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1 20:41:45

김경호(1959)

파일:광진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김두기
제2대
이원달
제3-5대
정영섭
제6대
정송학
제7·8대
김기동
제9대
김선갑
제10대
김경호
파일:광진구 BI.svg }}}}}}}}}
김경호 관련 틀
{{{#!folding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로고.svg 사장
박원순 시정 오세훈 시정 2기
15대
박현출
16대
김경호
17대
문영표
}}}
<colbgcolor=#26348b><colcolor=#fff> 제10대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
김경호
金炅鎬 | Kim Kyeong-ho
파일:김경호_Profile.jpg
출생 1959년 12월 20일 ([age(1959-12-20)]세)
전라남도 장흥군
현직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
재임기간 제10대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
2022년 7월 1일 ~ 현직
링크 파일:광진구 CI.svg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26348b><colcolor=#fff> 학력 살레시오고등학교 (졸업 / 18회)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 79 / 학사)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행정학 / 석사과정 수료)
오리건 대학교 대학원 (재무행정학 / MA)
병역 육군 제12보병사단 병장 만기전역 (보급병)
(1982년 5월 17일 ~ 1984년 7월 26일)[1]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약력 제31회 행정고등고시 합격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청 문화공보실장, 사무관
서울특별시청 내무국 시민과 생활보호계장
서울특별시 청소사업본부 사무관
서울특별시청 기획관리실 기획담당관 기획관리계장
서울특별시청 기획관리실 심사분석담당관 심사분석계장
서울특별시청 기획관리실 기획담당관 기획조정계장
서울특별시청 산업경제국 소비자보호과장 직무대리, 서기관
서울특별시청 산업국 DMC담당관
서울특별시청 교통국 교통개선총괄반장
서울특별시 청계천복원추진본부 복원기획단 복원관리담당관
서울특별시청 환경국 환경과장
서울특별시 맑은서울추진본부 맑은서울총괄담당관 겸 맑은서울관리반장, 부이사관
서울특별시 도시교통본부 교통기획관
제14대 서울특별시 구로구 부구청장 (이성 구정)
서울특별시청 복지건강실장, 이사관
서울특별시청 도시교통본부장
서울특별시 광진구 부구청장 (김기동 구정)
서울특별시의회 의회사무처장, 관리관
제16대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사장 (박원순 시정)
국민의힘 서울특별시당 광진구 을 당협위원장
제10대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 (초선 / 민선 8기 / 국민의힘)
}}}}}}}}}

1. 개요2. 생애
2.1. 광진구청장
2.1.1. 2022년2.1.2. 2023년2.1.3. 2024년2.1.4. 2025년
3. 경력4. 소속 정당5. 선거 이력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김경호22지선.jpg
도시행정 전문가 김경호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슬로건
대한민국공무원 출신 정치인. 現 서울특별시 광진구청장이다.

2. 생애

1959년 12월 20일 전라남도 장흥군에서 태어났다. 살레시오고등학교, 전남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를 졸업하였다. 1982년 5월 17일 육군에 입대하여 제12보병사단에서 보급병(시설부대보급 특기)으로 복무했고, 1984년 7월 26일 병장으로 만기전역했다.

1987년 11월 제31회 행정고시 일반행정직렬에 합격하여 공직에 입문하였고 서울특별시청에서 주로 재직하였다. 이후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에서 행정학 석사 과정을 수료했다. 1989년 영등포구청 건전생활과장을 거쳐 1991년 서울특별시청에 발령되어 사회과에서 근무했다. 1993년 청소사업본부 작업2과장, 1994년 기획담당관, 1996년 심사분석담당관을 지냈고 이후 서기관으로 승진한 뒤 2000년 문화월드컵기획담당관을 지냈고, 2001년 9월 미국 오리건 대학교 대학원에 입학하여 2003년 6월 행정학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귀국 후 2003년 DMC담당관, 2005년 환경국 환경과장, 2006년 맑은서울총괄반장, 에너지과장 등을 지냈다.

2008년 부이사관으로 승진했고, 2009년 도시교통본부 교통기획관, 2010년 구로구 부구청장, 2012년 복지건강실장을 거쳐 이사관에 승진했다. 2013년 상수도사업본부장을 거쳐 2014년 1월 1일 도시교통본부장에 발령되었다. 2015년 7월 1일부터 2016년 6월 30일까지 광진구 부구청장, 서울특별시의회 사무처장(1급)을 끝으로 공직생활을 마감하였다.

퇴임 이후 2018년 9월 서울시 산하 공공기관인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사장으로 임명되어 3년간의 임기를 지냈다.

2021년 12월에는 국민의힘에 입당하여 오세훈 시장이 2021년 재보궐선거에 당선되며 공석이 된 광진구 을 당협위원장 자리에 지원하여 당협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직전 당협위원장을 거머쥔만큼 광진구청장에 출마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

2.1. 광진구청장

2022년 4월 6일, 광진구청장 출마를 위해서 당협위원장직을 사퇴했으며, 2022년 5월 1일, 국민의힘 광진구청장 후보로 확정되었다.

이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51.2%를 득표하여 당시 현직 구청장인 더불어민주당 김선갑 후보를 누르고 광진구청장에 당선되었다.

2.1.1. 2022년

7월 1일 취임하고 곧바로 광진발전소통위원회 설치 운영계획안에 서명했다.# 7월 18일 조선일보와 인터뷰 하며 도시계획 재정비 사업, 기업 유치, 소통 구정 운영 등을 얘기했고# 같은 날 경향신문과도 인터뷰 하며 '2040광진플랜'[2]에 대해 얘기 했다.#

8월 민원보고회를 시작해 광진구의 15개 동을 순회하며 주민들의 의견을 들었다.# 8월 1일 광나루 지구대와 광진문화예술회관 앞에 편의 증진을 위해 스마트 휴 쉼터[3][4]를 설치했으며# 8월 8일 착한가격업소를 지원하고 홍보를 확대해 물가 안정과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다고 약속했다.# 8월 19일 '아차산숲속도서관'의 시범운영을 시작했다.[5]#

9월 14일 소통, 발전, 행복을 강조한 새로운 BI를 공개했다. 10월 11일 취임 100일을 맞아 1인 가구 취약계층 가정을 방문했으며 같은 날 기자 간담회를 열어 주요 정책을 소개했다.# 10월 14일 김경호 구청장의 주요 공약이었던 광진발전소통위원회의 설치 조례안이 광진구의회를 통과하며 의결되었다.[6] 10월 31일 군자역 사거리에 유턴차로의 신설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11월 1일 광진발전소통위원회가 정식 출범했다. 첫 회의에서 안전대책 마련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었다.# 11월 21일 '찾아가는 소상공인 원스톱 지원센터'의 운영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11월 28일 7,827억 정도의 광진구 예산안을 편성했다. 예산안에는 아이돌봄, 아동의 자립지원 사업 공영주차장 건립 등의 내용이 들어있다.

12월 9일 제설 취약구간 6곳에 도로열선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12월 20일 광진정보도서관의 공조설비를 교체했다고 알렸다.#

2.1.2. 2023년

1월 6일 범죄와 사고 예방을 위해 '광진형 스마트폴'을 설치했으며# 1월 10일 '2023년 신년인사회'를 개최하고 구정 운영 방향을 공유했다.# 1월 20일 '구민생활안전보험'의 범위 확대와 보완 했다고 밝혔다.#

2월 17일 광진구의회를 통해 긴고랑천 복원 복원 용역비를 확보하게 되었다. 또한, 같은 날 취약계층에게 친환경 보일러 교체 비용을 지원하는 예산안도 통과되었다.# 2월 28일 서울화양초등학교가 폐교되자 화양초의 부지를 청년종합복지공간 건립을 서울시교육청에 제안했다.#

4월 11일 '자양1재정비촉진사업[7] 주민설명회'를 개최해 주민들과 소통하는 자리를 가졌다.# 5월 23일 행정안전부 재난관리평가에서 우수기관에 선정되었다.#

6월 1일 '아차산생태공원'을 '아차산 어울림정원'으로 조성되었으며# 6월 15일에는 구의역 4번 출구 옆 스마트도서관이 개관했다고 밝혔다.# 6월 21일 '어린이보호구역 통학 안전 학부모·주민 간담회'를 개최했다. 8월 취임 1주년을 맞아 여러 언론사와 인터뷰 했다.

11월 6일부터 17일까지 '2024년 장애인 일자리 사업'의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16일 성동구, 송파구와 '도시철도 2호선 지상구간 지하화 공동 대응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10월 31일 140억 규모의 '광진사랑상품권'을 발행한다고 밝혔으며 11월 28일 서울화양초등학교의 운동장 일부를 2025년 12월 말까지 주차장으로 개방한다고 알렸다.#

2.1.3. 2024년

1월 16일 '2024년 신년인사회'를 개최했으며# 같은 날 광진정보도서관에 메이커스페이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1월 22일 양육에 대한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출산축하금을 확대 지원한다고 밝혔다.#

2월 7일 광진구청 대강당에서 '2040 광진플랜'의 설명회를 개최했으며# 2월 14일 육아, 출산에 대해 필요한 정보를 담은 안내서인 '아이와 엄마아빠가 행복한 좋은 광진'을 발행했다.# 2월 26일 도시 미관 개선, 보행자 안전 확보를 위해 공중선 정비 사업[8]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3월 4일과 5일 자양4동 전통시장 공영주차장 건설 현장과 지난해에 조성된 아차산 동행숲길을 방문했다.# 3월 26일 중장년을 대상으로 한 인터벌 워킹 크루를 운영한다고 밝혔으며 다음 날 장애인 편의시설 지도의 서비스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4월 14일 광진문화예술회관, 뚝섬한강공원 일대에 '광진매력정원'과 '매력꽃길'을 조성했다고 밝혔으며# 5월 23일 방치된 이동장치의 통합신고 시스템 운영하다고 알렸고 6월 7일 범죄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안전교육을 운영한다고 한다.# 6월 11일 광진구청장 취임 2주년을 맞아 향후 계획인 '2040 광진플랜', 서울어린이대공원 리모델링, 보훈예우수당 인상 등을 설명했다.#

7월 1일 '광진어린이영어도서관'을 개관했다고 밝혔으며# 다음 날 '저층주거지의 효율적인 개발방안'을 주제로 주민설명회 개최했다.# 7월 24일 이동형 물놀이장인 '광진시티 아쿠아퀘스트'를 운영한다고 밝혔다.#

8월 7일부터 폭염 기간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음료 배달, 무료 급식 지원 등의 사업을 한다.# 8월 12일 구민들의 건강관리를 위한 '군자건강센터'가 시범운영을 시작했다. 9월 2일 어르신 일자리 교육 및 사회활동 지원을 위해 '광진시니어클럽 어울림센터'를 개관했다.#

9월 4일 가을 학기를 맞아 통학로 안전 강화를 위한 어린이 교통안전 캠페인을 실시했으며 9월 5일 전기차 보급 확대에 따라 전기차 화재 안전 예방을 위해 '전자동 질식소화캡'을 도입 등 전기차 화재 대응 모델을 구축했다.# 9월 7일 어린이대공원 구의문 잔디광장에서 '2024 광진 가족 영화제' 를 개최했다.#

9월 26일 자양전통시장 입구에 있던 불법 노점을 철거했다. 10월 1일 '종량제 봉투 판매소 지도 검색 서비스'를 도입했으며 10월 16일 '아차산 숲속 도서관 만족도 조사'를 반영해 책 읽을 공간을 추가로 설치했다.# 11월 13일 딜라이브 뉴스와 인터뷰하며 '2040 광진플랜'의 밑그림이 완성단계에 들어갔다고 전했다.# 12월 20일 국민권익위원회 주관 '2024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1등급을 달성했다.[9]

2.1.4. 2025년

1월 14일 '2025년 신년인사회'를 개최했으며 1월 20일 자양1동주민센터에서 '2025년 동 업무보고회'를 개최했다. 1월 16일 2024년 일자리 6,318개를 창출했다고 밝혔다. 이는 목표를 5.3% 초과 달성한 성과이다.#

3. 경력

4. 소속 정당

<rowcolor=#fff> 소속 기간 비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1 - 현재 정계 입문

5. 선거 이력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26348b><tablebgcolor=#fff,#1c1d1f><tablewidth=100%><rowcolor=#fff><rowbgcolor=#26348b> 연도 || 선거 종류 || 선거구 || 소속 정당 || 득표수 (득표율) || 당선 여부 || 비고 ||
202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서울 광진구청장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79,404 (51.20%) 당선 (1위) 초선
역대 선거 벽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김경호_2022벽보.jpg
8회 지선 (서울 광진구청장) }}}}}}}}}
역대 후보 이력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25deg, #00b5e2 21.8px, transparent 21.8px), linear-gradient(315deg, #ffffff 50.5px, transparent 50.5px)"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종로구청장 중구청장 용산구청장 성동구청장 광진구청장
정문헌 김길성 박희영 강맹훈 김경호
동대문구청장 중랑구청장 성북구청장 강북구청장 도봉구청장
이필형 나진구 정태근 이성희 오언석
노원구청장 은평구청장 서대문구청장 마포구청장 양천구청장
임재혁 남기정 이성헌 박강수 이기재
강서구청장 구로구청장 금천구청장 영등포구청장 동작구청장
김태우 문헌일 오봉수 최호권 박일하
관악구청장 서초구청장 강남구청장 송파구청장 강동구청장
이행자 전성수 조성명 서강석 이수희
}}}}}}}}}}}}

6. 둘러보기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 -10px -5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종로 용산 성동 광진
정문헌 김길성 박희영 정원오 김경호
동대문 중랑 성북 강북 도봉
이필형 류경기 이승로 이순희 오언석
노원 은평 서대문 마포 양천
오승록 김미경 이성헌 박강수 이기재
강서 구로 금천 영등포 동작
진교훈 엄의식 유성훈 최호권 박일하
관악 서초 강남 송파 강동
박준희 전성수 조성명 서강석 이수희
* 강서구청장 김태우 구청장직 상실 (2023.5.18.)
* 구로구청장 문헌일 사퇴 (2024.10.16.)
민선 1기 / 민선 2기 / 민선 3기 / 민선 4기 / 민선 5기 / 민선 6기 / 민선 7기 }}}}}}}}}}}}

{{{#!wiki style="margin: -7px -10px -10px;"
{{{#!wiki style="margin: -6px 0px -1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wiki style="margin: -5px -2px; display: inline-table;"<tablebordercolor=#e61e2b><tablebgcolor=#e61e2b>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강범석 강성태 강수현 강영석 공한수
구인모 권기창 김경호 김경희 김광열
김기웅 김기재 김길성 김대권 김덕현
김동근 김동일 김명기 김문근 김병수
김성수 김성제 김영길 김영욱 김윤철
김장호 김재욱 김정헌 김진열 김진홍
김찬진 김창규 김하수 김학동 김형찬
김홍규 나동연 남한권 류규하 류한국
문경복 박강수 박남서 박동식 박범인
박상돈 박상수 박용철 박일하 박종효
박천동 박현국 박형덕 박희조 방세환
배광식 백경현 백성현 백영현 서강석
서동욱 서철모 서태원 서흥원 성낙인
손병복 송인헌 신계용 신상진 신영재
신현국 심규언 심재국 안병구 오도창
오성환 오언석 오은택 오태완 오태원
원강수 윤경희 윤석준 윤일현 이갑준
이강덕 이권재 이기재 이남철 이동환
이민근 이범석 이병선 이병환 이상근
이상일 이상호 이성헌 이수희 이순걸
이승화 이영훈 이완섭 이용록 이응우
이재호 이충우 이태훈 이필형 이현재
이현종 장준용 전성수 전진선 정문헌
정영철 정종복 조규일 조근제 조길형
조병길 조성명 조재구 조현일 주광덕
주낙영 주석수 진병영 천영기 최명서
최문순 최원철 최재구 최재형 최재훈
최진봉 최충규 최호권 하승철 하은호
홍남표 홍태용 }}}
국민의힘 · 더불어민주당 · 진보당 · 무소속
}}}}}}


[1] 병무청 공직자등의 병역사항열람 참조.[2] 4대 권역 재편, 4대 발전축 조성을 중심으로 하는 광진구의 도시 발전 계획으로 구의역 일대 첨단산업 클러스터 조성, 어린이대공원 재개발 등의 사업이 있다.[3] CCTV와 화재 감지기, UV 살균기 등이 설치되어 있다고 한다.[4] 2023년 9월부터 설치를 본격화 했다.#[5] 같은 해 10월 9일 정식 운영을 시작했다.[6] 이 과정에서 구의회 의원간 분쟁이 생겼다.[7] 광진구청 신청사, 1363세대 공동주택 건설 등 복합단지를 조성하는 대규모 도시개발 프로젝트.[8] 한국전력, KT광진, KT성동 등과 협력해 중곡동, 구의동, 군자동의 공중선을 정비하는 사업[9] 2023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도 1위를 받은적 있다.[10] 1959년생이지만, 1960년생들과 함께 학교를 다녔다.[11] 네이버 뉴스라이브러리 기사. 윗 동네 중랑구청장을 역임한 나진구 전 구청장과 류경기 현 구청장의 후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