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세 기사 도덕
Chivalry code (영어)Chevalerie (프랑스어)
Código caballeresco/caballería (스페인어)
caballārius (중세 라틴어)
기사도(騎士道)는 12~13세기쯤에 발전했던 일련의 행동 규범으로 후대의 문학과 문화에 많은 영향을 끼친 비공식적인 규범이라 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이런 기사도 같은 것은 무사들이 지배하는 사회 체계를 안정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한다. 이때 규범과 도덕이 생기며 더해서 미학적인 특징이 더해지게 된다. 규율과 도덕을 지키는 것이 보다 멋지고 아름답다고 느끼게 하는 것으로 심리적으로 이를 중시하게 만들었던 것이다. 이 때문에 기사도나 부시도(무사도) 같은 것에는 당시 사회가 요구하는 도덕과 규범, 그리고 미적인 관점이 집중되어 만들어진다. 그러나 동서고금의 각종 윤리 규범이 그러하듯, 기사도 또한 제대로 지켜지지 않은 경우가 많았다.
기사도에 대해 다룬 책으로는 라몬 율(Ramon Llull)의 Llibre de l'orde de cavalleria이 있다.
이슬람권에서도 푸트와 (فتوة), 후루시야 (فروسية)라고 이름으로 존재하는 관념인데, 전자가 우리가 아는 문화적, 미학적 코드로서 '기사도'에 더 가깝고 후자는 좀 더 기술적인 의미에서 '기마술'에 가깝다.
1.1. 역사
수많은 분쟁과 정치적 권력싸움으로 10, 11세기 유럽은 불안정한 상황이 되었는데, 그 와중에 교회는 점차적으로 귀족들에 대한 영향력을 키워나갔다. 교회는 '하나님의 평화운동'을 선포하며, 기사 계급을 교회에 봉사하는 쪽으로 이끌어 나갔다. 기사도라 부르는 생활양식 내지 윤리체계를 등장시킨 것이다. 이런 흐름 속에서 기사들의 목적은 신앙의 수호자, 약자들, 즉 과부, 고아, 교회의 방패막이 되는 것으로 바뀌게 된다. 문학작품에서 기사들의 이상적인 모습이 나오는 것도 여기에 기인한다. 기사도는 처음에는 전사들의 단순한 신조로 시작되었지만 점차 하나의 행동틀로 발전했고, 기사에게 요구된 가장 중요한 덕목은 충성과 독실한 신앙, 겸허, 용맹, 사랑, 관용, 그리고 부녀자와 약자보호 등이었다.이러한 기사도 정신은 프랑스를 중심으로 전유럽으로 확산되어 백년전쟁 같은 경우 프랑스와 영국 기사들간의 아름다운(?) 기사도의 일화들을 많이 남겼다. 저지대 에노 출신 궁정작가이자 음유시인이었던 장 프루아사르의 프루아사르 연대기에 따르면 30인의 결투라고 정정당당하게 기사와 종자를 뽑아 30대 30으로 편을 갈라서 맞짱을 뜨는가 하면, 상대를 죽이지 않고 부상만 입혀서 몸값을 받고 풀어주는등 지금 시각에서 보면 전쟁에서 참으로 신사적인 행동들이 많았다.
강인한 무를 숭상함[1]과 동시에 여성에게 친절하고 명예를 중시하고 그 외 기타 등등... 확실히 개중 몇몇은 지키면 존경받을 만한 것들이기는 하다. 그러나 여기 나온 내용들이 기사도의 모든 것이라 착각하면 곤란한 것이, 중세는 천년이라는 긴 세월이었고 당연히 기사도 또한 시대에 따라 발전해왔다. 이러한 기사도 정신은 중세 이후 기사 계급 자체가 사라지면서 일부는 사라지고, 일부는 귀족과 같은 상류 계급 전체의 일반적인 도덕 규범으로 바뀌게 된다. 특히 포로나 사신에 대한 대우라던가 장교(귀족)에 대한 존중 같은것은 기사도적 전투 관습의 연장이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의 전투기 파일럿들도 자신들을 하늘의 기사라고 칭하였는데 당시에는 적의 배후를 잡아 공격하는 것을 비겁한 행위라는 인식이 있었으며 적기를 만나면 손이나 날개를 흔드는 것으로 통성명을 대신하고 싸움에 임하는 매우 신사적인 방식이었다.
1.2. 기사도의 덕목과 오해
19세기에 거론된 기사도는 다음과 같다.[2]영어 | 한국어 번역 |
1.Thou shalt believe all that the Church teaches and thou shalt observe all its directions 2.Thou shalt defend the church 3.Thou shalt respect all weaknesses, and shalt constitute thyself the defender of them. 4.Thou shalt love the country in which thou wast born. 5.Thou shalt not recoil before thine enemy. 6.Thou shalt make war against the infidel without cessation and without mercy. 7.Thou shalt perform scrupulously thy feudal duties, if they be not contrary to the laws of God. 8.Thou shalt never lie, and shalt remain faithful to thy pledged word. 9.Thou shalt be generous, and give largesse to everyone. 10.Thou shalt be everywhere and always the champion of the Right and the Good against Injustice and Evil. | 1.교회의 가르침을 믿고 준수하라 2.교회를 지켜라 3.약자를 존중하고 지켜라 4.조국을 사랑하라 5.적 앞에서 후퇴하지 마라[3][4] 6.중단 없이 자비 없이 불신자들과 싸우라 7.하느님의 법에 어긋나지 않는 한 봉건 의무를 양심적으로 실행하라 8.거짓말하지 말고, 그대의 서약을 신뢰받게 하라 9.자비로워지고, 모든 이에게 아낌없이 베풀라 10.어디서든 언제든 부정과 악에 맞서 정의와 선의 투사가 되라 |
참고로 11세기 롤랑의 노래에 실린 것을 영어로 번역한 것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영어 | 한국어 번역 |
To fear God and maintain His Church To serve the liege lord in valour and faith To protect the weak and defenceless To give succour to widows and orphans. To refrain from the wanton giving of offence To live by honour and for glory To despise pecuniary reward To fight for the welfare of all To obey those placed in authority To guard the honour of fellow knights To eschew unfairness, meanness and deceit To keep faith At all times to speak the truth To persevere to the end in any enterprise begun To respect the honour of women Never to refuse a challenge from an equal Never to turn the back upon a foe | 하느님을 경외하고 그분의 교회를 지키라 용맹과 신앙으로 주군을 섬기라 약자들을 존중하고 보호하라 과부와 고아들에게 친절을 베풀어라 함부로 모욕하지 말라 금화로 이루어진 보상을 경멸하라 명예와 영광을 위해서 살아라 모든 이들의 안녕을 위해서 싸워라 정당한 권위에 순종하라 동료기사의 명예를 지키라 불공정함과 비열함, 기만을 경멸하라 신앙을 수호하라 언제나 진실만을 말하라 매사의 끝을 보도록 하라 여성의 명예를 존중하라 대등한 입장에서의 도전을 거절하지 마라 적에게 등을 돌리지마라 |
다만 힘을 갖춘 무인들에게 '이렇게 하는 것이 이상적이다'라는 모델을 제시하는 것은 분명히 그 나름대로의 긍정적 의미가 있으며 오히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집단 대부분이 규범을 준수하는 경우가 훨씬 드물다. 사람이기에 한계가 있지만 그렇기에 더욱 필요한 것이 이러한 이상적 가치를 추구하는 도덕적 규범이다.
한국사의 세속오계, 일본사의 부시도처럼 다른 문화권에서도 무인 집단의 도덕적 규범이란 의미는 있었으며, 이 것이 긍정적으로 작용하기도 했고 당시에도 제대로 안 지키고 비판받은 인간도 많았다. 이런 의미에서 보자면, 기사도의 의의는 무력을 갖춘 집단에게 도덕적 모델을 제시한 것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도 전쟁에서 최소한의 인도적 행위를 지켜야 하는 제네바 협약이 존재하며 이를 지키지 않고 군인이 무장하지 않은 자를 공격하거나, 약탈하고 강간하고 학살하면 매우 더러운 행위로 간주되고 국제적으로 비판받음을 잊어선 안된다.
우리는 중세 세속 귀족 계층의 중심 이념인 기사도가 받은 조롱과 같은, 무지에 바탕을 둔 비판을 경계해야 한다.
한때 위선적이고 시대착오적이라는 조롱을 받았지만, 이제 우리는 기사도적 이상이 당대인들 사이에서 순수하게 수용되었으며 전사들의 훈련과 동기부여, 그리고 사회적 응집력의 원천으로서 유용한 기능을 제공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비록 그러한 이해가 우리를 과거의 이상에 대한 무비판적인 존경으로 이끌거나, 현대의 삶에 부활시키려는 운동으로 이끌어서는 안 되지만, 그것은 낯선 사고방식들을 무지에 근거해 배척하는 실수로부터 우리를 보호한다.
Christopher Dyer, Standards of Living in the Later Middle Ages.
한때 위선적이고 시대착오적이라는 조롱을 받았지만, 이제 우리는 기사도적 이상이 당대인들 사이에서 순수하게 수용되었으며 전사들의 훈련과 동기부여, 그리고 사회적 응집력의 원천으로서 유용한 기능을 제공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비록 그러한 이해가 우리를 과거의 이상에 대한 무비판적인 존경으로 이끌거나, 현대의 삶에 부활시키려는 운동으로 이끌어서는 안 되지만, 그것은 낯선 사고방식들을 무지에 근거해 배척하는 실수로부터 우리를 보호한다.
Christopher Dyer, Standards of Living in the Later Middle Ages.
2. 스타크래프트 2 해설위원 황영재
전 GomEXP, 현 아프리카TV GSL 해설위원. 황영재 문서 참고. 3번항목과 간접적 연관이 있다.3. 젝스키스 정규 2집 앨범 타이틀곡
자세한 내용은 기사도(젝스키스) 문서 참고하십시오.4. 네이버의 웹툰
자세한 내용은 기사도(웹툰) 문서 참고하십시오.5. 관련 문서
[1] 1204년 제 4차 십자군 전쟁에서 동로마 제국의 수도인 콘스탄티노플을 함락시킨 십자군 기사들은 동로마인들이 용감하게 싸울 줄을 모르고 글만 쓰는 겁쟁이라고 조롱하기 위해서 콘스탄티노플의 거리에서 일부러 글을 쓰는 흉내를 냈다고 전해진다. 실제로 4차 십자군 전쟁에서 콘스탄티노플을 지키던 동로마 군대는 십자군보다 훨씬 많았지만, 불과 100명의 십자군 기사들이 성벽에 올라가자 겁에 질려 달아날 만큼 나약하고 겁이 많았다.[2] Gautier, Léon (1891). Chivalry. / 영어 번역: Henry Frith.[3] 실제로 영국과 프랑스가 싸운 백년전쟁 당시, 크레시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고용한 용병부대인 제노아 석궁병들이 영국 장궁병들의 화살을 맞고 후퇴하자, 프랑스 기사들은 제노바 석궁병들한테 달려들어 죽여버렸다. 그들이 적 앞에서 도망친 비열한 겁쟁이여서 벌을 받아야 한다고 여겼기 때문이었다.[4] 다만 제노바 석궁병들에겐 억울했던것이, 비가 온 이후라 땅이 미끄러워서 재장전을 못해 사격도 못하고 영국군 장궁병의 사격에 노출되어 파비스를 가지고 오려고 잠시동안 후퇴한걸 프랑스 기사들이 그들을 배신자라고 여겨 석궁병들을 막무가내로 처형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결국 석궁병들을 죽인 프랑스 기사들은 아군들을 살해한 전범죄로 지위를 박탈당하거나 교수형으로 처형당했으며, 크레시 전투에서 프랑스군은 영국군한테 말 그대로 쳐발렸다[5] 다만 결국 상황이 악화되어 밤 중에 싸움이 재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