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창근 C 10 주민규 · 12 김승대 · 14 김준범 VC · 16 이명재 · 17 최건주 · 19 서진수 · 20 정진우 22 오재석 · 25 이준서 · 26 김민덕 · 27 정재희 · 29 유강현 · 30 김봉수 · 31 김민수 33 김문환 · 35 조현우 · 39 임은수 · 40 이경태 · 44 이순민 VC · 66 김한서 · 70 김현욱 · 72 김진야 73 이준규 · 76 에르난데스 · 77 주앙 빅토르 · 88 여승원 · 89 정산 · 90 김현오 · 98 안톤 VC |
|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 ||||
<colbgcolor=#007e6e><colcolor=#fff> 대전 하나 시티즌 No. 30 | ||||
김봉수 金奉首 | Kim Bong-soo | ||||
출생 | 1999년 12월 26일 ([age(1999-12-26)]세) | |||
대구광역시 | ||||
국적 |
| |||
신체 | 키 181cm / 체중 74kg | |||
포지션 | 수비형 미드필더, 센터백, 중앙 미드필더 | |||
주발 | 오른발 | |||
소속 | <colbgcolor=#007e6e><colcolor=#fff> 유스 | 대구 FC (2010~2011) 대구 김세인 FC (2013~2014) | ||
선수 | 제주 유나이티드-SK FC (2021~2025) → 김천 상무 FC (2024~2025 / 군 복무) 대전 하나 시티즌 (2025~ ) | |||
국가대표 | 2경기[1] (대한민국 / 2024~ ) | |||
{{{#000,#fff 정보 더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000,#fff | <colbgcolor=#007e6e><colcolor=#fff> 학력 | 대구공업고등학교 (졸업) 광주대학교 (중퇴) |
1. 개요
대한민국의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 축구 선수. 주 포지션은 미드필더.2. 클럽 경력
2.1. 프로 이전
대구 출생으로 대구 FC U-12 팀에서 축구를 처음 시작했다. 이후 서운중학교로 진학했으나, 1학년을 마치고 다시 대구로 돌아왔다. 그리고 과거 포항 스틸러스에서 선수 생활을 했던 김세인이 2010년 고향 대구에 창단한 유소년 클럽이었던 김세인 FC에서 약 2년 간 축구를 배우고, 대구공고로 진학해 고등학교 3년을 보냈다.이후 광주대 18학번으로 입학하여 다시 대구를 떠나 2019년 광주대의 3년 연속 U리그 6권역 우승을 이끌며 대학축구연맹 우수 선수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2.2. 제주 SK FC
2021 시즌 시작 전 신인계약을 통해 K리그1 제주 유나이티드 FC에 입단했다. 등번호는 30번.2.2.1. 2021 시즌
4월 7일자 리그 8라운드 강원 FC 상대 홈경기에서 선발출장 하면서 K리그1 데뷔전을 가졌다. 별다른 활약없이 전반전 32분 김영욱과 교체아웃 되었다.4월 21일의 리그 11라운드 FC 서울과의 홈경기에서도 전반전 17분 박스 근처 혼전상황 속에서 중거리슛으로 팀의 동점골이자 K리그1 데뷔골을 만들어냈다. 팀은 권한진의 역전골로 2 : 1 승리를 거두었다.
8월 18일의 리그 20라운드 순연경기 FC 서울 원정에서 선발 출장하였고, 전반 6분 이창민의 프리킥이 골대를 맞고 나온 것을 그대로 헤딩으로 밀어넣어 경기의 승부를 가르는 결승골을 기록했고, 전반 41분 이동수와 교체 아웃되었다. 이날 승리로 제주는 12경기 무승에서 탈출했다.
9월 25일 리그 32라운드 포항 스틸러스 원정 경기에서 55분에 진성욱의 키핑을 방해하려던 포항 선수의 터치가 흘러온 것을 받고 골문 왼쪽 하단에 때려넣으며 팀의 네번째 골을 득점했다. 이 경기에서 제주는 2:4로 승리하였다.
2021 시즌 제주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28경기 출전 3골 1도움. 프로 신인 시즌에 U22세 룰의 수혜를 받으며 주전으로 성장, 이창민과 중원 조합을 이루며 팀의 4위에 큰 기여를 했다. 영플레이어상 공식 후보에는 들지 못했지만 많은 팬 사이에서 이름이 거론될 만큼 좋은 활약을 보였고 U22 룰에서 벗어나는 다음 시즌에 활약 여부에 따라 영플레이어상을 다시금 노려볼 만하다.
시즌이 끝나고 계약 만료가 됐으나, 시즌 종료 후 제주와 재계약했다.
2.2.2. 2022 시즌
U-22 제도 혜택이 끝나는 만큼 본격적으로 프로 레벨에서 경쟁해야 하는 해였다.개막을 앞두고 원래 포지션이 아닌 쓰리백의 한 축으로 포지션을 변경했고 성공적으로 팀의 주전으로 안착했다. 각각 전반기, 후반기 주장인 김오규, 정운과 주전조로 나섰다.
4월 27일 FC 안양와의 FA컵 3라운드 연장 후반 8분 코너킥 상황에서 감각적인 탈압박 이후 왼발 슈팅으로 쐐기골을 기록하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7월 8일 성남 FC와의 리그 홈경기에서 이창민의 중거리 슈팅을 어시스트하며 팀의 승리에 기여했다.
팀이 막판으로 갈수록 들쑥날쑥한 경기력을 보임에도 시즌 내내 남기일 감독의 중용을 받으며 대부분의 경기에 나섰다.
2022 시즌 제주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35경기 출전 1골 1도움.
2.2.3. 2023 시즌
국가대표 출신 수비수 임채민이 팀에 합류하며 주전에서 밀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임채민이 2라운드 이후 부상으로 아웃되며 다시 주전으로 나서고 있다. 게다가 주장 최영준이 개막전에서 장기 부상을 끊으며 미드필더도 소화 가능한 김봉수는 대체 불가 자원으로서 대부분의 경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4R FC 서울와의 홈경기에선 66분에 자책골을 집어넣으며 패배에 기여하고 말았다(...). 이 경기에서 정운마저 햄스트링 부상으로 아웃되며 김봉수의 필요성은 더욱 커졌다.
10R 대전 하나 시티즌와의 원정 경기에서 후반 초반 구자철과 교체 투입했고, 후반전 78분 박스안 혼전 상황에서 오른발로 침착하게 쐐기골을 만들어내며 팀의 3:0 승리에 기여했다. 정운, 이창민 등 여러 포지션에서 김봉수의 경쟁자들이 복귀하며 김봉수의 입지에 변화가 생기나 했으나 구자철이 햄스트링으로 아웃되며 또 다시 김봉수는 당분간 주전으로 나설 전망이다.
11라운드 포항 스틸러스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코너킥 상황이후 굴절슛으로 역전골을 만들어내며 프로 데뷔 첫 두 경기 연속 득점을 기록, 팀의 2:1 승리와 홈에서 시즌 첫 승리를 만들어냈다.
6월 1일, 팀내 김주공과 함께 상무 최종 합격이 발표되며 다음 시즌부로 김천 상무 FC에서 뛰게 되었다.
11월 1일 포항 스틸러스와의 FA컵 준결승전에 선발출전하였다. 이 날은 그 전 경기에 이어 또 투톱으로 출전하였다. 그래도 전반 40분 역습 상황에서 전진드리블 후 버티다가 왼쪽에서 쇄도하던 서진수에게 패스를 줬다. 패스를 받은 서진수는 이후 바로 강력한 슈팅으로 골을 만들어냈고, 김봉수는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37R 대전전이 끝나고 군 복무를 해결하기 위해 김천 상무 FC에 입단하였다.
2023 시즌 제주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FA컵을 포함해 도합 38경기 출전 2골 2도움.
2.3. 김천 상무 FC (군 복무)
2023년 12월 4일, 훈련소로 입소하며 군생활을 시작했다. 전역 예정일은 2025년 6월 3일.2.3.1. 2024 시즌
2024 시즌 등번호 15번을 받았다.이상민의 부상으로 주전 센터백으로 나서고 있는데, 2024시즌을 앞두고 입대한 동기들 중 가장 먼저 주전으로 뛰고 있다.
4라운드 수원 FC 원정 경기에서 4:1 대승에 기여했고 4라운드 베스트 11 센터백 부문에 선정됐다.
7라운드 친정팀 제주 원정에서 2:0 대승에 기여했고 라운드 베스트 XI 센터백 부문에 선정됐다.
2024년 팀 K리그 대 토트넘 홋스퍼의 리그 올스타전 대비 팀 K리그 멤버를 선발하는 "팬 일레븐"의 후보 44인에 올랐다. 중앙 미드필더는 물론 센터백을 오가며 김천의 선두 질주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활약을 인정받았다.
김봉수 2024년 K리그 성적 | ||||||||
출전시간 | 경기(선발) | 득점 | 도움 | 슈팅(유효) | 키패스 | 경고(퇴장) | ||
3405 | 38(38) | 0 | 1 | 9(5) | 14 | 4(0) |
2024 시즌 K리그1 대상 시상식 베스트 일레븐 중앙 미드필더 부문 최종 후보 6인으로 선정되며 개인 커리어 첫 K리그1 대상 시상식에 참여하게 되었으나 아쉽게도 고승범과 오베르단이 수상하게 되었다. 그래도 라운드 베스트11을 7회 수상하며 팬들에게 리그 베스트11 유력 후보로 언급되고, 김천이 프로화 이래 최고 성적인 리그 3위를 기록할 만큼 커리어 하이를 보냈다.
2.3.2. 2025 시즌
2025시즌을 앞두고 제주에서 달던 등번호 30번을 그대로 달았고, 서민우와 함께 중앙 미드필더 주전조로 나서고 있다.10라운드 울산 HD FC 홈경기에서 정확한 크로스로 박상혁의 헤딩 골을 어시스트했다. 10라운드 베스트11 선수에 선정됐다.
16라운드 FC 서울 홈경기에서 경기 후반 상대 선수들과 충돌이 일어나며 벤치 클리어링을 벌이는 등 자신의 전역 전 마지막 경기에서 분투했지만 팀은 0:1으로 패배했다.
6월 4일 만기전역하였다.
2.3.2.1. 이적 사가
전역 후 대전 하나 시티즌, 전북 현대 모터스, 울산 HD FC 등 리그 상위권 구단과 짙은 링크가 뜨며 제주를 떠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6월 5일 전역 이후 제주 선수단과 작별인사를 하였고 대전으로 이적이 유력하고 보도되었다.
이적료는 K리그 무대에서 흔히 보기 힘든, 10억원 언저리의 두 자릿수 이적료로 추정된다. 또한 김봉수의 연봉도 기존 제주에서 받던 연봉 대비 대폭 인상했다고 알려졌다.
이순민과 밥신에 지나치게 의존해 그들의 혹사로 불안정했던 3선에 리그 최상급 수비형 미드필더 자원을 추가하며 단숨에 리그 정상급 3선 스쿼드를 가지게 된 대전이다.#
2.4. 대전 하나 시티즌
6월 11일 대전 구단은 김봉수 영입을 공식발표했다. 등번호는 제주, 김천에서 달던 30번을 그대로 달았다.2.4.1. 2025 시즌
19라운드 김천 상무 홈 경기에서 이순민과 함께 투볼란치 수비형 미드필더 자리에 위치하며 선발 출전하였고 준수한 수비력으로 팀의 무실점 경기를 이끌었다.20라운드 광주 FC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중원에서 밥신과 첫 호흡을 맞추었고 퀄리티 높은 패스들과 많은 활동량을 바탕으로 한 수비력을 보여주며 활약하였다. 팀은 아쉽게 무승부로 4경기 연속 리그에서 승리를 가져가지 못하였다.
30라운드 대구 FC 홈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전반 24분 대구 진영에서 공을 갈취해온 후 정확한 크로스로 마사의 선제골을 어시스트하였다. 이후에도 대구와의 중원 싸움에서 우위를 점하는 모습을 보여주었고, 팀은 3:2로 승리하였다.
3. 국가대표 경력
2021년 9월 24일에 황선홍 감독이 이끄는 대한민국 U-23 축구 국가대표팀의 AFC U-23 아시안컵 예선 대비 소집 훈련 명단에 포함되었다.2024년 11월 4일, 북중미 월드컵 아시아 3차 예선 중동 2연전을 앞두고 발표한 홍명보호 명단에 이름을 올리면서 A대표팀에 첫 발탁되었다.
2025년 6월 23일 2025 EAFF E-1 풋볼 챔피언십 소집 명단에 발탁되었다.
1차전 중국전에서 선발 출전하여 국가대표 데뷔전을 가지게 되었다. 수비와 공격 사이의 연결고리 역할을 성실히 해내며 교체되기 직전까지 팀의 다득점 무실점에 크게 공헌하였고 후반 73분 서민우와 교체되었다.
4. 플레이 스타일
제주에서 막 데뷔를 했을 때는 남기일 감독이 백3의 우측 스토퍼를 보게 하였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믿음과 최영준의 부상이 겹쳐 본 포지션인 수비형 미드필더로 기용되었다.많은 활동량으로 상대와의 경합에서 우위를 가져가고 가끔씩 나오는 중거리 슈팅이 위력적이다.
특히 김봉수의 장점은 볼 위닝 능력인데 상대와의 50vs50 상황에서 볼을 탈취해야 될 때는 거의 모든 상황에서 볼을 가져온다.
또한 데뷔 초반에는 패싱력이 아쉬웠지만 이창민과 최영준이 빠진 제주 중원에서 계속해서 주전으로 나오다 보니 패싱력도 점차 올라갔고 김천에서 더 성장한 빌드업 능력을 보여줬다.
5. 기타
- 좋은 실력을 가지고도 간발의 차로 아시안게임 대표팀에 들지 못했고, 이후 아무리 뛰어난 모습을 보여줘도 최종예선 한 번을 빼고는 국가대표에 발탁되지 않는 중이다. 국대에 선발되지 않으니 이적 시장에서 메리트가 떨어지고 더더욱 국대에 뽑히지 못하는 일종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어떻게 보면 시대를 잘못 만난 선수.
- 현 대전 소속으로 김천 상무 FC에 입대한 임덕근과 외모가 매우 닮았다. 2025시즌 여름 이적시장에서 김봉수가 대전에 영입되고 인스타와 유튜브에서 임덕근이 입대하자마자 제대한 것 아니냐는 드립이 난무하기도 하였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전 하나 시티즌 2025 시즌 스쿼드 | ||||
1 (C) | 2 | 3 | 5 | 6 | |
이창근 Lee Chang-geun 1993.08.30 186cm | 80kg | 박규현 Park Kyu-hyun 2001.04.14 183cm | 78kg | 하창래 Ha Chang-rae 1994.02.16 188cm | 82kg | 임종은 Lim Jong-eun 1990.06.18 192cm | 88kg | 강윤성 Kang Yoon-sung 1997.07.01 172cm | 65kg | |
7 | 8 | 9 | 10 | 12 | |
마사 Ishida Masatoshi 1995.05.06 180cm | 68kg | 밥신 Victor Bobsin 2000.01.12 184cm | 74kg | 구텍 Vladislavs Gutkovskis 1995.04.02 187cm | 87kg | 주민규 Joo Min-kyu 1990.04.13 183cm | 88kg | 김승대 Kim Seung-dae 1991.04.01 175cm | 64kg | |
14 (VC) | 16 | 17 | 19 | 20 | |
김준범 Kim Jun-beom 1998.01.14 176cm | 74kg | 이명재 Lee Myung-jae 1993.11.04 181cm | 75kg | 최건주 Choi Geon-ju 1999.06.26 176cm | 65kg | 서진수 Seo Jin-su 2000.10.18 184cm | 73kg | 정진우 Jung Jin-woo 2004.09.24 190cm | 80kg | |
22 | 25 | 26 | 27 | 29 | |
오재석 Oh Jae-seok 1990.01.04 178cm | 76kg | 이준서 Lee Jun-seo 1998.03.07 186cm | 83kg | 김민덕 Kim Min-duk 1996.07.08 183cm | 78kg | 정재희 Jung Jae-hee 1994.04.28 174cm | 70kg | 유강현 Yu Kang-hyun 1996.04.27 186cm | 78kg | |
30 | 31 | 33 | 35 | 40 | |
김봉수 Kim Bong-soo 1999.12.26 181cm | 74kg | 김민수 Kim Min-su 2005.06.08 190cm | 86kg | 김문환 Kim Moon-hwan 1995.08.01 173cm | 64kg | 조현우 Cho Hyeon-woo 2005.01.01 188cm | 78kg | 이경태 Lee Kyung-tae 1995.03.02 191cm | 81kg | |
44 (VC) | 66 | 70 | 72 | 73 | |
이순민 Lee Soon-min 1994.05.22 178cm | 73kg | 김한서 Kim Han-seo 2003.02.14 174cm | 67kg | 김현욱 Kim Hyeon-ug 1995.06.22 160cm | 61kg | 김진야 Kim Jin-ya 1998.06.30 177cm | 63kg | 이준규 Lee Jun-gyu 2003.08.04 171cm | 63kg | |
76 | 77 | 88 | 89 | 90 | |
에르난데스 Hernandes Rodrigues 1999.09.02 183cm | 75kg | 주앙 빅토르 João Victor 1999.02.25 176cm | 75kg | 여승원 Yeo Seungwon 2000.05.05 179cm | 72kg | 정산 Jung San 1989.02.10 191cm | 86kg | 김현오 Kim Hyeon-oh 2007.09.12 183cm | 76kg | |
| | | | ||
98 (VC) | - | - | - | - | |
안톤 Anton Krivotsyuk 1998.08.20 186cm | 76kg | - | - | - | - | |
<colbgcolor=#008675> 구단 정보 | |||||
구단주: 함영주 / 이사장: 정태희 / 단장: 김원택 / 감독: 황선홍 홈구장: 대전월드컵경기장 | |||||
출처: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7월 25일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dcff 2%, #0b090c 2%, #0b090c 4%, #e6002d 4%, #e6002d 96%, #0b090c 96%, #0b090c 98%, #00dcff 98%)" {{{#!wiki style="margin:0 -10px -2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rowcolor=#000,#000> 포지션 | 등번호 | 이름 | 생년월일 | 출장 | 득점 | 소속 구단 |
<colbgcolor=#0b090c> GK | 김승규 (Kim Seung-gyu) | 1990년 9월 30일 ([age(1990-09-30)]세) | 82 | 0 | [[일본| | ||
송범근 (Song Bum-keun) | 1997년 10월 15일 ([age(1997-10-15)]세) | 1 | 0 | [[대한민국| | |||
조현우 (Jo Hyeon-woo) | 1991년 9월 25일 ([age(1991-09-25)]세) | 45 | 0 | [[대한민국| | |||
DF | 이명재 (Lee Myung-jae) | 1993년 11월 4일 ([age(1993-11-04)]세) | 8 | 0 | [[대한민국| | ||
이한범 (Lee Han-bum) | 2002년 6월 17일 ([age(2002-06-17)]세) | 3 | 0 | [[덴마크| | |||
김민재 (Kim Min-jae) | 1996년 11월 15일 ([age(1996-11-15)]세) | 71 | 4 | [[독일| | |||
이태석 (Lee Tae-seok) | 2002년 7월 28일 ([age(2002-07-28)]세) | 9 | 0 | [[오스트리아| | |||
김주성 (Kim Ju-sung) | 2000년 12월 12일 ([age(2000-12-12)]세) | 6 | 1 | [[일본| | |||
김문환 (Kim Moon-hwan) | 1995년 8월 1일 ([age(1995-08-01)]세) | 31 | 0 | [[대한민국| | |||
박진섭 (Park Jin-seop) | 1995년 10월 23일 ([age(1995-10-23)]세) | 8 | 1 | [[대한민국| | |||
조유민 (CHO Yu-min) | 1996년 11월 17일 ([age(1996-11-17)]세) | 14 | 0 | [[아랍에미리트| | |||
설영우 (Seol Young-woo) | 1998년 12월 5일 ([age(1998-12-05)]세) | 28 | 0 | [[세르비아| | |||
정상빈 (Jeong Sang-bin) | 2002년 4월 1일 ([age(2002-04-01)]세) | 3 | 1 | [[미국| | |||
김지수 (Kim Ji-soo) | 2004년 12월 24일 ([age(2004-12-24)]세) | 0 | 0 | [[독일| | |||
MF | 원두재 (Won Du-jae) | 1997년 11월 18일 ([age(1997-11-18)]세) | 8 | 0 | [[아랍에미리트| | ||
황인범 (Hwang In-beom) | 1996년 9월 20일 ([age(1996-09-20)]세) | 69 | 6 | [[네덜란드| | |||
백승호 (Paik Seung-Ho) | 1997년 3월 17일 ([age(1997-03-17)]세) | 22 | 3 | [[잉글랜드| | |||
이재성 (Lee Jae-sung) | 1992년 8월 10일 ([age(1992-08-10)]세) | 99 | 15 | [[독일| | |||
이동경 (Lee Dong-gyeong) | 1997년 9월 20일 ([age(1997-09-20)]세) | 14 | 3 | [[대한민국| | |||
김진규 (Kim Jin-gyu) | 1997년 2월 24일 ([age(1997-02-24)]세) | 14 | 3 | [[대한민국| | |||
엄지성 (Eom Ji-sung) | 2002년 5월 9일 ([age(2002-05-09)]세) | 3 | 1 | [[웨일스| | |||
이강인 (Lee Kang-in) | 2001년 2월 19일 ([age(2001-02-09)]세) | 40 | 11 | [[프랑스| | |||
옌스 카스트로프 (Castrop Jens) | 2003년 7월 29일 ([age(2003-07-29)]세) | 2 | 0 | [[독일| | |||
FW | 손흥민 (Son Heung-min) | 1992년 7월 8일 ([age(1992-07-08)]세) | 136 | 53 | [[미국| | ||
황희찬 (Hwang Hee-chan) | 1996년 1월 26일 ([age(1996-01-26)]세) | 73 | 16 | [[잉글랜드| | |||
오현규 (Oh Hyeon-gyu) | 2001년 4월 12일 ([age(2001-04-12)]세) | 21 | 5 | [[벨기에| | |||
일정 | 친선 경기 | 2025년 10월 10일(금) | 홈 | [[브라질| | |||
2025년 10월 14일(화) | 홈 | [[파라과이| | |||||
출처: 대한축구협회 2025년 9월 29일 기준 |
[1] 2025년 7월 11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