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01 23:20:23

김민덕


1 이창근
C
파일:부상 아이콘.svg · 2 박규현 파일:부상 아이콘.svg · 3 하창래 · 5 임종은 · 6 강윤성 · 7 마사 · 8 밥신 파일:부상 아이콘.svg · 9 구텍
10 주민규 · 12 김승대 · 14 김준범
VC
· 16 이명재 · 17 최건주 · 19 서진수 · 20 정진우
22 오재석 · 25 이준서 · 26 김민덕 · 27 정재희 · 29 유강현 · 30 김봉수 · 31 김민수
33 김문환 · 35 조현우 · 39 임은수 · 40 이경태 · 44 이순민
VC
· 66 김한서 · 70 김현욱 · 72 김진야
73 이준규 · 76 에르난데스 · 77 주앙 빅토르 · 88 여승원 · 89 정산 · 90 김현오 · 98 안톤
VC
파일:UEFA KOR.png 황선홍 {{{#fff {{{#!folding 스태프 더보기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임대 선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김민덕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김민덕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b81c22><tablebgcolor=#b81c22> 파일:김천 상무 FC 로고.svg상무 축구단
역대 주장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c5a775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초대 2대 3대 4대 5대
이광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3)
서동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
전우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행
심재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5)
김용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6)
강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
6대 7대 8대 9대 10대
마철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박종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행
강민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9)
최원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김영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김치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11대 12대 13대 14대 15대
김형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
이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4)
권순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강민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이용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16대 17대 18대 19대 20대
김성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7)
여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2018)
김민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권완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한석종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21대 22대 23대 24대 25대
권경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심상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정승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2022)
문지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이영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26대 27대 28대 29대 30대
원두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김현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김민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2025)
김승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 ||
}}} ||
파일:25시즌 26. 김민덕.jpg
대전 하나 시티즌 No. 26
김민덕
金民悳 | Kim Min-duk
<colbgcolor=#007E6E><colcolor=#ffffff> 출생 1996년 7월 8일 ([age(1996-07-08)]세)
충청북도 청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3cm / 체중 78kg / 265mm[1]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
학력 현대중학교[2] (졸업)
현대고등학교 (졸업)
성균관대학교 (중퇴)
소속 <colbgcolor=#007E6E><colcolor=#ffffff> 유스 울산 현대 (2012~2015)
프로 울산 현대 (2019~2020)
대전 하나 시티즌 (2021~ )
김천 상무 FC (2024~2025 / 군 복무)
서명 파일:김민덕서명.svg

1. 개요2. 선수 경력3. 플레이 스타일4. 기록
4.1. 대회 기록
5. 여담6. 둘러보기

1. 개요

대전 하나 시티즌 소속 센터백.

2. 선수 경력

2.1. 프로 데뷔 이전

2016년 성균관대 입학 당시 KUSF 대학스포츠 블로그와의 인터뷰를 진행한 경험이 있다. 울산 현대 구단 산하 현대고 출신 영향인지 롤 모델이 김치곤이라고 한 바 있다. 인터뷰

성균관대에서 3년간 울산 현대 출신 설기현 감독의 지도를 받으며 U리그 정상급 센터백으로 성장했다.

2.2. 울산 현대

K리그1 울산 현대우선 지명을 받아 2019 시즌을 앞두고 팀에 합류, 프로 무대에 데뷔하였다.

5-0으로 대패했던 AFC 챔피언스 리그 H조 5차전 상하이 상강과의 경기에서 프로 데뷔에 나섰다.

2019년 6월 1일, K리그1 15라운드 제주 유나이티드와의 원정 경기에 선발로 출전하며 리그 데뷔에도 마침내 성공했다. 이날 안정된 경기력을 보이며 무난한 데뷔전을 치렀다. 김도훈 감독 인터뷰

이렇게 2019 시즌은 리그 한 경기 출장으로 마감하였으며 2020 시즌에는 리그에서 단 한 경기도 출장하지 못하였다.

하지만 2020년 AFC 챔피언스 리그에서는 3경기에 출전해 제 몫을 톡톡히 해냈다. 김태환, 정승현 등과 포백에 위치해 팀의 뒷문을 든든히 지켰고, 팀의 대회 우승을 이끌었다.

2.3. 대전 하나 시티즌

2021 시즌을 앞두고 대전 하나 시티즌으로 이적한다고 보도되었고 # 2021년 1월 11일 입단이 공식 발표되었다.#

2.3.1. 2021 시즌

파일:0523_13R_부천전_프리뷰.jpg

부천 FC와의 리그 개막전에서 부상당한 이웅희, 이지솔을 대신히 임덕근, 이호인과 선발로 기용되었으며, 넓게 벌려서 배후를 막아 준 덕분에 상대가 대전의 1차 저지선을 통과하면 곧바로 하프라인까지 내려와 수비 블록을 형성할 수 있었다.

연이은 부산, 김천과의 홈 2연전에서도 선발 출장했지만 그다지 좋은 모습을 보여주지는 못했다. FC 안양과의 4라운드에서는 최후방에서 선수들의 위치를 잡아주고 수비라인을 조율하며 경기를 이끌어 나가며 맹활약했고, 팀의 1:0 승리를 이끌었다.

리그 12라운드 김천 상무 원정에서는 전반 25분에 코너킥 상황 속에서 이웅희의 헤더를 받아 선제골로 연결했다.

이후 주로 센터백으로 기용되었으나 충남 아산 FC와의 리그 23라운드에선 잠시 라이트백으로 기용되었다.

2021 시즌 주축 수비수로 기용되며 리그 30경기 1골로 시즌을 마무리하며 데뷔 이후 가장 많은 경기에 출장하였다.

2.3.2. 2022 시즌

파일:FB_IMG_1642838959580.jpg

2022년에도 대전에 잔류했으며, 팀의 부주장으로 선임되었다.

조유민과 같이 대전의 중원 수비라인을 책임졌고, 특히 9월에는 전 경기에 출장해 수비의 중심축으로 활약하며 조유민의 대표팀 차출로 생긴 공백을 완벽하게 메우며 28라운드 안양전[3], 41라운드 경남전 2연승과 무실점 승리를 이끌며 팬들이 뽑은 ‘함께가게 9월 MVP’ 선정되었다.#

리그에서 33경기 출장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했고 시즌 리그 베스트 일레븐 후보로 선정되었다.

김천과의 플레이오프 두경기에서도 주축 센터백으로 활약하며 팀의 승격을 이끌었다.

2022 시즌 종료 후 팬들이 선정한 PLAYER OF THE YEAR 베스트11에 선정되었다.#

2.3.3. 2023 시즌

지난 시즌에 이어 이창근, 임덕근과 함께 부주장으로 팀을 이끌었다.

개막전 강원과의 홈경기에서 우측 스토퍼로 풀타임을 소화하며 지난 시즌 MVP 후보였던 김대원을 꽁꽁 묶고 클린시트에 기여하는 등 2:0 승리를 이끌었다.

2R 인천 원정에서도 우측 스토퍼로 풀타임을 소화했다. 후반 막판 주세종이 안와골절로 교체 아웃되자 대신 주장 완장을 차고 3:3 무승부에 기여했다.

4R 수원 삼성과의 원정 경기에서 후반전 추가 시간에 쐐기골을 성공시키며 3:1 승리에 기여했다.

친정팀 울산과의 7R 홈경기에서 좌측 스토퍼로 풀타임을 소화했고 김민재를 연상시키는 인상적인 수비력과 오버래핑으로 2-3월 리그 MVP인 주민규를 꽁꽁 묶으며 대전의 홈 24경기 연속 무패 행진에 기여하며 2:1 승리를 거뒀다.

22, 23R 연속해서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였다. 22R에는 두 번의 실점 모두 관여했고 23R는 추가 실점에 관여하며 팀의 추격 의지를 꺾었다. 연속된 부진으로 팬들은 구텍 대신 센터백을 영입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여론도 있다. 전체적으로 팀의 결정력 부족과 수비력 부진이 두드러지는 가운데 조유민의 공백을 메워주기보다 더 크게 만들고 있어 비판받고 있다.

33R 제주 유나이티드 FC와의 정규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전반 40분 우측 측면에서 이주용헤이스를 완전히 벗겨내고 슈팅을 가져가며 시즌 2호골을 기록하였다. 이후 팀은 경기 종료까지 이 득점을 유지하며 1:0으로 승리하였다.

2023 시즌 한해 리그 26경기 2골을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3.4. 김천 상무 FC (군 복무)

동갑내기 동료 유강현과 함께 상무 입대할 수 있는 마지막 나이에 극적으로 추가 합격하며 프로 선수로서 생활을 이어가게 됐고, 잠시 대전을 떠났다. 예상 전역일은 2025년 7월 1일.
2.3.4.1. 2024 시즌
김천 신병 시기에는 등번호 20번을 달았다.

6라운드 광주 원정에서 후반 20분 김동현과 교체로 투입되며 김천에서의 데뷔전을 치렀다.

9라운드 원 소속팀 대전 하나 시티즌과의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경기 내내 대전 공격의 핵인 레안드로를 꽁꽁 묶었고 팀은 0:0 무승부를 거두었다.

6월 들어 선임들의 전역 후 꾸준히 주장 완장을 차고 나서는 것으로 인해 후반기 주장이 아니냐는 의견이 많았는데, 결국 선임들이 전역한 다음날인 7월 16일 발표가 나오며 상무의 정식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2024 시즌 김천에서의 기록은 리그와 코리아컵을 합쳐 20경기 0득점 0도움.
김민덕 2024년 K리그 성적
출전시간 경기(선발) 득점 도움 슈팅(유효) 키패스 경고(퇴장)
1017 20(11) 0 0 2(0) 0 3(0)
2.3.4.2. 2025 시즌
2025 시즌에도 역시 김천 상무의 주장직을 연임하였다.

18라운드 포항 스틸러스 홈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안정적인 수비를 보여주며 팀의 무실점 승리를 이끌었다.

2.3.5. 2025 시즌

2025년 6월 30일자로 원 소속팀인 대전으로 복귀하였다. 중앙 수비수 자원이 옅어진 대전으로서 부담을 덜게 되었다. 입대 전 줄곧 달았던 등번호 3번은 하창래가 달고 있어 26번을 달았다.

22라운드 강원 FC 원정 경기에 선발 출전하며 대전 복귀전을 치뤘고 팀은 막판 수비 집중력 저하로 아쉽게 2대2 무승부.

23라운드 울산 HD FC 원정 경기에서 선발 출전하여 상대 스트라이커 말컹을 잘 막아내며 팀의 2:1 극적인 역전승에 기여하였다.

3. 플레이 스타일

학창 시절에는 공격수를 소화했을 정도로 빠른 스피드를 갖추고 있으며 유연성, 점프력이 뛰어나 공중볼 경합에도 강점을 보인다. 또한 뛰어난 킥력과 대인 방어 능력 등 중앙 수비수로 장점을 두루 갖추고 있다. 2부는 물론이고, 승격한 2023 시즌에도 좋은 활약을 보여주면서 자신의 장점인 스피드와 점프력이 1부에서도 통했음을 증명했다.

다만, 문제는 폼이 너무 들쑥날쑥하다는 것이다. 어떤 날에는 우월한 피지컬을 이용한 완벽한 수비를 보이다가도 다른 날에는 이러한 장점이 무색하게 실수를 만발하곤 한다. 또한, 가끔씩 집중력이 부족한 모습도 보이기도 한다.

이렇게 장단점이 확실한 선수지만, 꾸준한 출전 기회를 통해 경기 감각과 경험이 더해진다면 앞으로 더 큰 성장이 기대되는 선수다.

4. 기록

4.1. 대회 기록

5. 여담

파일:20230319_164653.gif

6. 둘러보기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로고.svg
대전 하나 시티즌 2025 시즌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대전 하나 시티즌 2025 시즌 스쿼드
파일:25시즌 1. 이창근.png
파일:25시즌 2. 박규현.png
파일:25시즌 3. 하창래.png
파일:25시즌 5. 임종은.png
파일:25시즌 6. 강윤성.png
1 (C) 2 3 5 6
이창근
Lee Chang-ge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3.08.30
186cm | 80kg
박규현
Park Kyu-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1.04.14
183cm | 78kg
하창래
Ha Chang-r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4.02.16
188cm | 82kg
임종은
Lim Jong-e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0.06.18
192cm | 88kg
강윤성
Kang Yoon-su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7.07.01
172cm | 65kg
파일:25시즌 7. 마사.png
파일:25시즌 8. 밥신.png
파일:25시즌 9. 구텍.png
파일:25시즌 10. 주민규.png
파일:25시즌 12. 김승대.png
7 8 9 10 12
마사
Ishida Masatoshi

파일:일본 국기.svg | FW
1995.05.06
180cm | 68kg
밥신
Victor Bobsin

파일:브라질 국기.svg | MF
2000.01.12
184cm | 74kg
구텍
Vladislavs Gutkovskis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 FW
1995.04.02
187cm | 87kg
주민규
Joo Min-k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0.04.13
183cm | 88kg
김승대
Kim Seung-d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1.04.01
175cm | 64kg
파일:25시즌 14. 김준범.png
파일:25시즌 16. 이명재.jpg
파일:25시즌 17. 최건주.png
파일:25시즌 19. 서진수.jpg
파일:25시즌 20. 정진우.png
14 (VC) 16 17 19 20
김준범
Kim Jun-beom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8.01.14
176cm | 74kg
이명재
Lee Myung-j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3.11.04
181cm | 75kg
최건주
Choi Geon-j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9.06.26
176cm | 65kg
서진수
Seo Jin-s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0.10.18
184cm | 73kg
정진우
Jung Jin-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4.09.24
190cm | 80kg
파일:25시즌 22. 오재석.png
파일:25시즌 25. 이준서.png
파일:25시즌 26. 김민덕.jpg
파일:25시즌 27. 정재희.png
파일:25시즌 29. 유강현.jpg
22 25 26 27 29
오재석
Oh Jae-seo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0.01.04
178cm | 76kg
이준서
Lee Jun-se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8.03.07
186cm | 83kg
김민덕
Kim Min-duk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6.07.08
183cm | 78kg
정재희
Jung Jae-he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4.04.28
174cm | 70kg
유강현
Yu Kang-hyu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1996.04.27
186cm | 78kg
파일:김봉수 대전 2025시즌.png
파일:김민수 25.jpg
파일:25시즌 33. 김문환.png
파일:조현우 25.jpg
파일:이경태 25.jpg
30 31 33 35 40
김봉수
Kim Bong-s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9.12.26
181cm | 74kg
김민수
Kim Min-s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2005.06.08
190cm | 86kg
김문환
Kim Moon-hw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5.08.01
173cm | 64kg
조현우
Cho Hyeon-wo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5.01.01
188cm | 78kg
이경태
Lee Kyung-tae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95.03.02
191cm | 81kg
파일:25시즌 44. 이순민.png
파일:25시즌 66. 김한서.png
파일:25시즌 70. 김현욱.png
파일:IDWGrW.jpg
파일:25시즌 73. 이준규.png
44 (VC) 66 70 72 73
이순민
Lee Soon-mi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4.05.22
178cm | 73kg
김한서
Kim Han-seo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3.02.14
174cm | 67kg
김현욱
Kim Hyeon-u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1995.06.22
160cm | 61kg
김진야
Kim Jin-ya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1998.06.30
177cm | 63kg
이준규
Lee Jun-gyu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MF
2003.08.04
171cm | 63kg
파일:25시즌 76. 에르난데스.png
파일:2025 주앙 빅토르.77.jpg
파일:여승원 대전 25시즌.png
파일:25시즌 89. 정산.png
파일:김현오 25.jpg
76 77 88 89 90
에르난데스
Hernandes Rodrigues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9.09.02
183cm | 75kg
주앙 빅토르
João Victor

파일:브라질 국기.svg | FW
1999.02.25
176cm | 75kg
여승원
Yeo Seungwo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DF
2000.05.05
179cm | 72kg
정산
Jung San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GK
1989.02.10
191cm | 86kg
김현오
Kim Hyeon-oh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FW
2007.09.12
183cm | 76kg
파일:25시즌 98. 안톤.pn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어웨이 엠블럼.sv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어웨이 엠블럼.sv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어웨이 엠블럼.svg
파일:대전 하나 시티즌 어웨이 엠블럼.svg
98 (VC) - - - -
안톤
Anton Krivotsyuk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 DF
1998.08.20
186cm | 76kg
- - - -
<colbgcolor=#008675> 구단 정보
구단주: 함영주 / 이사장: 정태희 / 단장: 김원택 / 감독: 황선홍
홈구장: 대전월드컵경기장
출처: 공식 웹사이트 / 최종 수정 일자: 2025년 7월 25일
}}}}}}}}} ||

[1] #[2] 중학교 2학년 10월에 축구를 시작해 운호중과 현대중에서 유급했다고 함.[3] 순연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