전반부 도중 복부 근육 손상(전치 3주) 및 대상포진 #
  • 2020년 1월: 태국에서 열린 올림픽 아시아 예선전에서 복부 파열(전치 6주) 및 재활로 인해 튀르키예 리그 2019-20 시즌 후반부 결장 #
}}}}}}}}} ||



[1] 2018-19 시즌은 18번을 달았고 2019-20 시즌에 다시 원번호 10번으로 복귀했다.[2] 이후 차해원은 1년 만에 경질되고 브라질 리그 미나스의 라바라니 감독이 국가대표 감독으로 선임되었다.[3] 2014-15 시즌 그룬디히 스폰서도 김연경 덕분에 가져왔다는 게 거의 사실이었다.[4] 2015년 엑자시바시가 챔피언스리그를 우승하면서 MVP를 수상했다.[5] 2016 리우 올림픽에서 세르비아를 은메달로 영도했다.[6] 클럽 챔피언십, 챔피언스 리그, 정규 리그 우승, 터키 컵, 터키 슈퍼 컵에서 모두 우승하는 걸 뜻함[7] 작년 엑자시바시의 성적은 CEV 컵 우승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