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font-weight: bold;"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rowcolor=#fff,#fff> | 블루 아카이브 총력전 및 대결전 보스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50%; border: rgb(65,65,65,0.2) solid 1px;" | |||
※ 방어 타입은 최초 출시 당시의 방어 타입입니다. ※ 모든 보스는 인세인 난이도 이상에서만 공격 타입을 가지며, 익스트림 이하 난이도에서의 공격 타입은 일반입니다. |
성인의 통공 [ruby(GREGORIUS, ruby=COMMUNIO SANCTORUM)] |
|
vs GREGORIOUS - Gregorius | Symphony[1] |
방 세부 정보 |
키보토스 어딘가에 버려진 지하 성전에서 뒤틀린 신비에 의해 현현한 인공천사가 관측되었습니다. |
1. 개요
그러니 소개하겠다. 선생이여.
우리가 창조해낸 교의의 인공천사
<[ruby(모든 성인의 통공, ruby=COMMUNIO SANCTORUM)]>의 새로운 시리즈. 나의 예술 작품.
그레고리오.
그러니 이번에도 갈채를 내려주길 바란다. 선생이여.
공연이 곧 시작될테니. 부디, 더욱 격렬하게.
마에스트로
블루 아카이브 총력전에 등장하는 보스로, 2023년 6월 17일 블루아카 라이브!를 통해 공개되었다. 일본 서버 및 한국 서버의 공식 명칭은 '그레고리오'로, 로마자 표기 명칭인 'GREGORIUS'는 '그레고리우스'라 읽는다. 후자는 라틴명이고, 전자는 가톨릭 인명 표기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우리가 창조해낸 교의의 인공천사
<[ruby(모든 성인의 통공, ruby=COMMUNIO SANCTORUM)]>의 새로운 시리즈. 나의 예술 작품.
그레고리오.
그러니 이번에도 갈채를 내려주길 바란다. 선생이여.
공연이 곧 시작될테니. 부디, 더욱 격렬하게.
마에스트로
2. 특징
방어타입은 경장갑, 지형은 실내전으로 키보토스 어딘가의 버려진 성전 내부 성가대 무대에서 진행되고, 인세인 난이도부터는 신비 공격 속성을 띤다.그레고리오 본체는 앞면의 지휘자와 양 옆의 성악가 두 명, 뒷면의 피아노 연주자로 되어 있으며 가까운 곳 좌우로 성가대, 나중에 소환되는 먼 곳의 좌우 단상에서 소환되는 성가대, 중앙에 설치된 별도의 오르간 파이프까지 모두 한 세트인 대규모 보스전이며 그에 걸맞게 수많은 기믹과 메카닉으로 점철되어 숙지하는 데 상당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3. 스킬
- 스킬 수치 및 표기 기준은 인세인, 토먼트, 루나틱 기준이다.
- 그레고리오의 평타는 원형 범위 내 음파를 퍼뜨리는 광역 공격이다.
<rowcolor=white> 성자의 속삭임 - EX 스킬 | |
적 전체에게 공격력 500%의 확정 치명 대미지, 공격력 40%/70% 감소(120초간) (이 해로운 효과는 해로운 효과 제거 스킬에 의해 제거되지 않습니다.) |
총력전 보스 최초의 확정 치명타 공격 스킬이다. 부적을 착용하면 치명 대미지 저항이 올라가기 때문에 그만큼 덜 아프게 맞는다. 인게임 진입 시 최초로 시전하는 스킬이기 때문에 인세인부터 특수장갑은 시작하자마자 탈락이고 확정 치명이라 경장갑도 위험할 정도로 중장갑을 강요하는 기믹인데 힐러도 특수장갑인 체육복 마리와 코코나가 봉쇄되기 때문에 코하루나 루미 같은 중장갑 광역 힐러를 쓰는 것이 강제된다. 힐러가 없으면 중장갑도 오래 못 버틴다.
루나틱에서는 공깎을 다른 디버프 해제는 물론 오르간으로도 해제할 수 없어 스트라이커는 상시 70% 공깎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심지어 2번까지 중첩되기 때문에 게부라의 사례와 같이 드히나를 위시한 스트라이커 파티를 저격하는 효과이다. 물론 최대로 깎이는 수치가 있어 140% 감소로 적용되지는 않고, 드히나, 수시노를 쓰는 영상이 나왔다. 사용 방식은 첫 번째 성자 스킬은 맞고 두 번째 성자 스킬을 그로기로 캔슬해서 딜을 하는데 수시노가 헬기를 탈 때 드히나 3연발을 다 쏘고 퇴각한다. 다만 이것을 하려면 히나+수히나+드히나의 인연 총합이 130 이상이어야 하는 데다 미네는 2분만 쓰고 버리는 카드가 되기 때문에 히나가 애정캐인데 자기 미노리나 사야 둘 중 한명을 못 키운 게 아닌 이상 예능팟으로 보는 게 좋다.
<rowcolor=white> 엄격한 회개 - EX 스킬 | |
자신이 보유한 해로운 효과 수에 따라 적용되는 효과가 달라집니다. * 해로운 효과 4/5/6개 이하: 아군 전체의 해로운 효과 1개 제거 * 해로운 효과 5/6/7개 이상: 아군 전체의 공격력 10% 감소 (120초간) |
<rowcolor=white> 그레고리오 성가 - EX 스킬 | |
중앙의 오르간 파이프가 향한 방향에 따라 아군 전체 혹은 적군 전체에게 스킬을 사용하며, 스킬을 사용할 때마다 효과가 변경됩니다. * 첫 번째: 검은 파이프가 향한 팀 전체 받는 대미지량 50% 증가 (60초간) (이후 스킬 사용 시 첫 번째부터 다시 반복)* 두 번째: 하얀 파이프가 향한 팀 전체 해로운 효과 1개 제거, 추가로 주는 EX 스킬 대미지량 70% 가산(120초간) * 세 번째: 하얀 파이프가 향한 팀 전체 받는 대미지량 50% 증가 (60초간) * 네 번째: 검은 파이프가 향한 팀 전체 해로운 효과 1개 제거, 추가로 주는 EX 스킬 대미지량 70% 가산(120초간) |
오르간의 작동 시간은 거의 고정되어 있으며 3:22초 첫 작동 이후 35초로 스킬이 발동하는데 1번과 3번 스킬 발동 전에만 오르간을 돌려놓으면 디버프는 적에게 디버프 해제는 내가 받을 수 있다. 3분 30초, 2분 30초, 스킬 1사이클 회전 후 다시 한 번 1분 20초 경 이렇게 세 번만 발동시키면 된다.
오르간이 지우는 디버프는 가장 최근에 적용된 디버프를 지운다. 따라서 별도의 쿨타임이 없는 수준의 디버프인 "공격 시 디버프"류를 채용하여 해당 디버프를 지우는 즉시 다시 갱신하도록 유도하거나 값싼 디버프를 지우도록 유도하면 된다.
루나틱에서는 흰색 마법진으로 스트라이커 학생의 디버프를 지울 수 없으므로 대신 해당 팀의 EX 스킬 대미지 70% 증가 버프를 준다. 해당 팀 전체에 발동하기 때문에 스페셜 학생에도 적용되어 극딜 타이밍을 가질 수 있다.
제법 복잡해 보이지만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시작하자마자 오르간을 돌린다. 2) 이후 우리 파티 쪽에 흰색 마법진이 발동되었다면 오르간을 돌린다.
<rowcolor=white> 만인을 향한 구휼 - EX 스킬 | |
적 전체에게 공격력 999999 대미지 (이 공격은 불사를 제거합니다) |
<rowcolor=white> 성자의 종들의 종 - 강화 스킬 | |
그레고리오가 보유한 해로운 효과의 수에 따라 자신과 성가대에게 효과 적용 * ● 안전 (해로운 효과 4~5/5~6/6~7개): 받는 대미지량 200%/250% 증가 * ● 경고 (해로운 효과 2~3/3~4/4~5개 혹은 6~7/7~8/8~9개): 받는 대미지량 100% 증가 / 공격력 20% 증가 * ● 위험 (해로운 효과 1/2/3개 이하 혹은 8/9/10개 이상): 공격력 40% 증가 |
<rowcolor=white> 해로운 효과 수 | ||||||||||
0 | 1 | 2 | 3 | 4 | 5 | 6 | 7 | 8 | 9 | + |
~익스 | ||||||||||
인세인 | ||||||||||
토먼트~ |
그레고리오 공략의 핵심 기믹 중 하나로, 그레고리오에게 걸린 약화 상태의 수에 따라서 받는 대미지량과 공격력 상승량의 변동이 일어나는 기믹이다. 그레고리오의 체력바 오른쪽의 방패 아이콘 안의 숫자로 현재 걸린 약화 효과의 수와 색깔로 안전(녹)-경고(황)-위험(적)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방패 아이콘 이외에도 체력바 윗쪽 버프 디버프 아이콘을 표시하는 곳 가장 왼쪽에 방패와 마찬가지의 색깔 아이콘으로 표시된다. 숫자는 10중첩 이상이면 9+로 표기된다.
"그레고리오에게 걸린 상태이상"이 기준이기 때문에 성가대에 따로 디버프를 걸어서 성가대가 보유한 디버프 갯수 합이 달라져도 이 스킬로 인한 대미지는 그레고리오를 따라간다.
디버프 상태를 안전으로 유지하며 스트라이커 학생들이 받을 피해량을 줄이는 것은 물론, 피대미지 증가량이 200%인 안전 상태에서 극딜을 넣는 것이 당연히 중요하다. 단, 디버프 자체가 유지 시간이 있는 데다가 엄격한 회개 스킬을 통해 디버프가 쉽사리 고정되지 않도록 관리되고 있으므로 디버프 수가 요동치는 것은 불가피하다. 인세인, 토먼트에서는 요구 디버프량이 이전 대비 1개씩 더 늘어나며 토먼트에서는 안전 단계에서 받는 대미지 증가량이 250%가 되어 관리가 더 중요해졌다.
표기되어 있지는 않지만 중앙의 파이프 오르간 또한 디버프의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초록색 상태일 때는 육성 정도에 따라 미네의 EX만으로 오르간을 돌릴 수 있다.
<rowcolor=white> 장엄한 성가대 - 강화 스킬 | |
좌측, 우측 단상의 성가대는 등장 후 40초간 합창을 마치면 공격력 100% 증가 성가대는 체력이 1% 미만이 되면 쓰러져서 공격불가 상태가 됩니다. |
페로로지라의 페로로 미니언과 마찬가지로 성가대는 쓰러진 상태여도 그대로 남아 본체에게 대미지를 전달한다. 이건 중앙 및 2페이즈 성가대도 같다.
한편, 성자의 속삭임으로 후열이 피해를 입는 마당에 측면에서 소환된 성가대도 아군 딜러를 공격하기 때문에 코스트 안배가 대단히 중요해진다. 소환 타이밍은 엄격한 회개의 타이밍과 맞물려 안전 상태를 경계 상태로 악화시키기 때문에 디버프를 조절하는 대신 피해를 감수할지, 피해를 줄이기 위해 힐을 주거나 딜을 줄일지 선택하게 된다.
<rowcolor=white> 거룩하시도다 - 강화 스킬 | |
그레고리오의 능력치를 변경하는 해로운 효과 적용 시 동일한 효과가 성가대에게도 복제됩니다. 성가대가 받은 피해의 100%를 그레고리오에게 전달합니다. 전투 시작 직후 그레고리오와 성가대의 공격력 30% 감소(30초간) 연주의 후반부에 모든 성가대는 그레고리오 옆으로 이동하여 합창합니다. 이 때, 적과 아군이 점차 강화됩니다. * 모든 성가대는 10초마다 공격속도 10% 증가, 추가로 10초마다 공격속도 10% 증가(이 효과는 중첩 가능) * 스페셜 적의 치명 확률이 최대치가 되며, 추가로 스페셜을 포함한 모든 적은 10초마다 코스트 회복력 300 증가(이 효과는 중첩 가능) |
개전 직후에 걸리는 셀프 공격력 감소 디버프 때문에 디버프 숫자가 1로 시작하게 된다. 지속 시간은 짧지만 첫 속삭임 패턴의 대미지를 경감시켜 주고 디버프 중첩 조율에 도움을 준다. 해당 디버프가 풀리는 것을 감안해서 성가 패턴이나 회개 패턴 타이밍의 중첩 수를 계산하는 게 좋다.
스킬 하나에 포함되어 있는 내용이지만 그레고리오의 마지막 핵심 기믹으로 남은 시간 1분부터 페이즈 전환 컷신과 함께 전면 단상에 좌우 가득 성가대가 출현하며 연주와 배틀이 클라이맥스에 다다른다. 대항전의 피버 타임처럼 적 아군 서로 강화가 되는데 이 순간에 실질적인 딜링을 다한다고 보면 된다. 인세인 기준 그레고리오의 체력이 934줄인데 이 남은 1분 동안 500줄을 까고 보스를 잡는 것도 가능하다. 토먼트도 크게 다르지 않아 1100줄에 600줄 정도는 까게 된다. 단, 그냥 딜만 한다고 되는 게 아니고 섬세하게 디버프 상태를 안전으로 유지한 채 탱커와 힐러를 퇴장시켜 가며 EX를 난사해야 한다. 만약 이 시간 동안 잡지 못하면 13초쯤 남은 시점에서 즉사 패턴이 발동되며 전원 퇴장, 타이밍을 놓치면 재시작하지 못할 가능성도 있다.
루나틱에서는 피날레 구간에 성가대(그레고리오 본체는 적용되지 않음)의 치명 피해 저항력이 크게 증가하고 스페셜 딜러의 공격이 확정 치명으로 변경된다. 치명 피해가 제대로 나오기 위해서는 충분한 치명 피해 버프와 치명 피해 저항 감소가 필요하며 후자는 스트라이커를 저격하는 효과이다.
<rowcolor=white> 고행의 오르간 - 강화 스킬 | |
중앙의 오르간 파이프는 Ex 스킬로만 공격할 수 있으며, 체력이 1% 미만이면 180도 회전합니다. 회전 직후 HP가 가득차고, 30초간 공격받지 않습니다. |
오르간은 EX 스킬로만 작동할 수 있으며 예로니무스의 보라색 병처럼 일정 이상의 화력이 나와야 한다. 작동 후 30초 동안의 무적시간이 있으나 잘못해서 돌리지 말아야 할 타이밍에 작동시킬 수도 있으므로 오르간을 돌리는 타이밍은 철저하게 숙지해 둘 필요가 있다. 수히나나 뉴루나처럼 범위 안의 적을 자동으로 타깃팅하는 EX 스킬은 의도치 않게 오르간을 타깃팅할 수 있다.
4. 스펙
그레고리오는 본체에 디버프를 걸어 성가대에 복사한 뒤 성가대와 그레고리오 모두에게 대미지를 주는 기믹을 가진 보스로 다음과 같은 스펙이 적용된다.- 그레고리오 본체는 대형, 성가대와 파이프 오르간은 중형 적으로 분류된다. 지형은 실내전으로 등장한다.
- 성가대의 체력을 1% 미만으로 만들 때마다 그레고리오의 그로기 게이지가 일정 수치만큼 차오른다. 페로로지라와 달리 그레고리오는 본인이 받은 대미지도 정상적인 비율의 그로기 게이지가 증가하므로 대미지가 부족하더라도 성가대를 빠르게 처치해 그로기 상태로 만들거나 압도적인 대미지를 통해 강제로 그로기 상태로 만들어 눕힐 수 있다. 다만 성가대가 받은 대미지로는 그레고리오의 그로기 수치를 증가시킬 수 없다.
- 성가대가 페로로지라의 미니언처럼 자신이 받는 대미지를 그대로 본체에 전달하는데 성가대의 숫자도 많기 때문에 광역기를 쓰는 순간 대미지가 복사가 되며 여기에 페로로지라처럼 방어력 등으로 딜이 복사가 되는 것을 억제할 요소도 없고 오히려 그레고리오의 디버프가 성가대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익스트림에서부터 다른 총력전 보스의 토먼트급 체력을 갖게 되고 인세인을 넘어가면 체력이 1억 단위를 넘어가는 차원이 다른 체력을 보유해도 체력이 순식간에 깎여나가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그레고리오의 안전/경고 상태의 받는 대미지 증가와 파이프 오르간의 받는 대미지 증가 디버프는 곱연산으로 계산한다. 따라서 안전 상태일 때 받는 대미지 50% 디버프를 받을 경우 그레고리오는 대미지를 인세인까지는 4.5배, 토먼트에서는 5.25배로 받게 된다.[계산식] 이를 이용해 인세인에서 수시노를 강제로 기용할 경우 범위 내의 폭발 스트라이커는 대미지를 13.455배로 넣게 된다.
- 그레고리오 본체와 성가대 쫄들은 다른 총력전 보스들보다 높은 회피 수치를 갖고 있다. 예전에는 노멀부터 하드코어까지 600, 익스트림에서는 700, 인세인과 토먼트에서는 800으로 명중 수치 보정이 없으면 MG, SMG 딜러들과 히비키는 사용하기 매우 어려웠다. 노멀 히비키는 명중 수치를 보정해 줄 요소가 따로 없어 100이라 노멀에서도 죄다 빗나가며 장갑으로 명중 수치 보정을 받는 치비키도 명중 수치가 300대라 EX의 응원의 열기 지속 대미지를 노리는 수밖에 없었다. 이후 루나틱 난이도 출시와 함께 전 난이도의 회피 수치가 500으로 감소하면서 대다수의 스페셜 딜러들을 운용할 수 있게 된다.
- 높은 회피 수치와는 반대로 방어력은 본체와 쫄 모두 난이도 불문 1000으로 토먼트 기준으로도 높은 방어력을 가진 비나(6800), 예로니무스(6500), 페로로지라와 쿠로카게(7000)보다 확실히 낮다. 다만 낮은 방어력을 가진 시로&쿠로(700), 카이텐저 로봇(420/그린 파츠 활성화시 1420)보다는 높은 편이라 방깎은 제법 유효한 편이다. 거기에 기믹 특성상 방깎도 디버프로 판정되어 방깎 요원을 넣는 것은 권장된다.
- 또한 이례적으로 가장 쉬운 노멀을 포함, 전 난이도 공통으로 방어 관통 1000이라는 스펙을 들고 온다. 때문에 거의 대부분의 딜러는 방어력이 0인 것과 동일하며 잘 육성한 방어 탱커조차도 방어력의 절반이 깎인다고 봐야 한다. 명중률이 호드와 고즈의 1500보다도 높은 1600이라 아무리 회피가 높은 학생이어도 공격을 잘 회피하지 못한다.
- 인세인 이후에 추가되는 기믹은 따로 없고 엄격한 회개와 성자의 종들의 종에 필요한 디버프 개수만 변경된다. 그리고 안전 단계에서 받는 대미지 증가량이 200%에서 250%로 증가한다.
보스의 상세 스펙은 다음과 같다.
<rowcolor=white> 난이도 | 그레고리오의 HP | 기타 |
Normal | 1,000,000 | 공격 속성 일반 전투 시작과 동시에 30초간 자신에게 공격력 30% 감소 디버프 적용 EX 스킬 엄격한 회개 기준 디버프 개수 5개 강화 스킬 성자의 종들의 종 기준 디버프 개수 0~1 및 8+[위험] / 2~3 및 6~7[경고] / 4~5[안전] 그레고리오가 받는 모든 약화 디버프는 성가대에도 동일하게 적용[6] 성가대가 받는 대미지의 100%를 그레고리오도 받음 성가대의 체력이 1% 미만이 되어 쓰러질 때마다 그레고리오의 그로기 게이지 증가 남은 전투 시간이 1분이 되면[그로기] 2페이즈 진입, 그로기 게이지가 더 이상 차오르지 않음 남은 전투 시간이 13초가 되면[그로기] 그레고리오가 전멸기를 사용 |
Hard | 3,000,000 | |
VeryHard | 6,000,000 | |
Hardcore | 10,000,000 | |
Extreme | 40,000,000 (×267) | |
Insane | 140,000,000 (×934) | 공격 속성 신비 EX 스킬 엄격한 회개 기준 디버프 6개로 증가 강화 스킬 성자의 종들의 종 기준 디버프 개수 0~2 및 9+[위험] / 3~4 및 7~8[경고] / 5~6[안전] 으로 변경 |
Torment | 220,000,000(×1100) | EX 스킬 엄격한 회개 기준 디버프 개수 7개로 증가 강화 스킬 성자의 종들의 종 기준 디버프 개수 0~3 및 10+[위험][13] / 4~5 및 8~9[경고] / 6~7[안전]로 변경 안전 단계에서 그레고리오가 받는 대미지량 250%로 증가 |
Lunatic | 1,250,000,000(×6250) | 스트라이커 학생의 공격력 감소 70%로 증가, 최대 2회 중첩 및 해제 불가[16] 그레고리오 성가 - 디버프 해제에 해당 팀 전체의 EX 스킬 대미지 70% 증가 추가 피날레 돌입 시 모든 스페셜 학생의 공격을 확정 치명으로 변경 피날레 돌입 시 그레고리오를 제외한 모든 성가대에 치명 대미지 저항력 100%p 부여 |
5. 공략
- [ 타임 테이블 ]
- ||<nopad>||
- 대부분의 총력전 보스들이 남은 체력에 따라서 페이즈가 진행되는 것과는 달리, 그레고리오는 페로로지라처럼 체력에 관계없이 진행되는 시간에 따라 페이즈를 진행한다. 따라서 딜이 남아돈다면 페이즈를 넘기지 않고 바로 처치가 가능하나, 다르게 말하면 남은 체력에 상관없이 몇 파티를 투입해도 무조건 1페이즈부터 시작한다. 추정 타임 테이블은 다음과 같으며, 그로기에 걸리는 경우 10초씩 지연된다.
<rowcolor=white> 추정 타임 테이블 추정 남은 시간 전장 상황 비고 3:54.800 성가대 등장 중앙 소환 3:39.800 성자의 속삭임 발동 3:29.700 거룩하시도다 해제 3:23.500 그레고리오 성가 발동 검은색 방향으로 받는 대미지 50% 증가(60초) 3:04.700 엄격한 회개 발동 2:59.500 성가대 해산 2:54.800 성가대 등장 중앙, 좌측 소환 2:47.000 그레고리오 성가 발동 흰색 방향으로 디버프 1개 해제 2:30.400 성자의 속삭임 발동 2:14.800 장엄한 성가대 발동 2:12.300 그레고리오 성가 발동 흰색 방향으로 받는 대미지 50% 증가(60초) 1:59.500 성가대 해산 1:55.300 엄격한 회개 발동 1:54.300 성가대 등장 중앙, 우측 소환 1:36.400 그레고리오 성가 발동 검은색 방향으로 디버프 1개 해제 1:20.000 성자의 속삭임 발동 1:11.900 장엄한 성가대 발동 1:02.800 그레고리오 성가 발동 검은색 방향으로 받는 대미지 50% 증가(60초) 0:59.600 성가대 해산 0:54.800 성가대 등장 중앙 전체 소환 0:49.800 거룩하시도다 발동 0:45.800 엄격한 회개 발동 0:39.700 거룩하시도다 발동 0:29.700 거룩하시도다 발동 0:14.000 만인을 향한 구휼 발동 스트라이커 전멸 시각으로, 미노리 등 스페셜 딜링 EX는 전멸 후에는 범위가 닿지 않으므로 이 시각 전에 사용해야 한다. 0:11.600 전투 종료
그레고리오는 지휘와 연주를 반복하며 성가대 미니언들을 소환한다. 이 미니언들은 페로로지라의 미니언처럼 대미지를 받으면 보스 본체에도 영향이 가는데 특이하게도 보스 본체에 디버프가 걸리면 미니언들도 이 디버프가 적용된다. 체력 게이지 옆에 디버프의 개수가 보이는데, 적용된 디버프의 개수에 따라 보스와 미니언들에게 약화 또는 강화가 적용된다. 그러므로 디버프 개수 유지와 광역 공격을 중심으로 공략해야 하는 보스이다. 이에 더해 루나틱 난이도에서는 스페셜 딜러와 스페셜 딜러들의 치명타 대미지 증가를 요구한다.
흑과 백 양방향으로 이루어진 중앙의 파이프는 특정 시간대에 각 면이 디버프와 디버프 해제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이 파이프를 EX 스킬로 돌려서 보스에게 디버프를 걸고 아군에게 걸린 디버프는 해제하는 것이 공략의 핵심이다.
디버프의 수가 너무 높거나 낮으면 아군에게 불리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디버퍼를 축차투입해서 마구 걸어댄다고 되는 게 아니고 까다로운 타임라인 최적화가 필요하다. 유효한 디버프는 파란색 아이콘으로 공격력 / 방어력 등의 스탯 감소계 스킬들과 집중포화 / 코스트 회복속도 증가 등의 상태 부여, 중독 / 오한 / 화상 등의 도트 대미지 상태 이상이 있다.
기절, 공포, 도발 같은 보라색으로 표시되는 CC기는 디버프가 아님에 주의해야 한다. 방송에서 시연된 베리하드 기준으로는 초록색으로 표시되는 3~4가 안전(약화 최대),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1~2와 5~6은 경고(약화 중간), 빨간색으로 표시되는 0과 7 이상은 위험(약화 없음)이었으나 실제 업데이트 시에는 안전 기준점이 4~5로 더 높아졌고, 인세인과 토먼트에서는 1씩 더 오르게 되었다.
특이사항으로는 남은 시간이 60초 이하에 돌입할 때 적용되는 피버 타임으로 이때는 보스가 강화되고 플레이어한테도 코스트 회복 속도 증가 버프가 적용된다. 따라서 남은 전투시간 동안 최대한 극딜을 때려박아 클리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만, 전투시간 60초가 전부 주어지는 것이 아니고 그로기 시간을 감안해서 전멸기가 13~14초쯤에 발동한다. 이 전멸기는 무적 버프로 상쇄가 불가능하다. 피버 타임 이전에 그로기를 발생시키면 전멸기의 발동이 조금 늦춰진다.
디버프를 중시해야 하는 기믹 때문에 줄곧 이어져 온 치명 최강 메타를 부정하며 여태까지의 경장갑 총력전의 메타를 갈아엎었다. 이렇게 메타가 바뀌면서 새로운 학생들을 요구되어, 필요없다고 생각했던 학생들까지 모두 픽업해 와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그나마 고즈처럼 한정 캐릭터가 필수로 있어야 인세인 클리어를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당장 한정 캐릭터인 체육복 유우카, 수영복 시즈코를 가지고 있지 않으면 인세인 클리어가 불가능한 고즈와 다르게 그레고리오 총력전에 단골로 들어가는 캐릭터인 미네, 미나, 수영복 사키, 수영복 미야코, 나기사, 미노리 등에서 나기사 말고는 모두 통상 캐릭터이다.
그레고리오에 적합한 범위 딜러가 스페셜에 편중되었다거나, 디버퍼는 반대로 스트라이커에 몰려 있고 스트라이커에 공격력 감소 디버프는 물론 확정 치명 공격까지 걸어대므로 유저들은 이를 '스페셜 딜러를 중심으로 싸우라는 것이 기획 의도가 아닌가'라고 여긴다. 총력전 출시 전후로 전무했던 스페셜 캐릭터 강화 캐릭터까지 출시되면서 이러한 추측은 더욱 힘을 받기 좋았다.
하지만 그런 예상이 무색하게 클리어는 물론 고점조차도 스트라이커 중심 편성이 차지한다. 이는 기획 실패라기보다는 그만큼 느슨하게 설계된 의도된 밸런스라 여김이 더 합당하다. 범위공격을 요구한다고는 하지만, 드레스 히나 같은 4-5개 타겟만을 동시 공격할 수 있는 직선 범위 딜러로도 충분히 클리어가 가능하다. 안 그래도 디버퍼 확보부터 디버프 유지를 위한 까다로운 타임라인 관리를 요구하기가 부담스러운 마당에, 딜컷까지 하면 유저들의 육성 고려사항이 너무 많아지기 때문이다.
SEASON #71에서는 미노리의 최대 대미지 제한으로 인한 딜 손해가 논쟁의 중심이 되었다. 7코스트 기준 거의 5할에 가까운 대미지 손실이 일어났기 때문에 이런 손실이 없었다면 돌마리를 채용한 스트라이커 파티보다 더 빨리 클리어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이를 어떻게 해보기 위해 5코스트에서 EX를 사용하는 궁여지책을 사용해보지만, 한번 EX를 사용하면 패를 돌려야 하는 게임 구조상 이는 막심한 손해이다.
그러나 이후 수영복 호시노를 살리는 택틱이 개발되어 스트라이커 파티의 고점이 스페셜 파티를 아득하게 뛰어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 대해 '스페셜 딜러 사용이라는 개발 의도가 스펙 인플레에 의해 붕괴된 것이 아닌가'하는 의견이 있었다. 결과적으로 SEASON #77의 루나틱 난이도부터는 성자의 속삭임의 공격력 감소 디버프가 70%로 증가하고, 디버프를 해제하지 못하게 함으로써 게부라와 똑같이 스페셜 딜러를 접대하는 편성을 요구하게 되었다.
본래 스트라이커를 저격하는 기믹으로 나왔음에도 본 속성은 물론 대결전으로 나온 중장갑, 특수장갑 타입마저 스트라이커 파티에 수없이 고점을 따이는 모습을 두고 예로니무스나 페로로지라와 비슷한 샌드백 취급을 당하기도 한다. 사실 기믹의 복잡함을 놓고 보면 으뜸으로 꼽을 수 있을 만큼 까다로운 보스이다. 그것을 반증하듯 모든 총력전 보스 중 유일하게 블루 아카이브 공식 유튜브 채널에 그레고리오의 세부 기믹을 소개하는 영상이 별도로 마련되었다.
타임라인이 고정되었다는 점은 타임라인을 숙지하고 연구하여 빌드를 정립하면 확실하게 쉬워진다는 뜻이다. 그러나 오르간, 확정 치명 공격기, 디버프 관리 등 적확한 타이밍에 기믹을 수행하지 않으면 치명적으로 작용하는 요소들이 타임라인에 촘촘히 채워졌다. 그것을 하나하나 따져가며 택틱을 설계하는 것 자체도 번거롭거니와, 기믹을 제대로 숙지하지 않은, 일명 '박치기식 공략'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게 설계되었다. 워낙에 기믹이 난해하고 복잡하다 보니 일반 유저들은 랭커들이 내놓은 택틱을 그대로 따라하는 경우가 많은데, 어쩌다가 굉장히 적은 체력을 남겼더라도 웬만하면 재시작하여 최적화된 파티 내에서 마무리 짓도록 하는 게 좋다. 그레고리오의 기믹을 잘 모르거나 디버퍼 학생이 충분하지 않은 상태에서 함부로 다음 부대로 넘기는 것은 위험한 선택이다.
6. 역대 총력전 시즌
6.1. 일본 서비스
<rowcolor=white> 시즌 | 지형 | 비고 | 기간 |
SEASON #55 | | 23.07.05. ~ 23.07.12. | |
SEASON #71 | | 24.10.30. ~ 24.11.06. | |
SEASON #77 | | 25.04.30. ~ 25.05.07 |
- SEASON #55 (23.07.05. ~ 23.07.12.)
그레고리오 총력전이 최초로 개최된 시즌이다. 일반적으로는 인세인에서 개발진이 의도한 것처럼 수영복 토끼단 + 스페셜 딜러들을 사용하는 파티로 1팟클이 나왔다. 이후 수시노+아루 택틱이 나와 이를 통해서도 1파티 클리어가 나왔으며 크리가 잘 뜬다면 인세인 최상위권도 가능하였다.[17] 토먼트는 역대 총력전 최저 클리어 인원이 나왔으나 기존 총력전과는 매우 다른 학생풀이 요구되는 것 때문으로 보이며, 의외로 난이도는 낮은 편으로 다른 총력전들이 토먼트에서 최소 2~3팟을 요구하는 반면, 그레고리오는 처음 개최된 시즌에서 역대 총력전 토먼트 난이도 최초로 1팟클이 나왔다.[18] 다만 성가대의 대미지와 그로기 게이지가 전이되지 않는 버그로 인해 그로기 타이밍이 늦춰져 결과적으로 피날레를 늦출 수 있었기 때문에 이로 인해 1팟클이 가능해진 것이라는 분석도 있다.
총 인세인 이상 클리어 인원은 15,204명, 토먼트 클리어 인원은 262명, 토먼트 1파티 클리어는 27명으로 집계되었다. 인세인 클리어는 마지막 날에 침수가 되었는데, 수토끼 택틱의 경우 토먼트도 노려 볼 수 있으나 기존과 다른 캐릭 풀을 요구하다 보니 준비된 유저가 그리 많지 않았고, 아루 택틱은 아루의 특성상 극심한 크리리트를 요구하며, 택틱 최적화가 상당히 느리게 진행되어 생긴 일로 보인다.
- SEASON #71 (24.10.30. ~ 24.11.06.)
1년 4개월만에 총력전으로 다시 돌아왔다. 24년 4월에 대결전이 열렸지만, 당시는 토먼트 방어타입이 중장갑이었기 때문에 이번에야말로 미노리나 수영복 사키, 미나 등 이전에 쓰였던 학생들이 다시 쓰일 수 있을지 주목받았다.
초반에는 미노리 등 스페셜 딜러를 메인에 강력한 스페셜 버퍼인 아이돌 사쿠라코나 아이돌 마리, 여기에 수영복 사키나 수영복 미야코 또는 미나 등의 정석 조합으로 1팟 클리어가 진행되었다. 하지만 미노리의 스킬이 단타인 특성 탓에 고점이 최대 대미지 제한 400만에 걸리면서 미노리의 잠재력을 100% 활용하지 못하게 되었다.
그러나 그간 수영복 호시노를 생존시킬 수 없어서 토먼트에서 사용되지 못할 거라고 생각되었던 스트라이커 딜러 파티가 새로운 택틱이 개발되며 미노리 파티보다 더 높은 점수를 내게 되었다. 드레스 히나가 키사키의 EX 대미지 증가라는 초강력 버프를 받으면서 무장 호시노와 미네로 생존하면서 토먼트 1팟클이 가능하게 된 것이다. 무장 호시노는 탱커로 채용되어 평타를 통해 서브 스킬 디버프를 넣기 때문에 처음 위치를 잡을 때 사용하는 EX 4코스트만 빼면 이후 코스트를 쓸 일이 없다. 당연히 이전의 고점픽이었던 수야코(2코스트 EX로 디버프, 서브스킬로 코스트 확보)보다 코스트 소모량이 적을 수밖에 없다. 여기에 더해 2팟으로 쪼개어 더 빠른 클리어 시간을 기록하는 택틱이 나왔는데 고작 수시간 만에 선발대 없이 1팟만으로 4천만 점을 기록하는 택틱이 나왔다. 슌과 수로코로 초반 코스트를 펌핑하고 최대한 버프를 몰아 준 미노리 EX를 빠르게 던져 그로기 게이지를 채운 뒤 퇴각한 후 드히나 파티로 2페이즈의 성자의 속삭임 패턴을 그로기로 캔슬하고 3페이즈 직후에 끝내는 택틱이다. 가장 위협적인 패턴을 캔슬시키기 때문에 수시노까지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고점이 크게 올랐다. 시즌 68 야외 페로로지라에 이어서 사상 2번째로 4000만 점 이상의 기록이 나온 토먼트 총력전이 되었는데, 페로로지라 1위 기록은 40,006,801점이었다. 다만 이때의 페로로지라는 키사키가 없었기에 그레고리오와 1대1 비교는 어렵다.
내로라하는 공략 유튜버들도 공략 동영상을 갱신하는 횟수가 많은 극히 드물 정도의 특이한 총력전이 되었다.[19] 이번 총력전 사이의 기간 동안 속칭 '따개' 요원들은 레이죠 같은 대체 캐릭터가 많이 나온 편이기도 하고, 그 며칠 사이에 택틱이 어느 정도 정립되면서 굳이 수영복 토끼단이나 아이돌 수녀시대를 키울 필요조차 없이 대부분 가지고 있을 인권 캐릭들에 더해 드히나 정도만 풀강하면 토먼트 1팟 클리어 자체는 그렇게 어렵지는 않게 되었다. 레이죠 EX의 오한/중독 강화는 디버프가 아닌 특수 효과이지만, 그레고리오에서는 디버프로 카운팅되기 때문에 디버프 2개짜리 디버퍼로 쓸 수 있다. 오히려 인세인 고점이 더 어려운 편이었다. 다만 그레고리오는 수행 자체가 매우 피곤하므로 가볍게 여기지는 말고 알려진 공략들을 토대로 신중하게 캐릭터를 모아둘 것을 당부한다.
토먼트 클리어는 21,725명에 4천만 점을 넘는 고득점자가 4,300여 명이었다.
- SEASON #77 (25.04.30. ~ 25.05.07.)
루나틱이 추가되었다. 글로벌 서버 시즌 68이 끝나자마자 바톤 터치하듯 이어서 시작되는 시즌이다. 또한 그레고리오의 회피치가 기존 600~800에서 500으로 하향됐다. 토먼트에서 드히나를 쓰는 택틱인 것 자체는 변하지 않았지만 나기사 + 미노리에 아이돌 사쿠라코로도 버프를 주는 식으로도 클리어할 수 있을 정도가 됐다. 단, 토먼트 최고점은 히비키를 채용한 뒤 드히나를 쓰는 2파티 공략이었다. 루나틱 클리어는 849명, 총력전 액티브는 40만을 넘겼다.
6.2. 한국&글로벌 서비스
<rowcolor=white> 시즌 | 지형 | 비고 | 기간 |
SEASON #52 | | 24.01.02. ~ 24.01.09. | |
SEASON #68 | | 25.04.22. ~ 25.04.29. | |
SEASON #74 | | 25.09.30. ~ 25.10.07. |
- SEASON #52
첫 그레고리오전이자, 2024년 첫 총력전이다. 일본 서버에서는 수영복 미야코, 수영복 사키의 픽업이 끝난 직후 개최되었으나, 한국/글로벌 서버에서는 새해 흥신소 픽업 직전 픽업 일정이 조율된 관계로 수야코&수사키 픽업 도중에 진행하게 됐다. 또한 당시 일섭에 있었던 오른쪽 성가대 일부 피해량 미전이 버그, 토키 프리징 버그, 스트라이커 사거리 버그 등이 고쳐져 들어왔으나, 토먼트 1팟클의 관건이었던 그로기 관련 버그는 글섭에도 고쳐지지 않고 그대로 넘어왔다. 그리고 오르간 파이프 기믹과 그레고리오가 엄격한 회개 시전 시 출력되는 오라 이펙트가 보이지 않는 새로운 버그가 생겼으나 해당 버그는 1월 3일 17시에 무중단 패치로 수정되었다.[20]
토먼트 난이도의 경우 일본 서버에서는 역대 최소 클리어 인원이 나왔으나, 이는 미래시가 없는 환경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반면 미래시가 있는 글로벌 서버는 필수 캐릭을 미리 확보할 수 있었던 덕분에 토먼트가 열린 첫 날 한국 서버에서는 600명 가까이, 최종적으로 1,454명이 클리어하였다. 또한 파티 수가 늘어날수록 클리어가 매우 어려워지는 그레고리오 특성상 상당수가 1~2파티 클리어를 하였다. 그로기 버그가 그대로 넘어와 1팟클 역시 가능했으며, 일섭은 토먼트 클리어자 중 10% 정도인 26명만 1팟클을 성공했으나, 한섭은 미래시의 존재와 딜 전이 버그가 고쳐져 1팟클 비율이 크게 늘어났으며 570명이 1팟클에 성공하였다. 한편 1팟클 클리어자 수가 많아 100위권 이내의 경우 초고점 택틱을 써야만 진입이 가능할 정도의 경쟁이 강한 총력전이 되었다.
인세인 난이도의 경우 버그 수정으로 인해 일섭에서는 가능했던 아루팟 코하루 EX 4인 전원회복이 불가능해졌다.[21] 이는 글섭에서 학생들이 서는 위치가 사거리상 맞는 위치이기 때문이다.[22] 그래서 아루 택틱 자체가 불가능해진 것 아니냐는 의견도 나왔으나, 아루팟을 사용할 때 코하루 EX를 더 자주 쓰는 식으로 바꾼 택틱이 개발되었고 이후 요구 스펙이 증가하지만 고점을 뽑을 수 있는 택틱도 개발되어 수토끼팟과의 경합이 가능해졌다. 당시 일본 서버에서는 택틱 최적화와 고점을 타협하면 미네 3성으로도 충분했으나, 글로벌 서버에서는 전용무기 2성 미만으로 고점을 노릴 수 없었다.
한편 아루 대신 아카리를 핵심 딜러로 기용하는 택틱 역시 개발됐는데, 버그 패치 이후 아루의 생존력이 급감소하면서 아예 그레고리오에게 피해를 반감받는 아카리를 쓰기 시작한 것이다. 거기에 단순히 생존 안정성 측면뿐만 아니라 엄청나게 낮은 확률을 뚫고 성공하기만 하면 아루 택틱보다도 고점이 높게 형성된다는 점도 검증됐다. 실제로 인세인 최고점 택틱과 최고점(2758)은 아카리를 채용한 선생이 차지하면서 글로벌 서버의 다크호스로 급부상했다.
플래티넘 점수대별 유저 수 분포를 보면 토먼트 클리어 유저들이 최상위에, 인세인 클리어 유저 중에는 아카리 택틱을 성공한 유저들(2756.9)이 최상위권에, 아루 택틱을 성공한 유저들(2756.5)이 차상위권에 존재하며, 그 밑으로 상당수의 수토끼 택틱 사용 유저들(2754)이, 그 아래로 다양한 택틱의 유저들이 분포했다. 또한 플래티넘 컷인 12000위 근처에 유저들이 밀집되어 있었고, 플래컷은 27,522,303점으로 마무리되었다. 한편 골드 쪽의 경우 익스트림 클리어자 전원이 골드를 보장받고 하드코어까지도 골드가 나왔다.
- SEASON #68
일본 서버의 SEASON #71 총력전에 대응되는 그레고리오 총력전이다. 글로벌에서는 미래시를 통해 드히나 공략이 알려졌기 때문에 토먼트 도전이 가능한 목요일부터 드히나를 활용한 4000만대의 1팟클 클리어 인증이 나오는 등 고점 유저들 사이에서는 첫날부터 과열 기갱 양상을 띠기도 했고, 그 다음으로는 조금 더 간편한 미노리와 나기사 등의 스페셜 딜러를 중심으로 하는 공략들이 사용되고 있었다. 그러다가 수나코 등을 활용해 처음에 그로기 게이지를 쌓아 놓은 뒤 빠르게 퇴각한 이후 드히나 팟을 운용하는, 이른바 '선 설거지 공략'으로 최대 3990만대 중반을 기록하는 택틱이 퍼지면서 토먼트 클리어 유저가 느는 속도가 조금씩 더 빨라졌다.
6일차인 4월 28일 01:00 기준 토먼트 클리어 인원이 10,000명을 돌파한 것으로 확인되어 마지막 날에 토먼트가 침수되느냐 아니냐를 두고 관심이 많았는데, SEASON #71에서 인세인이 침수된 일본과 달리 한섭의 경우에는 인세인 고점대 인원이 12,000등 안에 포함되면서 토먼트가 끝내 침수되지 않았고 그 대신 4006만 점이 고점이었던 일본과 달리 한섭 1등은 4007만 점을 달성했다.
최종적으로 11,860명이 토먼트를 클리어하며 인세인 고점 인원 140명이 플래티넘을 유지했다. 플래티넘 컷 점수는 27,762,240점이었는데 동점자 13명 중에서 선착순으로 랭킹이 가장 높았던 한 명만 플래티넘을 달성했고, 나머지 12명은 골드로 침수되었다. - SEASON #74
일본 서버의 SEASON #77 총력전에 대응되는 그레고리오 총력전이다. 글로벌 서버는 시즌 74부터 전용 무기 4성이 도입되는데, 미노리와 나기사, 히비키 등의 스페셜 딜러를 사용하는 루나틱에서는 택틱 변동이 거의 없지만 드히나 조합을 사용하는 토먼트에서는 택틱에 다소 격변이 있을 것이며, 또한 한국 서버 기준으로는 총력전 기간이 추석연휴와 겹치는 만큼 치열한 경쟁이 예측된다. 스펙이 높은 일부 유저들은 아예 루나틱으로 도망가겠다는 말까지 나왔다. 스펙 고점이 더 높아진 만큼 확실히 루나틱 클리어 유저 수는 일본 서버를 비율적으로도 뛰어넘을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글로벌 서버 기준 이전 SEASON #19 그레고리오 대결전과 마찬가지로 버그 수정으로 인해 학생들의 위치가 달라지면서 일본 서버 버전에서 사용된 택틱의 성립이 불가능해지는 이변이 생겼다. 대표적인 예시로 임시노를 그대로 두면 그레고리오 본체가 아닌 성가대를 공격해서 그레고리오에 방어력 감소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시작하자마자 EX 스킬로 위치를 오르간 앞 공간에 적절히 배치해서 본체를 공격하게 만들어야 한다.
유저들이 생각했던 것 이상으로 루나틱 클리어 인원 수 및 플래티넘 컷이 낮다. 루나틱 호드가 나오기 전까지 루나틱 최약체 보스로 꼽혔던 보스임에도 불구하고 겨우 1,095명만 루나틱을 클리어하였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높은 1차 게부라 한국 서버 클리어 인원 수 대비 겨우 46명 많은 수준이다. 일섭 기준 1차 게부라 루나틱 클리어 인원 수는 640명, 그레고리오 루나틱 클리어 인원 수는 849명이다. 거기다가 일본 서버에서는 4001.3만점이 플래티넘 컷으로 잡힌 것에 비해, 한국 서버 플래티넘 컷은 겨우 3998.6만점이다. 버그 수정을 감안하더라도 이전 그레고리오 총력전/대결전 결과를 보아 한국 서버가 그레고리오에 상당한 약세를 보이고 있다.
7. 역대 대결전 시즌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결전|대결전]]}}}{{{#!if external != "o"
[[대결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결전?uuid=7d8931a3-38fd-47b5-b2a5-be12dbd01674|r29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결전?uuid=7d8931a3-38fd-47b5-b2a5-be12dbd01674#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대결전?from=297|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대결전|대결전]]}}}{{{#!if external != "o"
[[대결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대결전?uuid=7d8931a3-38fd-47b5-b2a5-be12dbd01674|r297]]}}}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대결전?uuid=7d8931a3-38fd-47b5-b2a5-be12dbd01674#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대결전?from=297|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
7.1. 일본 서비스
<rowcolor=white> 시즌 | 지형 | 토먼트 방어타입 | 비고 | 기간 |
SEASON #9 | | 중장갑 | [폭관신] | 24.04.17. ~ 24.04.24. |
SEASON #19 | | 특수장갑 | [폭관신] | 25.02.12. ~ 25.02.19. |
- SEASON #9: 실내 그레고리오 (Torment 방어타입: 중장갑)
비나에게 밀려 언팩 당시의 일정에서 한 차례 연기되었으며 능력해방이 적용된 첫 대결전이다. 4월 11일부로 샬레 총결산의 2주 진행이 확정되어 해당 기간동안은 신규 내지 기존 메인 이벤트의 복각이 이루어지지 않기에 이 이후로의 추가적인 그레고리오 특화 학생은 출시되지 않는 것이 거의 확실시됐다.
경장갑 인세인은 폭발 속성 페스 캐릭터 드히나가 압도적인 성능으로 인세인을 클리어해 냈다. 상세는 기존 총력전과 같다.
중장갑의 경우 이전의 실내 헤세드에서 효용성이 증명된 마코토나 오랜 지속시간의 장판 EX를 완전히 활용할 수 있게 된 사사야 등이 스페셜 딜러에서의 채용 후보로 예상되었으나 실내 SS에 중장갑인 시로미 이오리가 아코와 히마리를 받고 1파티 클리어를 해냈다.
특수장갑 인세인은 모든 대상을 타격 가능한 뉴츠키가 최고 티어 딜러로 활약했다. 수하루는 명중률이 높아 더 안정적이지만 고점에서는 상당히 밀린다. 뉴요코는 특수장갑이지만 상대적으로 안전한 위치에 자리잡아서 살릴 수 있다. 바카린은 맥댐 제한에 걸려서 코스트당 딜링 효율이 수하루에 밀리기 때문에 쓰이지 않으며, 이로하는 낮은 명중률 때문에 마찬가지로 기용할 수 없다.
그 외에 특기할 만한 점으로는 시작 참여 인구수가 역대 최저를 찍었다. 그레고리오 특성상 여러 디버프 요원이 필요한 데에 반해 필요한 디버프 요원들이 오래된 시점에서 개최되어 저스펙 유저들의 참여가 어려운 것이 원인으로 보인다.
- SEASON #19: 실내 그레고리오 (Torment 방어타입: 특수장갑)
특수장갑 토먼트는 키사키+리오로 시즌 9보다 더 빠르게 새해 무츠키 EX를 난사하여 클리어가 가능하였다. 단, 최고점은 수영복 코하루가 가져갔다. 경장갑은 기존처럼 드히나로 클리어가 가능하였고, 중장갑은 불사가 켜지면 EX를 1코로 최대 두 번까지 쓸 수 있는 준코가 세이아와 함께 최고점 픽으로 기용되었다.
7.2. 한국&글로벌 서비스
<rowcolor=white> 시즌 | 지형 | 토먼트 방어타입 | 비고 | 기간 |
SEASON #9 | | 중장갑 | [폭관신] | 24.10.15. ~ 24.10.22. |
SEASON #19 | | 특수장갑 | [폭관신] | 25.07.29. ~ 25.08.05. |
- SEASON #9: 실내 그레고리오 (Torment 방어타입: 중장갑)
일본 서버와 똑같이 그레고리오의 기믹을 파훼할 특화 학생은 지난 주에 픽업을 진행했던 레이사를 제외하고 복각하지 않는 게 확실시되었으며, 이에 따라 이번 대결전은 그레고리오의 디버프 기믹을 파훼할 미네와 레이사가 모든 속성에서 입장권 수준의 픽을 보였다. 토먼트 난이도로 넘어가면 그레고리오의 피해량이 매우 높아져서 미네와 레이사의 생존이 더 어려워지고 코하루와 아코의 1스킬이 다른 대상으로 튀는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이 둘을 최소 고유무기 2성 이상으로 육성하고 투입해야 하므로 둘 중 하나라도 없거나 있어도 육성 상태가 모자라면 빌려서 투입하는 것이 권장된다.
중장갑 토먼트는 예상했던 대로 파티 구성부터 택틱 수행까지 매우 높은 난이도를 보였다. 일섭과 마찬가지로 미네와 레이사 조합에 아코와 히마리를 받은 이오리를 사용한 1파티 클리어가 메인으로 자리잡았는데, 해당 택틱은 이오리가 피날레 직전 3페이즈까지 딜을 누적시키고 그로기를 터뜨려 세 번째 성자의 속삭임을 끊는 게 핵심이기 때문에 파티 특성상 크리리트에 운이 많이 따라줘야 한다. 또한 미네와 레이사의 EX 스킬 타이밍과 위치도 그레고리오의 엄격한 회개 타이밍과 코하루의 EX 스킬 범위를 의식하면서 터뜨려야 하며, 아코와 코하루의 1스킬이 엉뚱한 대상으로 튀어도 이 또한 리트 요소가 된다. 이오리 1파티 클리어를 실패했을 경우 설거지 파티로는 이전 그레고리오 토먼트에서 사용했었던 수야코, 수사키, 미나, 루미에 관통 나기사 취급을 받는 마코토나 사사야가 들어가게 되는데, 이 중 하나라도 없다면 설거지 파티를 짜는 것부터 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때문에 해당 학생들을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저들은 이오리 조합으로 1파티 클리어를 하는 게 반 강제되어 티켓이 찢기는 사례도 심심찮게 나왔다.
특수장갑 인세인은 이전 신비 총력전과 마찬가지로 뉴요코가 필수로 들어가며, 일본 서버와 다르게 수하루가 밀려나고, 모든 대상을 타격 가능한 뉴츠키가 단순 클리어 이외에도 고점 공략에도 활약했다. 다만 인세인 클리어만을 목적으로 둔다면 수나코를 편성해서 1팟클을 낼 수도 있었다. 경장갑 인세인은 일섭과 마찬가지로 폭발 속성 페스 캐릭터 드히나가 압도적인 성능으로 그레고리오를 격파해 냈다. 뉴츠키와 드히나 모두 크리 리트만 신경쓴다면 피날레 이전에 끝낼 수 있을 정도로 압도적인 딜을 뿜어냈다.
그레고리오 특성상 기믹 숙지와 이해, 택틱 수행이 철저하게 이루어져야 하는데 그 어렵고 번거로운 것을 세 번씩이나 쳐야 한다는 압박과 그에 걸맞은 준비물들 때문에 대결전임을 감안해도 액티브가 낮게 잡혔다. 또한 지난 대결전이었던 비나(토먼트: 특수장갑)의 인세인 이상 클리어자 수가 5만 명에 육박했던 반면 그레고리오는 2만 명 정도에 불과했으며 속성별로 모두 익스만 쳐도 소위 '꿀통'이라 불리는 노란색 메달을 안전하게 지킬 수 있었다.
- SEASON #19: 실내 그레고리오 (Torment 방어타입: 특수장갑)
일본 서버 개최와 달리 진입 시 학생들이 잠시 동안 굳어있는 버그가 수정된 채로 들어오는 이변이 생겼다.[27] 본래 이 버그는 그레고리오 루나틱 난이도가 추가된 총력전 SEASON #77 때 수정되었지만 글로벌 서버에는 한 발짝 먼저 들어온 것이다. 이로 인해 일본 서버 버전에서 사용된 택틱의 성립이 불가능해지면서 글로벌 유저들 사이에 혼란이 일었다. 버그 수정을 당겨오는 것 정도는 늘 있는 일이지만, 기믹 파훼와 타임라인의 확립이 중요한 기믹 보스인 그레고리오에서 기존 공략법이 뒤틀리는 이변이 벌어진 탓에 일부러 이러냐는 원성이 나왔다. 또한 글로벌 서버 미래시 단축의 영향으로 그레고리오 대결전이 끝나는 8월 5일에 묘귀 쿠로카게 총력전이 곧바로 이어서 진행되는 변수가 생겼다.
8. 추천 학생
8.1. 스트라이커
8.1.1. 딜러
(실내: S~SS / 장갑: 탄력장갑) 스트라이커 딜러이다. 타 폭발 딜러들과는 비교를 불허하는 압도적인 딜 기대치와 최상의 지형적성으로 분명 스페셜 우대 보스였던 그레고리오를 평정한 사기 캐릭터이다. 기본적으로 명중률이 매우 낮은 MG 딜러이나, 전투 시작 시 발동하는 기본 스킬의 추가 명중률이 이를 커버한다. 신비 속성에 1배율로 대미지를 받는 탄력장갑이지만 배지를 장착하여 나름 잘 버텨준다. 4~5인 정도만 들어가는 범위와 여러 명을 맞출수록 데미지가 급감하는 불리한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압도적인 깡딜로 별다른 크리리트 없이 마지막 페이즈 전환 이전에 인세인 1팟클을 달성했고, 이후 2번째로 개최된 총력전에서는 최대 체력을 유지시켜 생존시키는 택틱을 사용하거나 1인 힐에 넘친 힐량은 임시 체력으로 만들어 주는 아이돌 마리의 출시로 생존에 문제가 없어졌고, 키사키의 강력한 최종 대미지 버프까지 받아 토먼트 1팟클까지 달성하였다.[28] 게다가 루나틱에서도 생존성만 갖춘다면 여전히 피날레 페이즈를 스킵해서 체력을 최대 3억 언저리까지 제거할 수 있는 서브 파티 딜러로 운영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면서 한 파티정도는 드히나를 쓰는 파티를 편성할 수 있다. | |
히나(드레스) | |
(실내: D / 장갑: 중장갑) 루나틱 설거지 파티 요원 중 하나이다. 1스 광역 방깎으로 디버프 스택을 쌓는 EX 스킬로 오르간 돌리는 역할을 맡는다. 신비나 진동이 아니며 지형 적성도 최악임에도 불구하고 체급이 상당히 높은 캐릭터이다 보니 메인 딜러는 아니지만 어느 정도 유의미한 딜을 넣어주는 편이다. | |
하나코(수영복) | |
(실내: D / 장갑: 경장갑) 스트라이커 딜러이다. 최악의 지형상성과 보스의 광역기에 한 대 맞으면 빈사인 매우 불리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EX와 1스킬이 전부 광역기라서 아코와 히마리의 보조를 받으면 딜량이 폭주하며 SR 딜러+애용품의 명중 보정으로 명중률이 매우 높아 EX 스킬이 빗나가는 일이 없기에 주력으로 기용된다. 다만 경장갑 딜러라 원래도 딜러 특성상 고육성이 중요하지만 제대로 육성하지 못했다면 인세인에서도 돌연사하는 상황이 생길 수 있으며 고점용 택틱에서도 꾸준한 케어가 필요하다. 토먼트에서는 애초에 수시노와 같이 써야 성능이 나오는 픽인데다 한 방에 죽어서 봉인된다. 그리고 아루 자체가 크리티컬로 성능이 나오는 딜러인 데다 EX 범위도 세밀한 조정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성가대 7인을 맞출 수준이고, 단타형 공격이라 고점을 노리려면 크리리트 필요도가 높다. 대결전 시즌 9에서 페이즈 전환 이전 클리어를 뚫었지만[29], 그 이상의 성능을 발휘하는 드히나에게 자리를 내줬다. 서로 상성이 비슷해지는 야전 내지 정반대가 되는 시가전 그레고리오가 나온다고 가정하면 서로 경합할 수 있게 된다. 다만 조합에 따라 최대 3억까지 체력을 제거하는 드히나나 얼마 남자 않은 체력의 마지막 한 방을 꽂을 수 있는 아카리와는 달리 루나틱에서는 사용 자체가 불가능하다. | |
아루 | |
(실내: B / 장갑: 중장갑) 스트라이커 딜러이자 글로벌 서버 시즌 52의 다크호스이다. 아루, 드히나와는 달리 2성이라 모집에서도 제법 잘 나오고 엘레프 파밍처가 4군데나 있는지라 육성 난이도가 비교적 쉬우며, 중장갑이라 아루와 드히나 대비 생존력이 가장 좋다는 점 덕에 토먼트에서 아예 즉사하는 아루나 까딱하면 죽을 위험이 있는 드히나와 달리 아카리는 토먼트에서 그레고리오의 공격을 가장 잘 버틸 수 있다. 700에 약간 못 미치는 기본 명중률은 미네의 회피 디버프로 커버가 가능하다. 아루의 포텐셜을 따라잡으려면 각각 10% 확률의 2중 공벞에 다른 딜러와 별반 다를 게 없는 수준의 치명 수치로 크리까지 떠야 하나 극악의 확률을 뚫고 이를 해낸다면 마지막 페이즈 전환 이전에 클리어가 가능하며 아루와 수토끼 파티조차 뛰어넘는 최고점을 노릴 수 있다.[30] 덕분에 글로벌 서버에서는 버그 수정으로 택틱이 어려워진 아루 택틱을 대신해 아카리를 메인 딜러로 하는 고점 택틱도 등장하게 되었다. 루나틱에서는 일부 인원이 공깎 70%를 1스와 3스로 덮어서 딜을 넣는 방식으로 사용되었다. 정석 조합 자리까지는 가지 못하지만 설거지에서 체력이 얼마 남지 않았는데 마땅한 스페셜 딜러가 없다면 한 번 시도해 볼 수 있다. | |
아카리 |
8.1.2. 디버퍼
(실내: D / 장갑: 경장갑) 페로로지라의 나츠, 고즈의 운유카에 준하는 기믹 파훼 요원이다. 회피 수치와 방어력 감소 두 종류의 디버프를 EX 스킬과 일반 스킬로 각각 두 개씩 걸어 유일하게 혼자서 4종류의 디버프를 걸 수 있는 탱커로서 가장 중요하고 많은 디버프를 걸 수 있다. 다만 방어 타입이 경장갑이라 다른 중장갑 탱커에 비해서 생존이 더 어려우므로 힐러의 집중 케어나 탱커의 추가 채용이 필요하다. 특히 EX 스킬을 사용할 때 위치를 잘못 잡을 경우 성가대 어그로를 모두 받아서 곧바로 헬기를 타거나 역으로 다른 아군이 헬기를 탈 수 있기 때문에 스킬 사용에 신중함이 크게 요구된다. 이전에는 인세인에서부터 전2 이상의 육성을 요구받았지만, 드히나라는 사기 캐릭터의 등장과 아이돌 마리를 통한 체력 관리가 쉬워지면서 3성으로도 운영이 가능해졌다. 루나틱 난이도에서는 못해도 고유무기 1성 이상은 권장되는 편이다. | |
미네 | |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스페셜 딜러 파티의 접대 캐릭터이다. 혼자서 방깎, 공깎, 치명 저항 감소 세 가지의 디버프를 쌓을 수 있으며, 스페셜이 딜링 비중의 대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에 3스킬로 스페셜의 공격력을 30%나 올려주는 만큼, 스페셜이 메인 딜링을 하는 파티에서 반드시 갖춰야 될 스트라이커로 평가받으며 파티를 완벽하게 갖췄다는 가정 하에서는 토먼트에서도 1파티 클리어를 노릴 정도로 그레고리오 전의 난이도를 급격하게 낮춰준다. 다만 완벽한 파티를 위해서는 요구되는 파츠가 많고(수야코+미노리+나기사) 스트라이커 딜러 파티로 갈 경우 비중이 줄어든다. 다만 고유무기 2성 옵션에 붙는 디버프 효과 지속 시간 증가 효과의 유무에 따라 택틱이 달라질 수 있다. | |
사키(수영복) | |
파일:미나프로필.png |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수영복 사키와 마찬가지로 공깎, 명중 감소, 회피 감소 세 종류의 디버프를 걸 수 있으며 이 중 공깎을 제외한 다른 디버프는 수사키와 겹치지 않는다. 특히 회피 감소 디버프는 회피율이 높은 그레고리오에게 최적의 디버프이다. 토먼트 1파티 클리어에서 요구되는 파츠 중 하나이다. 하지만 수사키와는 달리 EX 스킬 레벨을 5까지 올려야 세 종류의 디버프를 걸 수 있고 EX 말고는 아군의 딜을 높혀줄 다른 요소가 없으며 인세인 기준으로는 EX를 5레벨까지 올리면 오히려 수야코+수사키+미나를 같이 썼을 때 안전치를 초과하기에 인세인에서는 보통 회피 감소를 보고 명중률이 낮은 딜러들을 쓰는 2파티 이후에 채용하게 된다. |
미나 | |
(실내: B / 장갑: 중장갑) 레이죠의 오한/중독 강화 효과는 디버프로 간주되어 혼자서 두 종류의 디버프를 걸 수 있다. 토먼트 선 설거지 파티에서 미나가 없을 경우 대체 가능한 픽이며 루나틱에서도 디버퍼 요원으로 기용되었다. | |
레이죠 |
8.1.3. 서포터
(실내: D / 장갑: 특수장갑) 신비 속성 공격 + 확정 치명 + 스트라이커 공격력 감소인 '성자의 속삭임'으로 대놓고 수시노를 저격했지만 그럼에도 엄청난 서포팅 능력은 여전해서 스트라이커 딜러 팟에 기용되는 사기 캐릭터이다. 접대 파티였던 수토끼단이 초기 그레고리오의 높은 딜량을 상쇄하기 위해 안정성에 중점을 맞추어 설계되었기 때문에, 출시 초기부터 인세인 파티를 안정성의 스페셜 Vs 고점의 스트라이커로 양분하게 만들었으며, 전반적인 스펙 상승이 일어난 2번째 총력전에서는 심지어 토먼트에서도 성가대 공격이 아플 뿐 디버프 4개 이상에서는 처음 발동하는 성자의 속삭임에 즉사하지 않기 때문에 미네, 무시노와 같이 투입하여 4000만 점을 돌파하는 등 최상위권 서포터의 면모를 여실히 보여주었다.[31] | |
호시노(수영복) | |
(실내: B / 장갑: 중장갑) 스페셜에 적용되는 아코이다. 스페셜 딜러 파티에서 미노리가 맥댐을 아득하게 뛰어넘게 할 정도로 압도적인 스페셜 딜 증가 능력을 보여준다. 맥댐 제한이 완화된 이후 더욱 뛰어난 성능을 보여주고 있다. 빌려서 두 번 쓰는 조합이 루나틱 최고점을 달성하였다. | |
사쿠라코(아이돌) | |
(실내: D / 장갑: 중장갑) 스페셜에 적용되는 히마리이다. 돌쿠라코와 마찬가지로 토먼트 이하의 난이도에서는 스트라이커들에 밀려 자리가 없지만 루나틱 난이도에서는 스페셜 딜러가 다시 강세로 돌아왔고 2파티 이상이 필요하기 때문에 보유하고 있다면 무조건적으로 기용된다. 수사키와 서브 스킬이 겹치기 때문에 서로 다른 파티에 기용해야 한다. | |
아스나(교복) | |
(실내: B / 장갑: 경장갑) 스트라이커계의 히마리이다. 그레고리오에서 히마리 대신 투입될 다른 학생으로는 수로코, 뉴루카 등이 있다. 다만 경장갑이라 인세인에서 즉사까지는 아니어도 체력이 잘 녹게 된다. | |
하레(캠핑) | |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스트라이커계의 아코이다. 그레고리오에서 아코 대신 투입될 다른 학생으로는 나기사, 마코토 등이 있다. 우이 수준으로 빈약한 내구를 지녔지만 중장갑이라 생존도 문제없다. | |
아루(드레스) |
8.1.4. 탱커 및 힐러
(실내: D / 장갑: 중장갑) 페스 캐릭터답게 자체적인 체급부터 상당해서 내구성이 좋으며, EX를 써서 오르간과 본체가 일직선이 되는 위치에 두면 그레고리오 본체를 바로 타격할 수 있기 때문에 서브 스킬을 통해 코스트 없이 상시로 방깎 디버프 1개를 누적시킬 수 있다. 특히 중간중간 발동하는 엄격한 회개로 인해 디버프 수치가 하나 깎이는 것을 바로 복구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미네와 쌍으로 탱킹을 수행해 힐러 없이도 토먼트 1팟클을 성공하게 만들었고, 해당 택틱이 최고점부터 고점까지 달성했다. | |
호시노(무장) | |
(실내: B / 장갑: 중장갑) 새로 등장한 최강 단일 힐러이다. 압도적이고 효율적인 힐링 능력으로 토먼트에서까지 스트라이커 파티를 사용할 수 있게 만든 한 축이다. 코스트 감소와 자동 힐까지 겸비하여 토먼트에서 미네 솔탱이 가능할 정도로 파티의 안정성을 폭증시켰다. 물론 스페셜 파티에서도 압도적인 효용을 보여준다. 다만 루나틱 난이도에서는 코하루와 달리 아이돌 마리의 경우 생존이 위태로운 경우가 많아 전무 2성 이상에 스킬 퍼펙트는 기본에 체력 해방까지 하는 것이 좋다. | |
마리(아이돌) | |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단 2코스트에 치명 피해 저항 감소를 걸어주는 탱커이다. 특히 수영복 사키와 지속시간이 맞아 떨어지기 때문에 수영복 사키와 함께라면 거의 상시 4디버프를 유지할 수 있다. 적의 수가 많아서 미야코의 서브 스킬을 통한 코스트 회복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도 강점이다. 대결전 관통 토먼트에서는 미네와 함께 최고점을 달성하였다. | |
미야코(수영복) | |
(실내: B / 장갑: 중장갑) 안정성을 높여주는 광역 힐러이다. 입장 직후부터 70초마다 발동하는 광역기가 확정 치명 공격인 관계로 상당히 아프기 때문에 인세인 이상 난이도부터는 어느 조합이든 주요 힐러로 사용된다. 고유무기 2성 이상이 권장된다. 중장갑이라 생존력이 높으며 기본 스킬의 오토힐로 EX를 써줄 수 없더라도 세이브를 할 수 있고 EX가 딜링도 겸해서 오르간을 공격하면 한 번에 방향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은 아이돌 마리로도 대체할 수 없는 코하루만의 장점이다. 상급 총력전 코인으로 키우기 편한 것도 이점이다. | |
코하루 | |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EX 발동 시의 서브 스킬로 방어력 감소 디버프를 걸 수 있는 탱커이다. 자힐도 가능하고 중장갑이라 꽤 튼튼한 편이지만 수야코에 비해 유지시간이 절반이라 기믹 공략은 다소 어렵다. 초회 토먼트에서는 스페셜 딜러 파티에서 미나가 없을 때 오르간 디버프가 걸린 타이밍에 EX를 써서 안정 상태로 만드는 방법으로 대체재로 사용되는 정도였으나, 대결전 관통 토먼트에서 오르간 관리, 디버프, 탱킹이 모두 되는 만능 학생으로써 수야코의 대체제로 쓰였다. | |
레이사 | |
(실내: B / 장갑: 중장갑) 경장갑인 그레고리오와 성가대에게 방어력 46.7% 감소 디버프를 걸어 주는 중장갑 탱커로, 회복 효과를 받을 때마다 방어력이 증가하는 서브 스킬 때문에 지속 회복 부여가 가능한 사세나와 함께 루나틱에서 기용된다. | |
유우카(파자마) | |
(실내: D / 장갑: 중장갑) 광역 지속 회복 부여 힐러이다. 안정적인 생존 및 힐링 효과를 제대로 보려면 고유무기 2성 이상의 고육성이 요구되는 점이 단점이나 투입할 경우 파티의 안정성이 크게 증가한다. 루나틱 최고점에서는 밀려났지만 루나틱 클리어 849명 중에서는 52.06%라는 낮지 않은 기용률을 보였다. | |
세나(사복) |
8.2. 스페셜
8.2.1. 딜러
(실내: S~SS / 장갑: 특수장갑) 그레고리오의 첫 참전부터 토먼트 1팟클을 가능하게 만든 접대 캐릭터이다. 첫 시즌 토먼트에서는 수시노가 한 방에 터져서 스트라이커 딜러 효율이 급락하는 와중에 온갖 광역딜 스킬과 높은 명중률, 스페셜 중 유일한 특효 버프로 최강의 스페셜 딜러가 되었다. 강화 스킬이 7레벨 이상일 경우 반드시 명중한다. 아이돌 사쿠라코 출시 이후 맥뎀 제한으로 최고 포텐셜의 55%밖에 발휘하지 못함에도 키사키 버프를 받은 드히나와 비슷한 수준의 클리어 속도를 보인다. 다만 키사키까지는 어떻게 해도 수시노까지 쓰이게 되자 도저히 스트라이커 파티의 딜량을 따라갈 수 없게 되었으나 상위 난이도인 루나틱이 나오면서 드히나를 제쳤다. 다만 이후 수영복 미사키가 그레고리오 한정으로 미노리의 상위 호환으로 나왔기에 추후에는 1순위 스페셜 딜러에서 밀릴 예정이다. | |
미노리 | |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최강의 범용성을 가진 한정 폭발 스페셜이다. 명중률이 상대적으로 낮으나 토먼트에서 미나의 디버프를 적용하면 반드시 적중하며 파티의 안정성을 크게 높여주는 오토힐과 많은 타수를 통한 안정적 딜량, 방어력 감소와 폭발 치댐증을 지녀 미노리와 같이 최우선으로 쓰이는 스페셜 딜러이다. 미노리와 조합할 경우 인세인은 물론 토먼트마저도 1파티만으로 클리어 할 수 있을 정도로 난이도가 낮아진다. | |
나기사 | |
(실내: B / 장갑: 중장갑) 넓은 범위와 간단한 육성 난이도를 갖춘 스페셜이다. 실전성을 위해서는 명중을 올려주는 애용품 2레벨이 필수적이며, 2레벨에서 체력이 낮을수록 높은 피해를 입히는 일반 스킬 덕에 설거지 파티에서 더 효율이 오르게 된다. 단점으로는 EX스킬의 착탄이 상당히 느려서 공격 시점이 다른 스페셜과 판이하게 다른 점, 일반 스킬의 대상이 체력이 낮은 대상이라 좌우 성가대 공격이 아니면 딜을 보장할 수 없는 데다 그 안에서 대상이 랜덤으로 지정되어서 딜을 뽑는데 운이 많이 요구된다. | |
히비키 | |
(실내: A / 장갑: 탄력장갑) 배포 캐릭터라 획득 난이도도 낮고 안 그래도 명중률이 높은 캐릭터인데 장갑으로 버프를 받아 무조건 명중한다. 도넛 모양의 범위는 미약하지만 대미지 중첩도 가능하다. 다만 딜량이 특출나게 높거나 공증 서브 스킬 이외에는 별도의 유용한 부가 효과가 있는 건 아니라서 위의 셋보다는 우선 순위가 낮다. | |
유즈(메이드) | |
(실내: A / 장갑: 경장갑) 메이드 유즈보다 배율은 낮지만 확정 치명타인 광역기를 날리는 스페셜이다. 범위가 옆으로 넓기 때문에 측면에 나오는 성가대를 공략할 때 중앙 쪽 성가대 일부까지 공격할 정도로 넓은 범위를 보여준다. 서브 스킬의 치명 대미지 증가는 나기사와 겹치므로 둘은 같이 쓰이지 않는다. 명중이 500대라 루나틱 난이도 추가 전까지는 화력을 완전히 살리지 못했다. 피날레 전까지 확정 치명은 큰 이점이나, 루나틱에서는 피날레 때 스페셜의 모든 공격에 확정 치명을 부여하므로 비교적 이점이 적어지는 편이다. | |
미유(수영복) | |
(실내: S~SS / 장갑: 경장갑) EX 스킬과 기본 스킬로 중독 디버프 부여 겸 장판딜이 가능한 스페셜이다. 전술 대회 코인으로 성작이 가능해 육성 부담이 적고 20초마다 중독 지속 대미지를 부여하는 기본 스킬에 치명 감소까지 걸어 주지만 명중이 300대로 낮은 편이라 뛰어난 딜링을 기대하기는 어렵다. | |
사야 | |
(실내: B / 장갑: 경장갑) 디버프가 없어도 공격력부터 사야와는 차원이 다른 수준이며 장갑 없이도 기본 명중률이 수영복 미유/사야보다 높아 미스가 날 확률도 낮고 전용무기 2성을 찍으면 폭발 특효까지 추가된다. 문제는 지형적성이 맞지 않는 것도 있지만 추가 이래 처음으로 개최된 그레고리오 대결전의 경장갑 버전이 인세인까지만 열린 데다 이전에도 스페셜 딜러들보다 고점을 내던 아루, 아카리 이상으로 드히나가 고점을 기록했다는 것이다. 실내 지형 토먼트 또한 이미 미노리, 나기사가 1군으로 자리매김했기에 현재는 언젠가 나올 것이라고 추정되는 야전 총력전 접대용으로 예상되고 있다. | |
히나타(수영복) |
8.2.2. 서포터
(실내: S~SS / 장갑: 탄력장갑) 스트라이커 딜러 파티의 새로운 핵심 버퍼이다. 자체 댐증 성능부터가 드히나 기준 히마리보다 약 1.1배 강력한 데다 기본 스킬의 보호막은 생존에 상당히 도움이 된다. 수시노 없이도 드히나를 강화해 토먼트 1팟클에 성공했다. | |
키사키 | |
(실내: S~SS / 장갑: 특수장갑) 코감+치댐증 스페셜이다. 메인 스트라이커 딜러 드히나의 부스터로서 키사키와 함께 토먼트 1팟클을 성공시켰다. | |
후우카(새해) | |
(실내: C / 장갑: 경장갑) 코스트 회복력 증가 겸 디버퍼 요원이다. EX 스킬로 치명 저항력과 치명 대미지 저항률 감소 디버프, 기본 스킬로도 치명 대미지 저항률 감소 디버프롤 걸어 혼자서 세 종류의 디버프를 걸 수 있다. 루나틱 난이도에서 채용률이 폭등했다. | |
하루카(새해) | |
(실내: D / 장갑: 경장갑) 스트라이커 딜러 파티의 버퍼이다. 코스트 회복력 증가와 EX 공뻥의 사기적인 성능 외에도 기본 스킬이 30초마다 발동되며 회피 수치가 높은 그레고리오에게 적격인 회피율 디버프기인데, 쿨타임이 똑같은 아즈사와 다르게 스페셜이라 타이밍을 인위적으로 조정하지 않는 이상 본체에 박을 일이 없다. 만약 본체에 제대로 적중이 가능했다는 가정 하에도 인세인 기준 여전히 디버프 3종류와 탱커 하나가 필요한데 이를 혼자서 충족하는 학생이 미네뿐인 데다 기본 스킬의 회피율 감소가 똑같이 겹치기 때문에 지금과 조합도 택틱도 크게 다를 점이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토먼트에서는 키사키에 밀렸지만, 오르간에 맞아도 공격력 감소 디버프가 사라지지 않고 EX 스킬의 화력이 올라가는 루나틱에서는 키사키 대신 드히나를 강화해 스트라이커 파티 구성에 일조한다. | |
히마리 | |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스트라이커 딜러 파티의 버퍼이다. 버프 성능이 매우 뛰어난 EX와 서브 스킬 외에도 기본 스킬의 힐은 생존이 매우 불안정한 수시노나 아루의 케어에 도움이 된다. | |
아코 | |
(실내: D / 장갑: 경장갑) EX 방깎과 전투 시작 1회 한정 모든 학생의 코감, 서브 스킬의 코스트 회복력을 갖췄다. 이외의 눈여겨볼 만한 점으로는 EX의 단발 대미지로 역상성인 중장갑 상대로까지 오르간을 문제없이 돌릴 수 있다는 점이다. | |
시로코(수영복) |
8.3. 대결전(관통)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원조 버그 캐릭터이다. 2000% 계수에 육박하는 범위공격이 고작 3코인 데다가 고유무기로 명중을 받아서 그레고리오의 높은 회피를 무시한다. 대상을 지정하는 범위기라 위치에 구애받지 않으며, EX로 지정한 적이 죽으면 다른 대상으로 전환된다는 특성으로 EX로 오르간을 돌려도 딜 로스가 덜 발생한다. 방어상성이 우위인 중장갑인 것도 이점으로 작용해 파밍 가능한 초기캐이면서도 토먼트를 단일딜로 1팟클을 해냈다. | |
이오리 | |
(실내: B~A / 장갑: 경장갑) 애용품을 받은 준코는 체력이 20% 이하일 때 불사와 동시에 EX 스킬 코스트가 4 감소하여 1코에 1417% 배율의 EX를 난사할 수 있다. 이러한 점 덕분에 대결전 시즌 19에서 중장갑 인세인 최고점을 달성하였다. | |
준코 | |
(실내: S~SS / 장갑: 탄력장갑) 대결전 시즌 19에서 이오리 파티에서는 미네와 이오리, 준코 파티에서는 준코의 코감을 담당하는 서포터이다. 기본 스킬로 자신을 제외한 아군에게 관통 특효를 부여해 준다는 점도 장점이다. | |
세이아 | |
(실내: S~SS / 장갑: 특수장갑) 강력한 EX, 방깎 기본 스킬, 관통 특효로 그레고리오에 필요한 모든 것을 갖춘 스페셜 딜러이다. 빗나갈 확률이 존재한다는 점은 유의해야 한다. 범위가 500으로 눈에 띄게 넓기에 첫 1분을 제외하면 최대 계수의 10명 조건을 상시로 충족 가능하며 특히 피날레에서는 반대쪽 성가대 몇 명까지도 공격이 가능한 광활한 범위를 지녔다. 주로 이오리로 마무리하지 못했을 경우 설거지 용도로 기용된다. | |
마코토 | |
(실내: S~SS / 장갑: 경장갑) 딜량이나 범위 면에서 마코토에게 밀리지만 마코토가 없거나 설거지팟, 또는 딜러진이 더 필요할 경우 쓸 수 있다. 다만 인세인 이상에서 단독으로는 웬만큼 육성하지 않으면 성가대를 잡기 어려우므로 전투가 늘어지며, 아군 체력 관리를 잘 해 줘야 한다. 참고로 EX에 붙는 화상 지속 대미지는 디버프 판정이므로 디버프 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 |
모에 |
8.4. 대결전(신비)
(실내: B / 장갑: 중장갑) 장갑을 끼고 미네의 디버프를 적용해도 태생이 기관총 타입이라 명중률이 원체 낮아서 빗나가는 경우가 제법 있기 때문에 이래저래 안정성이 낮아 메인 딜러로 쓰는 난이도가 높지만 신비 학생들 중에서 이만한 광역딜 학생을 찾기 어려운 데다 성가대 전체를 거의 전부 쌈싸먹을 정도로 압도적인 EX 스킬의 범위가 모든 단점을 커버한다. 특히 마지막 성가대 배치에서까지 2명을 빼고 모조리 사정거리에 집어넣는 압도적인 범위 덕에 빗나가는 경우를 감안해도 딜 포텐셜 하나는 엄청나기 때문에 지형적성 B의 상태에서도 경장갑의 드히나 못지않은 고점을 기록했다. 특수장갑 토먼트 난이도에서도 키사키와 리오 같은 서포터의 지원을 등에 업고 토먼트를 박살낸 전적이 있다. 이외에도 뉴츠키의 방어관통 스킬이 그레고리오에서는 특히 효율이 높아지기에 제대로 쓰려면 전무 2성이 필수이다. | |
무츠키(새해) | |
(실내: B~A / 장갑: 중장갑) 배포 캐릭터이다. 배포치고는 코스트 대비 계수가 상당히 우수한 데다가 SR 무기라 빗나가는 일이 없으며 중장갑이라 생존률이 높아서 그레고리오 접대용에 가까운 설계를 가졌다. 다만 대결전 시즌 9 고점은 뉴츠키에게 밀리고 편의성 측면에서도 누구나 보유한 수나코가 있기 때문에 기용율은 평범했다. 대결전 시즌 19에서는 드아루+키사키+리오와 함께 최고점을 기록하였다. | |
코하루(수영복) | |
(실내: S~SS / 장갑: 탄력장갑) 새해 무츠키나 수영복 코하루의 EX 난사를 위해 쓰이는 스킬 복제 스페셜이다. | |
리오 | |
(실내: S~SS / 장갑: 특수장갑) 코스트 대비 효율 최강의 신비 특효 서포터이다. 특수장갑이라 약점을 찔리지만, 수시노와는 다르게 프론트 위치가 아니어서 성가대의 공격을 버티지 않아도 되며 디버프 관리만 잘 하면 저육성 상태로도 무난하게 생존이 가능하다. | |
카요코(새해) | |
(실내: D / 장갑: 중장갑) 신비 타입도 아니고, 지형적성도 D인 수나코가 일섭 대결전 시즌 9에서 기용률 1위를 보였다. 고점 하나는 뉴츠키가 더 높지만 택틱의 난이도가 높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클리어하기에는 수나코가 더 좋다. 기용할 경우 특효 버프를 받지 못하기 때문에 뉴요코를 빼고 수시노를 같이 채용한다. | |
하나코(수영복) | |
(실내: S~SS / 장갑: 중장갑) 광역 신비 스페셜 딜러이다. 신비 토먼트에서 미노리 같은 한 방을 노린다면 좋은 선택이 될 수 있다. | |
세리카(수영복) | |
(실내: D / 장갑: 경장갑) 3스 명중 토템이다. 뉴츠키를 필중시킬 수 있는 데다가 1스에 치댐증이 있어서 딜도 강화해 준다. 사용율은 아코 히마리보다 낮지만 고점에서 쓰였다. | |
마시로(수영복) |
9. 추천 편성
9.1. 인세인
9.1.1. 스페셜 딜러 파티
<rowcolor=#fff>스트라이커 | |||
아즈사 | 코하루 | 미야코(수영복) | 사키(수영복) |
<rowcolor=#fff>스페셜 | |||
미노리 | 나기사 |
위의 자리 배치를 이용하면 4인 모두 아슬아슬하게 코하루의 EX 범위에 들어오지만, 고점 전략 사용 시 미야코를 치료하고 동시에 오르간을 돌릴 때 외에는 코하루 EX를 아군에게 쓰지 않는다.
스페셜 두 명이 대부분의 딜링을 담당하기 때문에 수야코, 수사키로 적절한 수의 디버프를 유지하고 나기사와 미노리의 EX를 꾸준히 써야 하며 수야코+수사키의 EX에 주기적으로 발동하는 그레고리오 성가의 디버프와 발동하지 않은 기간의 공백기를 메꿔 주는 아즈사를 같이 기용하면 인세인에서도 안전 수준인 5 디버프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다. 수야코, 수사키는 3성이라 해도 코하루의 스펙이 된다면 생존에 문제가 없지만 미노리와 나기사는 딜을 담당하므로 높은 육성이 필수적이다. 해당 파티에서 아즈사 대신 미나 같은 디버퍼를 넣고 육성이 잘 되어 있다면 토먼트 클리어도 노려볼 수 있다. 단, 인세인에서 아즈사 대신 미나를 쓰면 디버프 안전치를 초과하기 때문에 아즈사를 써야한다.
인세인 클리어 자체는 상당히 쉽기 때문에 딸깍충 짤방에 빗대어 '딸깍단'이라 부르기도 하지만, 인세인에서 고점을 뽑거나, 토먼트 1파티 클리어를 노린다면 이것대로 리트 스트레스가 심하다. 일단 선술했듯 고점 전략에서는 코하루의 EX를 오르간 회전 + 미야코 힐 용도로만 쓰기 때문에 코하루와 나기사의 기본 스킬이 적시적소에 발동돼야 학생들이 죽지 않으며, 특히 재화로 엘리그마 파밍을 못하는 명함 수사키가 버티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미노리는 치명타+4코컷 여부, 나기사는 치명타 + 명중 여부에 따라 총합 딜량이 상당히 차이나기 때문에 인세인 고점, 토먼트 1파티 클리어를 노린다면 수많은 리트가 필수적이다. 다만, 수토끼를 뽑았다는 것은 다른 파츠도 대부분 뽑은 경우가 대다수이고, 그레고리오 토먼트는 수토끼와 기타 파츠만 잘 갖춰두면 어렵지 않게 깬다는 평가라 굳이 리트를 하는 경우보다 아예 토먼트로 빠지는 경우도 많다. 참고로 인세인 이하 난이도에서는 스트라이커 딜러 파티의 고점을 넘기지 못한다.
9.1.2. 스트라이커 딜러 파티
<rowcolor=#fff>스트라이커 | |||
호시노(수영복) | 히나(드레스) | 코하루 | 미네 |
<rowcolor=#fff>스페셜 | |||
아코 | 히마리 |
최근에 출시된 학생들로 편성된 수토끼 + 스페셜 딜러 파티를 뽑지 못했거나, 키울 여력이 없는 경우 이전대로 아코, 히마리를 넣고 미네로 디버프를 걸어 주며 수시노, 아루를 사용한 인세인 1파티 클리어 조합도 있다. 미네는 EX로 2개, 기본스킬로 2개를 더해 4개의 디버프를 혼자 유지할 수 있다. 아루의 크리 대미지가 워낙 높은 탓에 크리만 잘 터진다면 위의 수토끼 파티보다도 고점을 노릴 수 있지만, 방어타입이 특수장갑, 경장갑인 수시노와 아루, 미네가 쉽게 죽기 때문에 3성만 들고도 굴릴 수 있는 수토끼 팟과는 달리 높은 육성이 필수이다. 또한 디버프 관리와 코하루로 계속 보호해야 해서 일정 수준 이상 육성된 코하루가 필요한 데다 코하루의 힐을 집중적으로 돌려야 해 택틱이 매우 불안정하다. 이는 수토끼 사용 택틱도 마찬가지이나 수토끼 택틱은 전원 중장갑이라 회복 필요성이 덜한데 아루 택틱은 코하루 이외엔 모두 경장갑, 특수장갑이라 한 대 맞은 뒤에 바로 회복하지 않으면 순식간에 사라진다.
아루 파티는 디버프를 미네가 홀로 유지하고, 아루를 최대한 강화시켜야 고점이 나오기 때문에 수시노/아코/히마리중 아무도 뺄 수 없는 데다, 이를 깔끔하게 관리할 힐러는 코하루 말고 없기 때문에 이 중 두 개 이상 없다면 택틱 자체가 불가능하며, 육성 난도도 높다. 코하루와 스페셜 딜러 성급만 맞춰도 고점인 수토끼 택틱과는 달리 수시노와 아루는 둘 다 전무 2성 이상, 코하루는 전무 1성 이상, 미네는 4성 이상이 전제조건이고 아코도 높아야 하며 히마리 역시 전2가 강제된다. 게다가 한섭에서는 버그가 수정되면서 육성 요구치가 더 높아지면서 미네도 전2를 달아야 버틴다. 안전치로 만들 4개 이상의 디버프를 혼자서 거는 학생이 미네밖에 없다. 다른 디버프라고 있는 게 히마리의 기본 스킬뿐인데, 지속시간이 짧아서 체감이 들지 않고 본체에 잘 박지도 않는다. 즉, 대체가 불가능하다.
상술한 사거리 버그 수정으로 인해 글로벌 서버 시즌 52부터는 인세인에서 아루 택틱을 쓰려면 수시노와 아루, 미네가 최소 전용무기 2성 이상이어야 하고 코하루의 EX를 자주 돌려야 해서 수토끼 팟을 넘기기가 일섭보다 더 어려워졌다. 4성 아코 및 미네를 사용한 택틱도 있으나 끝내 침수됐다.[32] 처음에는 아루를 넣는 택틱 자체가 불가능한 것 아니냐는 의견이 대두되어 아예 아루 대신 아카리를 넣는 연구까지 이루어졌으나 지금은 글로벌에서도 아루 택틱을 쓸 수 있는 것이 검증되어 아루와 아카리 중 하나를 넣게 된다. 아카리는 방어타입이 중장갑이고 포지션이 미들인 덕분에 아루보다 그레고리오의 공격을 잘 받아내 코하루의 부담이 적고 파티 안정성도 높다.기본적으로 사거리가 짧거나, 엄폐가 없거나 하면 방어 스탯을 조금 더해 주는데, 때문에 AR인 아카리가 SR인 아루보다 튼튼하고 거기에 강화스킬의 체력 증가까지 있다. 아카리는 맞아도 어느 정도 버텨주므로 아루팟이라면 아루에게 넣어 줘야 할 힐을 미네에게 돌릴 수 있어서 코하루의 EX 스킬의 사용 빈도가 적어지고, 이는 파티 전체의 안정성 증가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확률에 의존하는 노말 스킬과 서브 스킬의 공격력 버프를 동시에 띄워야 하고 크리티컬까지 잘 띄워야 고점을 노릴 수 있어 리트 피로도가 아루보다 훨씬 높다. 그럼에도 이 리트에 성공하기만 한다면 아루조차 뛰어넘는 고점이 나오는 덕에 실전성을 검증받았다. 아루와 아카리 둘 다 4코스트라 스킬 발동 타이밍은 똑같지만 아루는 EX 후폭발의 딜레이가 길어서 완전히 똑같은 플레이를 해도 아루가 약간 늦어서, 넣는 대미지가 비슷하더라도 아카리가 아루보다 조금 더 높은 점수가 나온다. 그리고 애초부터 아카리가 아루보다 딜링 고점이 더 높아서, 일단 성공한다면 아루로 아무리 잘해도 아카리를 넘길 수 없다.
일섭에서 열린 그레고리오 대결전 인세인에서는 예로니무스 총력전에서 토먼트 침수를 일으킨 장본인인 드레스 히나까지 합류해 2분컷을 냈다.[33] 또한 버프를 몰아받은 드히나의 EX를 3회 사용한다는 전제가 곧 최단시간 클리어이며 굳이 코하루의 회복 없이도 빠르게 클리어가 가능하기에 아예 코하루가 빠지고 나기사+드아루가 들어가는 택틱이나[34] 수나코가 들어가는 택틱[35], 수로코+캠하레가 들어가는 택틱까지 생겨났다.[36]
해당 덱으로는 토먼트에서 수시노를 살릴 수 없기에 밑의 토먼트 스트라이커 덱을 사용해야 한다.
9.2. 토먼트
9.2.1. 스페셜 딜러 파티
<rowcolor=#fff>스트라이커 | |||
미네 | 사키(수영복) | 사쿠라코(아이돌) | 마리(아이돌) |
<rowcolor=#fff>스페셜 | |||
나기사 | 미노리 |
9.2.2. 스트라이커 딜러 파티
<rowcolor=#fff>스트라이커 | |||
마리(아이돌) | 히나(드레스) | 미네 | 호시노(무장) |
<rowcolor=#fff>스페셜 | |||
키사키 | 후우카(새해) |
<rowcolor=#fff>스트라이커 | |||
호시노(무장) | 히나(드레스) | 미네 | 호시노(수영복) |
<rowcolor=#fff>스페셜 | |||
키사키 | 후우카(새해) |
초창기 총력전 토먼트에서는 수시노가 무조건 봉인이었으나 이후 레벨 확장(Lv.85 -> Lv.87 -> Lv.90), T9 장비의 도입, 능력 해방 등 여러 요인들이 수시노와 드히나를 생존시킬 수 있게 뒤바뀌면서 고점 로스터에 자리잡았다. 일섭 기준 4001+ 점수를 기대할 수 있는 편성이다.
초반에는 무시노를 중앙으로 배치하여 방깎 디버프를 넣은 후에 고유 무기를 낀 미네로 총 디버프를 4개 쌓아서 수시노와 드히나가 첫 번째 성자의 속삭임을 버티게 한다. 미네의 고유 무기가 없을 경우, 미네가 일찍 죽어서 3페이즈에서 엄격한 회계가 발동할 타이밍과 함께 디버프 개수가 크게 줄어든다. 디버프 4개(노란불)인 경우, 그레고리오에게 붙어 있는 공격력 증가 수치가 40%에서 20%로 줄어든다. 이후로 그레고리오와 그 성가대의 공격을 미네와 무시노가 나눠 받으면서 키사키, 정우카, 수시노의 버프를 받은 드히나로 대미지를 넣음으로써 3페이즈 초반부에 게임을 끝내는 택틱이다. 2페이즈에서 사용하는 성자의 속삭임을 그전에 그로기를 통해서 캔슬시켜야 한다.
해당 택틱이 밝혀지자마자 토먼트 클리어 유저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였고, 일본 서버에서는 제 2의 예로니무스, 페로로지라 꼴이 났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루나틱에서도 사용이 불가능하지는 않으나 드히나의 인연 랭크가 총합 130이 넘어야 하며 전원 종결급 육성이 되지 않으면 성자의 속삭임을 버티지 못하며 미네를 2분대에 버려야 하기 때문에 가능은 하다 정도로만 여겨야 한다.
10. 기타
| |
<rowcolor=#fff> 노말~익스트림 배너 | 인세인~루나틱 배너 |
- 블루 아카이브의 전 총력전 최초로 패턴 발동 시에 해당 스테이지의 OST와 다른 음악이 출력된다. 이 음악은 패턴과 연동되어 전투 배속 및 불릿타임을 따라 재생속도가 변하고[37], 뒤쪽의 파이프 오르간 연주자는 패턴 사용 시 해당 BGM에 맞추어 연주한다. 이는 후반부 즉사기 패턴에 진입하면 훨씬 더 잘 볼 수 있는데, 최후반의 피날레 페이즈는 페이즈 전체가 패턴 BGM으로 변하므로 오르간 연주의 세심한 디테일을 볼 수 있다. 전술한 사운드 연출기법뿐 아니라 시점 변경 묘사도 인상적이며, 즉사기를 사용한 뒤 마무리 인사를 하는 모션을 취하는 데 이 타이밍에 퇴각하는 학생의 줄 사다리가 내려오기 때문에 연주가 끝난 후의 커튼콜을 연상케 한다. 오케스트라를 컨셉으로 한 보스답게 OST 자체의 퀄리티도 무척 뛰어나다는 평을 받고 있다.[38]
- 제한시간이 다 되면 즉사기를 사용하는 특징 때문에 그레고리오의 OST의 별명을 피아노 귀신처럼 "다 들으면 죽는 음악"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라이브 등에서 해당 OST가 연주되는 상황에서 자주 볼 수 있으며, 연주가 끝나면 헬기 이모티콘 등 즉사기 이후를 반영한 듯한 이모티콘이 잔뜩 나오는 것도 특징이다.
- 블루 아카이브의 1부 완결 후 등장한 첫 총력전 보스이자 고즈가 나온지 약 8달 만에 나온 신규 총력전 보스이다. 또 그레고리오가 추가되면서 방어타입 3종과 공격타입 3종이 조합된 총력전 보스 9종 구성이 완성되었다.
- 그로기에 걸릴 경우 지휘자 부분은 마치 책상에 엎드려 자듯이 앞으로 쓰러지고, 연주자 부분은 왼팔은 피아노 끄트머리로 뻗고 오른팔을 늘어뜨린 채로 꼬구라지며 성가대도 빈사 상태에 빠진 성가대를 제외하고 모두 엎어진다. 사망 모션은 지휘자는 지휘봉을 떨어뜨린 채로 부들부들 떨다가 쓰러지고, 연주자는 오른팔을 위로 뻗다가 그로기 패턴과 완전히 같은 자세로 쓰러진다.
- 완벽한 고정 구조 패턴을 가지고 있기에, 접대 파티인 수토끼-미노리 택틱을 사용하는 경우 크리리트 정도만 요구되어 고점과 소탕이 상당히 편리하다. 크리리트도 다른 총력전에 비해 엄청 중요한 수준은 아니다. 타수가 워낙 많아서 하나도 크리가 뜨지 않는 이상 웬만한 정도로는 충분히 1파티로 끝낸다. 다만 이는 수토끼 파티에 한하며, 아루/아카리 택틱의 경우 크리리트가 꽤나 중요하다. 고점을 얻으려면 아루/아카리는 물론 미네마저 안정치 리트를 해야 한다.
- 컨셉과 간지, 고퀄의 3박자를 챙긴 전투 구성으로 큰 호평을 받고 있다. 고즈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인 핵심 픽이 한정 캐릭터라는 점, 이동기가 가지는 문제점, 랜덤 패턴에 따른 심각한 아웃풋 차이, 기울어진 시점에 따른 불합리함이 상당 부분 해결되어서 나온 총력전이기도 하다. 이 점은 그레고리오 이후에 추가된 총력전인 호버크래프트와 게부라에도 이어지고 있다.
-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진 만큼 첫 개최 당시의 페로로지라 못지않게 버그가 여럿 발견되는 총력전이기도 하다. 첫 화면 각도 전환 도중에 Ex 스킬을 사용하려고 하면 화면이 마구 흔들리는 버그, 왼쪽 성가대를 공격해 전달되는 대미지로 그로기 게이지가 쌓이지 않는 버그, 오른쪽 성가대의 가장 끝 3마리에게 주는 대미지가 본체로 전달되지 않는 버그, 토키가 아비 에슈흐 모드에서 Ex 스킬 사용 시 굳어버리는 버그, 집중공격 디버프가 걸리면 일부 패턴이 발동되지 않고 디버프 중첩 수가 갱신되지 않는 버그 등 전투 진행에 악영향을 끼치는 버그들이 상당히 많다. 한섭에서는 대미지 버그, 토키 버그 등 버그가 고쳐졌으나 각 패턴의 이펙트가 나타나지 않는 버그[39], 메이드 아리스의 EX로 공격한 오르간과 성가대 재소환되지 않는 버그[40] 등 새로운 버그가 나타났다. 그나마 이펙트 버그는 총력전 진행 중에 고쳐져 일반적인 상황에서 전투에 방해가 되는 버그는 고쳐졌다. 그로기 버그는 오히려 플레이하는 데 유리하게 작용한다.
- 최종편에서 마에스트로를 통해 "아직 준비가 덜 끝났다."며 간접적으로 언급되었다. 당시 고즈는 "완성되지 않았다"는 투로 말한 것과 확실히 대비되는 표현이다. 실제로 색채 측에서도 고즈를 수호자로 만들려다 포기했다는 식으로 언급하지만 그레고리오는 만들어지지도 않아서 언급조차 하지 않는다. 이후 2부가 시작되며 첫 총력전 보스로 나왔다. 마에스트로가 그레고리오를 소개할 때, 누더기가 된 모습으로 나오기 때문에 1부 이후에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소속도 게마트리아로 표기되어 있기 때문에 게마트리아 역시 부활에 성공한 것으로 보인다.
- 공개 이후 생긴 별명은 미츠키요인데, 그레고리오의 테마곡 담당이 미츠키요였던 데다 본인이 X에 올린 연주 영상 때문에 정착되었다.[41] 반대로 키보토스 라이브 2주년에서 키보디스트 키리켄(일명 '키보드좌')의 신들린 듯한 실력과 눈에 띄는 퍼포먼스 덕분에 별명이 그레고리오가 되었는데 위화감이 없었다.[42] 이후 2024년 5월 개최된 블루 아카이브 2.5주년 페스티벌에서는 키리켄이 직접 그레고리오 의상을 입고 등장했다.
- 지휘자 쪽의 몸이 나오면서 그레고리오의 헤일로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 본체는 지휘자 쪽이지만 뒤의 연주자와 양옆의 성악가도 지휘자가 그로기에 걸려 쓰러지면 같이 쓰러지는 것으로 보아 한 몸 내지 연결되어 있는 듯하다.
- 모티브는 그레고리오 성가와 그레고리오 1세이다. 먼저 등장한 예로니무스와 암브로시우스처럼 서방 가톨릭 교회의 4대 교부를 모티브로 따 왔다. 다만, 그레고리오 성가는 실제로 그레고리오 1세에 의하여 집필된 것은 아니고 후대에 이름이 붙었다. 자세한 설명은 그레고리오 성가 문서의 그레고리오 성가의 형성과 이름 문단에 있다.
- 2.5주년 개발트리아에서 마지막 콤뮤니오 상토룸에 대한 암시가 있었는데 4대 교부 컨셉을 따르면 아우구스티노가 마지막 콤뮤니오 상토룸으로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 일본 서버와 한국 서버(글로벌 서버)의 사양이 자주 바뀌는 보스이기도 하다. 호드 등 다른 보스들에게도 최신 일본 서버 사양이 한국 서버에 먼저 들어오는 경우가 없지는 않지만 그레고리오는 택틱이 매우 중요한 보스라서 일본 서버에서 만들어진 택틱이 한국 서버에서는 사용할 수 없어 택틱을 새로 짜야 하는 경우가 많다.
[1] 인게임에서는 3분 43초에 도달시 3분 7초로 돌아가는 루프로 되어있다. 처음에는 루프가 16~36초 구간으로 곡 전체의 15%만 들을 수 있었으나, 1년 반 이상이 흐르고 2번째 대결전 때 와서야 수정되었다. Symphony는 교향곡을 뜻하는 단어이며 그레고리오의 특징을 명확히 표현한 제목이라 볼 수 있다.[계산식] (1 + (200%=2)) * 1.5 = 4.5, 토먼트에서는 (1 + (250%=2.5)) * 1.5 = 5.25[위험] 그레고리오의 공격력 40% 증가[경고] 그레고리오의 공격력 20% 증가, 그레고리오가 받는 대미지 100% 증가[안전] 그레고리오가 받는 대미지 200% 증가[6] 반대로 성가대에 적용되는 디버프는 그레고리오 또는 다른 성가대가 받지 않는다. 그레고리오에게만 걸어야 모든 성가대가 적용된다.[그로기] 그로기에 걸릴 경우 10초 감산[그로기] [위험] [경고] [안전] [위험] [13] 실제로 그레고리오 전투에서 약화 디버프를 9개 걸 경우 9로, 10개 이상 걸 경우 9+로 표시된다.[경고] [안전] [16] 오르간의 디버프 해제로도 해제 불가능하다.[17]
【ブルアカ】総力戦「屋内戦・グレゴリオ」INSANE(27,543,551) アル編成[18]
屋内 グレゴリオ TORMENT 1凸 39,776,558[19]
일섭 그레고리오 토먼트로 알아보는 조선붕당의 이해[20] 1/3(수) 무중단 패치 안내, 넥슨 블루 아카이브 게시판, 2024년 1월 3일 작성[21]
자느라 모르는 사람들을 위한 현 그레고리오 상황[22]
추가 자료 증거) 일섭 아루 위치가 버그라는거 확실해짐[폭관신] 경장갑, 중장갑, 특수장갑으로 진행[폭관신] [폭관신] [폭관신] [27]
속보) 그레고리오 한섭 이슈 생김[28]
総力戦 グレゴリオ 屋内戦 TORMENT 1凸 39,822,719pt (03:38.867) ドレスヒナ編成 初日版 #ブルアカ[29]
【最終フェーズ前撃破!】大決戦 屋内 軽装備 グレゴリオ Insane 27614656【字幕解説】[30]
갤펌)아카리 바이럴.gif[31]
【ブルアカ/ブルーアーカイブ】総力戦「屋内戦・グレゴリオ」TORMENT/TOR(1凸:40,026,640↑) 2024.11.03 編成練習[32]
그레고리오 인세인 아코/미네 4성 1팟클[33]
【ブルアカ/ブルーアーカイブ】大決戦「屋内戦・グレゴリオ」INSANE/INS(軽装備1凸:27,700,545↑) 2024.04.17 ヒナ(ドレス)[34]
【ブルアカ】屋内グレゴリオ Insane 軽装備 2770+ ドレスヒナ編成 字幕解説【大決戦D9】[35]
【ブルアカ】大決戦 グレゴリオ 屋内戦 爆発 軽装備 insane ヒナハナコ 解説あり[36]
【ブルアカ】大決戦 グレゴリオ 屋内戦 爆発 軽装備 insane ヒナ ミネ落とし 解説あり[37]
グレゴリオ即死攻撃比較[38]
「グレゴリオ」のBGMとスキル![39]
그레고리오 한섭에서 '추가된' 버그,
그레고 한섭 오리지널 버그 요약.gif[40]
그레고리오 가지고 놀다가 발견한 신박한 버그[41]
[42]
【ブルアカ】 総力戦 「韓国・グレゴリオ」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블루 아카이브/총력전|블루 아카이브/총력전]]}}}{{{#!if external != "o"
[[블루 아카이브/총력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블루 아카이브/총력전?uuid=718e5f60-9074-4338-be25-3a5dc2616292|r141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블루 아카이브/총력전?uuid=718e5f60-9074-4338-be25-3a5dc2616292#s-|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블루 아카이브/총력전?from=1410|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블루 아카이브/총력전|블루 아카이브/총력전]]}}}{{{#!if external != "o"
[[블루 아카이브/총력전]]}}}}}}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블루 아카이브/총력전?uuid=718e5f60-9074-4338-be25-3a5dc2616292|r1410]]}}}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블루 아카이브/총력전?uuid=718e5f60-9074-4338-be25-3a5dc2616292#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블루 아카이브/총력전?from=1410|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