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한국어 단어
1.1. 기도(氣道), 호흡 기관
1.2. 기도(祈禱), 종교 행위
1.3. 기도(企圖), 꾀하다
일을 꾸며 내려고 꾀함, 혹은 그렇게 꾀한 꾀나 행동.거의 유의어나 다름없는 동음이의어로서 기약하여 꾀한다는 의미의 期圖 및 바라는 것이 있어 이루려고 꾀한다는 의미의 冀圖 등이 있지만, 사실상 이처럼 엄밀한 분별은 잘 하지 않는다. 오늘날 꾀함 정도의 의미를 가지는 기도는 대체적으로 企圖 하나로 통용되는 듯.
1.4. 기타
2. 외국어
2.1. 기도(きど), 일본어
유흥업소의 출입구를 지키는 사람, 즉 문지기.유흥업계 은어인데, 유흥업계에서 잔존하는 대표적인 일본어 잔재라고 할 수 있다. 원래 일본어로 문을 뜻하는 단어에서 유래한 말이다. 일본어 きど(木戸)는 (정원이나 통로의 출입구 등에 세운) 나무로 된 외짝 여닫이문, (스모나 연극 등) 흥행장의 출입문, 그리고 성문 등의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기도 다카요시같이 성씨로도 존재한다. 구태여 연관성을 찾아보자면 두 번째 의미에서 직접적으로 유래된거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흔히 삐끼라고 불리는 존재는 일본어의 호객꾼(客引き)이다. 경비원의 의미에 가까운 기도와는 상관없는 말이기는 하지만 간혹 삐끼가 기도를 겸하는 경우도 있다.
영어로는 바운서라고 부른다. 자세한 내용은 바운서 쪽을 참고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