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제5기뢰/상륙전단 | 제8전투훈련단 | 특수전전단 | 해양정보단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해군의 편제 |
제5기뢰/상륙전단 第5機雷/上陸戰團 Mine/Amphibious Flotilla Five[1] | ||||||
| ||||||
'''전승의 핵심! 강한 5전단!''' | ||||||
창설일 | 1986년 2월 1일(제5성분전단) 2022년 8월 1일(제5기뢰/상륙전단) | |||||
약칭 | 5전단 | |||||
소속 | 대한민국 해군 | |||||
상급부대 | 해군작전사령부 | |||||
규모 | 전단 | |||||
역할 | 기뢰전·상륙 작전·기동건설 작전 수행 | |||||
전단장 | 준장 조충호 (해사 49기) | |||||
위치 | 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진해 해군기지 | |||||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 해군의 제5기뢰/상륙전단은 해군작전사령부 직할 전단 중 하나로, 제52기뢰전대, 제53상륙전대, 제59기동건설전대를 예하에 두고 있다.'해군성분작전'(海軍成分作戰, Naval Component Operations)[2]을 수행하는 제5성분전단(Component Flotilla Five)이 전신으로, 잠수함사령부, 특수전전단, 제7기동전단 등이 5전단을 구성하는 부대로 시작됐고, 제7기동전단 창설 전까지는 해군의 주요 전투함, 기뢰전함, 상륙함, 군수지원함, 구조함 등을 총괄 지휘하는 부대였다.
2. 상징
조국 해양 수호하는 필승의 선봉[3]
|
제5성분전단 시절 부대 휘장 |
3. 연혁
- 1986년 2월 1일 - 한국함대 제1전단 제11전대와 제2전단을 해체, 해군작전사령부 제5성분전단(제51대잠전대·제52기뢰전대·제53상륙전대·제55군수지원전대·제56특수전전대)을 창설.
4. 역대 전단장
지휘관인 전단장은 해군 준장이다.제7기동전단 창설 전까지 대한민국 해군의 주요 수상함을 지휘하는 부대였기 때문에 다수의 해군작전사령관과 해군참모총장을 배출했다. 그리고 해군의 순항훈련 시, 5전단의 함정이 차출돼 훈련에 참가했기 때문에 5전단장이 순항훈련전단장으로 순항훈련 부대를 지휘했다.
역대 제5전단장 | |||||
대 | 이름 | 계급 | 임관 | 재임기간 | 비고 |
- | 강덕동 | 예) 중장 | 해사 17기 | - | 前 합참차장, 한국해양연맹 사무총장 |
- | 이수용 | 예) 대장 | 해사 20기 | - | 22대 해군참모총장 |
- | 윤광웅 | 예) 중장 | 해사 20기 | - | 前 해군작전사령관, 해군참모차장, 두 번째 해군 출신 국방부 장관 |
- | 장정길 | 예) 대장 | 해사 21기 | - | 23대 해군참모총장 |
- | 김태일 | 예) 소장 | 해사 22기 | - | 8대 해군군수사령관 |
- | 한상기 | 예) 소장 | 해사 23기 | - | 9대 해군교육사령관 |
- | 오승렬 | 예) 중장 | 해사 24기 | - | 前 해군참모차장 |
- | 정병두 | 예) 준장 | 해사 24기 | - | - |
- | 이상필 | 예) 소장 | 해사 26기 | - | 14대 해군군수사령관 |
- | 최기출 | 예) 중장 | 해사 26기 | - | 前 해군참모차장, 스리랑카 대사 |
- | 조학제 | 예) 준장 | 해사 27기 | - | 前 주일 해군무관 |
- | 정병칠 | 예) 소장 | 해사 28기 | - | 前 2함대사령관# |
- | 안기석 | 예) 중장 | 해사 29기 | - | 前 해군작전사령관 |
- | 장승학 | 예) 소장 | 해사 29기 | - | 前 2함대사령관 |
- | 김중련 | 예) 중장 | 해사 29기 | - | 前 2함대사령관, 합동참모차장 |
- | 최윤희 | 예) 대장 | 해사 31기 | - | 29대 해군참모총장, 38대 합동참모의장, 최초의 해군 출신 합참의장 |
- | 손정목 | 예) 중장 | 해사 32기 | - | 前 해군사관학교장, 해군참모차장 |
- | 김동식 | 예) 소장 | 해사 34기 | - | 前 2함대사령관 |
- | 이기식 | 예) 중장 | 해사 35기 | - | 前 해군작전사령관 |
- | 이경창 | 예) 준장 | 해사 35기 | - | 前 제주해군기지 사업단장 |
- | 손차수 | 예) 소장 | 해사 36기 | - | 前 해군본부 군수참모부장 |
- | 박성배 | 예) 소장 | 해사 38기 | - | 24대 해군군수사령관 |
- | 박동우 | 예) 소장 | 해사 38기 | - | 前 3함대사령관 |
- | 천정수 | 예) 소장 | 해사 40기 | - | 前 1함대사령관, 국군사이버사령관 |
- | 박기경 | 예) 중장 | 해사 40기 | - | 前 해군작전사령관 |
- | 김종삼 | 예) 중장 | 해사 41기 | - | 前 해군사관학교장 |
- | 이성열 | 중장 | 해사 44기 | - | 現 해군교육사령관, 前 3함대사령관, 청와대 국가위기관리센터장, 해군사관학교장 |
- | 양민수 | 예) 준장 | 해사 44기 | - | 前 해군본부 정책실장, 제7기동전단장 |
- | 황선우 | 중장 | 해사 45기 | - | 現 합동참모본부 군사지원본부장, 前 해군사관학교장, 3함대사령관 |
- | 박후병 | 준장 | 해사 46기 | - | 前 해군특수전전단장 |
- | 김경률 | 소장 | 해사 47기 | - | 現 제3함대사령관 |
- | 김영수 | 준장 | 학군 38기 | - | 現 해군작전사령부 부사령관 |
- | 조충호 | 준장 | 해사 49기 | - | 現 전단장 |
5. 조직
제52기뢰전대의 남포함(MLS-570) |
제53상륙전대의 독도함(LPH-6111) |
제7기동전단 창설 전까지는, 해역함대[5]에 예속된 함정 이외 대부분 수상함은 5전단 소속이었다. 현재 제5기뢰/상륙전단은 상륙작전(제53상륙전대), 기뢰작전(제52기뢰전대)과 기동건설(제59기동건설전대) 및 해안양륙군수지원(LOTS)[6] 등의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5.1. 편성
- 제5기뢰/상륙전단 본부
- 제52기뢰전대: 기뢰함인 남포급 기뢰부설함(MLS-II)과 원산급 기뢰부설함(MLS-I) 및 소해함인 강경급 기뢰탐색함(MHC)과 양양급 소해함(MSH) 등 14척의 함정으로 구성되어 있다.
- 제53상륙전대: 독도급 대형수송함(LPH) · 고준봉급 상륙함(LST-I) · 천왕봉급 상륙함(LST-II) 등 10척의 상륙함과 기타 함정들이 배치되어 대한민국 해병대와 상륙작전을 수행한다.
- 제59기동건설전대: 전시 해·육상을 통해 전방 또는 적 지역, 정확히는 이제 막 아군이 상륙하여 점령한 지역으로 기동하여 항만및 활주로 피해복구, 해안 양륙 군수 지원 [7] 및 안정화 작전 등 작전 지속 및 생존성 보장에 필요한 시설물을 복구·유지하는 공병부대다.[8] 미국 해군의 공병(Seabees)들과도 종종 연합 훈련을 한다.출처
5.2. 과거 소속부대
- 제55구조·군수지원전대[9] - 2018년 9월 1일 분리되어, 해난구조대(SSU)는 해난구조전대로 승격 후 구조함과 함께 해군 특수전전단에 예속, 군수지원함은 제7기동전단 예하 제77기동군수전대에 예속.
6. 관련 영상
2013년 한미 연합 기뢰전 훈련 |
2017년 다국간 기뢰전훈련 |
2024 림팩훈련 59기동건설전대 |
[1] 정식 영문 명칭은 Commander Mine/Amphibious Flotilla Five. 해군의 지휘조직 및 지휘관의 정식 영문 명칭은 'Commander + 조직명'. 이는 현대 해군의 시조인 영국 해군의 관례로, 예를 들면 '주한 미국 해군'의 정식 명칭은 Commander, U.S. Naval Forces Korea, '미 해군 제7함대'는 Commander, U.S. 7th Fleet이다. ROK Navy Mine/Amphibious Flotilla Five는 '대한민국 해군 5기뢰/상륙전단'을 영문으로 직역한 경우.[2] 해군성분작전이란 전투환경 특성에 따라 해군 전력이 기본적으로 수행하는 작전을 의미한다.[3] 5전단가 중[4] 해난구조대, 통영급 수상함 구조함(ATS-II) 2척, 청해진함(ASR-21)은 해군 특수전전단 예하 해난구조전대 예속, 천지급 군수지원함(AOE-I) 3척 및 예속 예정이던 소양급 군수지원함(AOE-II)은 제7기동전단 의 제77기동군수전대로 예속[5] 제1함대사령부, 제2함대사령부, 제3함대사령부[6] Logistics Over The Shore[7] Logistics Over The Shore (LOTS)[8] 대한민국 해군의 여타 공병부대들 보다 규모만 좀 클 뿐이지 평시에는 적은 인원으로 운용되며, 전시 등의 특정한 상황에서 예비군을 소집하여 완편한다.[9] 2015년 경 제55군수지원전대에서 개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